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45
게시물 검색 폼
  • 송문중 宋⽂中 우왕 10년(1384) 8월 18일∼우왕 12년(1386) 7월 16일 파직
    송문중 宋⽂中 우왕 10년(1384) 8월 18일∼우왕 12년(1386) 7월 16일 파직송문종(?∼?)의 본관은 홍주(洪州)이다. 1369년(공민왕 18) 진사시에 합격하고, 1373년 (공민왕 22) 6월 응거시(應擧試)에 급제하여 벼슬을 하게 된다. 이색(李穡)의 『목은문 고』 5권(기)의 「축은재기(築隱齋記)」에 “원래 이름은 송문귀(宋⽂貴)이고, 자는 일창(⽇ 彰)이었으나 귀(貴)를 중(中)으로 바꾸어 송문중이 되었다.”라고 하였다. 『금성일기』 1374년 기록을 보면 “사은사 상장군 주의, 부사 우인열, 서장 송문귀 각 행차가 같은날 나주에 왔다.”라고 되어 있음을 볼 때 송문중으로 바꾼 것은 1374년 이후로 보인 다. 1389년 상호군 겸 사헌부집의로 제수되었으나 나주목사 재임 때 청렴하지 못하다는 말이 있었으므로 고신에 서명을 받지 못하였다. 대사성, 보빙사, 판교서감사 등을 거쳤으며, 풍해도관찰사로서 왜구를 물리치는 큰 공을 세웠다. 『금성일기』 「갑자년 1384년」에 “목사 통헌대부 송문중이 8월 18일 도임하였다. 병인(1386년) 7월 16일에 돌아갔다.”라고 기록되었으며, 『금성읍지』에는 “갑자(1384년) 8월 도임, 병인(1386년) 7월 16일에 교체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전라감사편 참조.*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0-14 | NO.30
  • 양안용 梁安⿓ 우왕 13년(1387) 10월 17일∼우왕 14년(1388) 2월 6일
    양안용 梁安⿓ 우왕 13년(1387) 10월 17일∼우왕 14년(1388) 2월 6일양안용(?∼?)의 인적사항이나 행적을 기록한 문헌은 확인이 어렵다. 『금성일기』 「정묘년 1387년」에 “목사 양안룡이 10월 17일 도임하였다가 무진(1388년) 2월 6일에 돌아 갔다.”고 기록되었으며, 『금성읍지』에는 “정묘(1387년) 10월 17일 도임, 무진(1388년) 2월 6일에 교체되었다.”는 기록이 있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0-14 | NO.29
  • 양원준 광주 수령- 고려사절요 제11권 / 의종 장효대왕(毅宗莊孝大王)
    무인 12년(1158), 송 소흥 28년ㆍ금 정융 3년 11월○ 문하시랑 평장사로 치사한 양원준(梁元俊)이 졸하였다. 원준은 서리 출신으로, 일찍이 간관이 되어서 정함을 탄핵할 때 고집을 꺾지 않아, 당시의 공론이 이를 중하여 여겼다. 성질이 청렴ㆍ검소하고 순진하고 정직하여 시종 한결같았으며, 집안 살림을 일삼지 않았고, 선사 받는 것을 멀리하여 문앞이 항상 쓸쓸했다. 일찍이 광주(光州)의 수령이 되었을 때, 아내가 시어머니 섬기기를 정성껏 하지 않는다 하여 내쫓았다. 처자가 울며 애걸하여도 끝내 허락지 않고 그 아내를 홀로 친정으로 돌아가게 하니, 사람들이 혹 그의 인자하지 못함을 기롱하기도 하였다.
    2022-04-29 | NO.28
  • 양유진 梁有珍 우왕 4년(1378) 4월 10일∼우왕 7년(1381) 2월 11일
    양유진 梁有珍 우왕 4년(1378) 4월 10일∼우왕 7년(1381) 2월 11일양유진(?∼?)의 인적사항이나 행적을 기록한 문헌은 확인이 어렵다. 1378년 품계가 정순대부였다. 정순대부는 제5등급인 정3품 상계이다. 『금성일기』 「무오년 1378년」에는 “목사 정순대부 양유진이 4월 10일 도임하였고, 같은 해 10월에 통헌에 가자되었고, 경신(1380년)에 봉익에 가자되었으며, 신유(1381년)에 정무를 마치고 갔다.”고 기록되 었고, 『금성읍지』에는 “무오(1378년) 4월 10일 도임, 신유(1381년) 2월 11일에 정무를 마쳤다.”는 기록이 있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0-14 | NO.27
  • 여위현 呂渭賢 공양왕 5년(1366) 2월 17일∼?
    여위현 呂渭賢 공양왕 5년(1366) 2월 17일∼?여위현(?∼?)의 본관은 성주(星州)이다. 경상도 성주성 북쪽의 야동(冶洞)에 살았는데, 조선 태조 이성계가 잠저에 있을 때 친구로 지냈다. 이성계가 왜장 아지발도(阿只拔都) 를 칠 때 여위현의 집에서 점심을 같이 먹고 낮잠을 잤다는 기록이 『경산지(京⼭誌)』에 있다. 고려말 관작이 삼중대광(三重⼤匡)에 이르렀고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역임했으나 조선건국 뒤에는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자녀와 조카의 교화에 전심했다. 『금성일기』 「병오년 1366년」에는 “목사 여위현이 2월 17일 도임하였다.”라고 되어 있다. 『금성읍 지』에는 “1366년(병오) 2월 17일 부임하였지만 이임하는 날은 기록하지 못하였다.”라고 되어 있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0-14 | NO.26
  • 여칭 呂稱 공양왕 2년(1390) 6월 15일∼공양왕 4년(1392) 1월 29일
    여칭 呂稱 공양왕 2년(1390) 6월 15일∼공양왕 4년(1392) 1월 29일여칭(1351∼1423)의 본관은 함양(咸陽)이며, 자는 중보(仲⽗, 仲夫), 호는 저곡(樗⾕)이 다. 아버지는 선관서 영을 지낸 여길손(呂吉孫)이다. 문과 급제자로 사헌규정, 전라도안 렴사, 공주목사, 나주목사 등을 지냈다. 조선에 들어서 양광도·경상도·전라도의 조전부 사(漕轉副使), 강원도관찰사, 동북면 도순문찰리사, 서북면 도순문찰리사 겸 병마도절제 사, 개성유후, 형조판서를 지냈다. 『금성일기』 「경오년 1390년」에 “목사 통헌대부 여칭이 6월 15일 부임하였고, 임신(1382년) 1월 삼도조전부사로 이임하였다.”는 기록이 있고, 『금성읍지』에는 “경오(1390년) 1월 15일 도임, 임신(1392년) 1월 29일에 이임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시호는 정평(靖平)이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0-14 | NO.25
  • 왕림 王琳 현종 22년(1031) 5월 21일 정묘∼?
    왕림 王琳 현종 22년(1031) 5월 21일 정묘∼?왕림(?∼?)은 『고려사』 세가(世家) 권5 1031년(현종 22) 5월 21일 정묘 기록에, “왕림 (王琳)을 검교우복야 나주목사로 삼았다.”라고 되어 있는데, 나주목사의 최초 기록이다. 왕림에 대한 기록은 『고려사』 志 권58에 “980년(경종 5) 최한(崔罕)과 왕림을 송(宋)에 파견하여  국자감에  입학시켰는데,  986년(경종  11)에  최한과  왕림이  빈공과(賓貢科)에 급제하고서 돌아와 비서랑을 제수받았다.”라고 되어 있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0-14 | NO.24
  • 유유 柳濡 공양왕 14년(1365) 10월 29일 ∼ 공양왕 15년(1366) 1월 7일 상경
    유유 柳濡 공양왕 14년(1365) 10월 29일 ∼ 공양왕 15년(1366) 1월 7일 상경유유(?∼?)의 본관은 문화(⽂化), 장령 유정(柳靖)의 장남이다. 『고려사』에 나주목사로 오기 전인 1363년(공민왕 12) 5월 26일(음)에 상주도병마사(尙州道兵⾺使)에 제수되었 다는 기록이 있다. 사육신의 한 사람인 유성원(柳誠源)의 증조부가 된다. 『금성일기』 「을미년 1365년」에는 “목사 봉익대부 유유가 10월 29일 도임하였다.”라고 되어 있으 며, 「1366년」에는 “목사 유유가 1월 7일에 정무를 마치고 상경하였다.”라고 되어 있다. 『금성읍지』에는 이유(李襦)로 잘못 표기되어 있다. “1365년(을미) 10월 29일에 부임하였고 1366년(병오) 정월 7일에 임기를 마치고 상경하였다.”라고 되어 있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0-14 | NO.23
  • 윤택 尹澤 충목왕 1년(1345, 을유) 전후
    윤택 尹澤 충목왕 1년(1345, 을유) 전후윤택(1289∼1370)의 본관은 무송(茂松), 자는 중덕(仲德), 호는 율정(栗亭)이며 시호는 문정(⽂貞)이다. 일찍부터 글을 잘해 고모부 윤선좌(尹宣佐)를 따라 공부했고, 특히 『춘 추좌전』에 능통하였다. 1317년(충숙왕 4)에 급제하여 경산부사록과 교감을 거쳐 검열에 올랐다. 우부대언과 우대언을 거쳐 충목왕 초기인 1345년에 나주목사가 되었다. 충목왕 서거 후 밀직이었던 이승로와 함께 강릉대군을 왕으로 삼으려고 하였으나 실패하고 광양감무로 좌천되었다. 그러나 공민왕 즉위 후 밀직제학을 거쳐 개성부윤에 임명 되었다. 또 1357년(공민왕 6)에 왕이 중 보우(普愚)의 건의대로 한양으로 천도할 것을 결심하고 이제현에게 궁궐터를 축조하도록 하는 명령을 내리자 간하여 막아내었다. 효성이 깊고 항상 정직하며 검소하게 지냈다. 공민왕이 손수 초상화를 그려주고 율정(栗 亭)이라는 호를 크게 써주기도 하였다. 저서로는 『율정집(栗亭集)』이 있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0-14 | NO.22
  • 이거이 李居易 우왕 14년(1388) 2월 1일∼우왕 14년(1388) 7월 10일
    이거이 李居易 우왕 14년(1388) 2월 1일∼우왕 14년(1388) 7월 10일이거이(1348∼1412)의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자는 낙천(樂天), 호는 청허자(淸虛⼦)이 다. 아버지는 고려 공민왕 때 형부상서 문간공(⽂簡公) 이정(李挺)이다. 1374년에 나주 목사로 재임한 이거인(李居仁)의 동생이다. 고려 말엽에 과거에 올라 여러 벼슬을 거쳤 고, 이성계와 뜻을 같이한 관계로 조선왕조에 평안도도절제사, 참지문하부사, 참찬문하 부사, 판한성부사를 지냈다. 제1차 ‘왕자의 난’으로 정사일등공신과 좌명일등공신의 책록을 받았으며, 영의정까지 올랐다.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으로 봉해졌으며, 시호는 문도(⽂度)이다. 『금성일기』 「무진년 1388년」에 “목사 이거이가 3월 11일 도임하였다가 동년 7월 10일 돌아갔다.”고 기록되었으며, 『금성읍지』에는 “무진(1388년) 2월 11일 도임, 동년 7월 10일에 교체되었다.”는 기록이 있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0-14 | NO.21
  • 이거인 李居仁 공민왕 22년(1373) 10월 13일∼공민왕 23년(1374) 7월 12일
    이거인 李居仁 공민왕 22년(1373) 10월 13일∼공민왕 23년(1374) 7월 12일이거인(?∼1402)의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수부(壽⽗), 호는 난파거사(蘭坡居⼠)다. 아버 지는 문간공(⽂簡公) 이정(李挺)이며, 1388년 2월 1일부터 1388년 7월 10일까지 나주목 사로 재직한 이거이가 동생이다. 우왕 초부터 밀직부사, 경상도도순문사, 상만호, 문하평리를 거쳤다. 조선이 건국되자 진위사(陳慰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오고, 뒤에 청천백(淸 川伯, 淸城伯)에 봉하여졌다. 1399년에는 조박(趙璞) 살해 음모에 연루되어 청주에 유배 되고, 이듬해 판삼사사(判三司事)로 은퇴하였다. 『금성일기』 「계축년 1373년」에는 “목사 이거인이 10월 13일에 도임하여 갑인(1374년) 7월 11일에 정무를 마치고 상경하였다." 는 기록과 『금성읍지』에 “계축(1373년) 10월 13일에 부임하였고, 갑인(1374년) 7월 12 일에 임기를 마치고 상경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시호는 공절(恭節)이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0-14 | NO.20
  • 이방직 李邦直 공민왕 7년(1358) 6월∼공민왕 10년(1361) 3월 3일
    이방직 李邦直 공민왕 7년(1358) 6월∼공민왕 10년(1361) 3월 3일이방직(?∼1384)의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청경(淸卿), 호는 의곡(義⾕)으로 낭성군(琅 珹君) 이계감(李季珹)의 아들이며, 형부상서 이정(李挺)의 아우이다. 이정은 영의정을 지낸 이거이(李居易, 1348∼1412)의 부친이므로 이방직(李邦直)이 숙부가 된다. 문과에 급제하고 벼슬이 집현전 대제학에 이르렀으며 낭천군(狼川君)에 봉해졌다. 『금성일기』 에는 “1358년 6월에 부임하였다.”고 되어 있으며, 『금성읍지』에는 “1358년 6월에 부임하여 1361년 3월 2일에 상경하였다.”라고 되어 있다. 나주에 있었던 보광사(普光寺) 와 장흥 관문루인 규양루(葵陽樓)에 시가 전해 온다. 1381년(우왕 7)에 충주 청룡사에서 개판한 『선종영가집(禪宗永嘉集)』은 나옹(懶翁) 혜근(惠勤)이 처음 입수하였고, 그의 제자 훤선(昍禪)이 이방직의 도움을 받아 개판하였으며 보물이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0-14 | NO.19
  • 이자을 李資⼄ 공민왕 12년(1363) 11월 10일∼공민왕 13년(1364) 3월 13일
    이자을 李資⼄ 공민왕 12년(1363) 11월 10일∼공민왕 13년(1364) 3월 13일이자을(1324∼1400)의 본관은 전주, 아버지는 선부상서(選部商書)이윤(李胤)이며 문하 평리를 지낸 이귀을(李⿔⼄)의 동생이다. 1334년에 진사시에 합격하고 1342년 문과에 장원급제한 뒤 중서사인을 거쳐 1352년 한림원 시강학사가 되었고, 1362년에는 나주 목사로 나가 농업과 잠업을 권장하여 백성들의 생업을 안정시켜 사람들의 칭송을 받았 다. 1392년 조선개국 후 태조가 여러 번 벼슬을 내렸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금성일기』 「계묘년 1363년」에는 “봉익대부 이자을이 11월 10일 도임하였고”, 「갑진년 1364년」 에는 “3월 13일에 이임하였다.”고 되어 있으며, 『금성읍지』에는 “계묘(1363년) 11월 10일 부임하였고, 갑진(1364년) 3월 13일에 이임하였다.”라고 되어 있다. 시호는 문헌 (⽂憲)이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0-14 | NO.18
  • 이지태 李之泰 공민왕 12년(1363) 3월∼공민왕 12년(1363) 9월
    이지태 李之泰 공민왕 12년(1363) 3월∼공민왕 12년(1363) 9월이지태(?∼?)의 인적사항을 기록한 문헌은 확인이 어렵다. 『고려사절요』 1361년(공민왕 10) 11월 25일에 안렴사가 되었다는 기록과 1362년(공민왕 11) 9월에 “왕이 양광도 안렴사 이지태에게 명령하여 폐인(嬖⼈)에게 공주창의 쌀 50석을 하사하도록 하였는데, 이지태가 왕의 명령은 반드시 양부(兩府)에 내려야 하는데 지금은 그렇지 않고, 또 군량을 다른 사람에게 헛되이 줄 수 없다고 하여 명령을 받들지 않았다. 폐인이 왕에게 호소하니 왕이 노하여 결박하여 오도록 명령하였으나 유숙(柳淑)이 힘써 구제하여 처벌을 면할 수 있었다.”라는 기록을 찾을 수 있다. 『금성일기』에는 “3월 3일에 부임하였 다.”라 되어 있고, 『금성읍지』에는 “계묘(1363년) 3월 3일에 부임하였고 동년 9월에 임기를 마쳤다.”라고 되어 있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0-14 | NO.17
  • 이진수 李進修 공민왕 19년(1370) 2월 9일∼공민왕 20년(1371) 8월 26일
    이진수 李進修 공민왕 19년(1370) 2월 9일∼공민왕 20년(1371) 8월 26일이진수(?∼?)의 인적사항을 기록한 문헌은 확인이 어렵다.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에 1371년(공민왕 20) 7월 29일 나주목사로 “내재추(內宰樞)를 폐지하여야 한다.”는 상소를 올린 기록과 “군수부(軍帥府)를 세우고 분경(奔競)을 근절할 것을 청하였다. 왕이 이를 가상하게 여겨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를 제수하였다.”는 내용이 있다. 『금성일기』 「경술년 1370년」에는 “신임 목사 이진수가 2월 9일에 도임하였다.”라 되어 있고, 「신 해년 1371년」에는 “8월 26일에 사재감사(司宰監事)로 영전하였다.”라 하였다. 『금성읍 지』 “홍무 경술(1370년) 2월 9일에 부임하였고, 신해(1371년) 8월 26일에 사재감으로 영전하였다.”는 기록이 있다.*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2024-10-14 | NO.16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