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효열부문화유씨행적비

광주시 남구 대촌동(이장동) 복수마을

1964년

장흥고씨 문중에서 건립한 효열부 문화유씨 행적비는 이장동 복수마을에 있다. 장흥고씨 문중에서 1964년에 건립한 비석이다.


비문은 김준식이 편찬하고 김정회가 썼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몸소 효도와 열행을 실천하여 천만년 강상(綱常)을 책임하고 아름다운 풍속을 세워 한 시대의 이목을 집중시킨 사람이 있었으니 최근 고재열의아내 문화류씨이다.
아~ 아침햇살에 기러기 노래하였건만 부부의 정을 느낀 것은 반년도 채 못되었고 저녁 노을에 까마귀 우니 천만년 사별이라는 흉측한 소식이 갑자기 알려졌다.

누가 알았을까 16세 어린 나이 꽃다운 세월인데 희미하고 아득하기만한 억천(億千)의 고통을 잘 견디어 낼 줄이야, 여자의 삶을 저 연약한 풀과 티끌과 같다는 뜻으로 개가할 것을 깨우쳤건만 자식이 없는 홀어미의 비웃음거리가 되어버렸고, 그리하여 가을 서리가 내린 매서운 날씨와 같은 아낙네의 정조는 마침내 사방 사람들의 숭앙하는 대상이 되었으니, 그 열행이야 말로 그 결과가 어떠한가, 의지하며 살았던 친정부모님을 이별하고 돌아와 자식 잃은 시부모를 모셨네.

이 한 몸 처절한 생각을 온전히 감추어 버리고 넉넉한 오로지 두 분 시부모 마음을 편안하도록 잘 섬겼으며, 아침 음식을 장만하기 위하여 등불을 밝히고 길쌈을 하였으며, 낮에는 곡소리를 대신하여 시부모와 이야기를 하였다네, 시부모가 돌아가시자 조카를 세워 승중손(承重孫)으로 삼았다.
무너져 간 가정을 들추어내어 끊긴 가문을 계승하였고, 제물을 깨끗이 준비하여 흠향하도록 하였다오, 죽은 시부모 섬기기를 생존 했을 때와 같이 하였다. 큰 행동이 여기에 있었으니 사소한 행동은 가히 추측된다. 그 효도하는 것이 또 이다지도 대단하다.

그런데 이러한 한 분에게 보답하여야 하는 하늘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그 사람에게 준 자품은 이처럼 풍부하였건만 그 사람에게 준 수명은 어찌 이다지도 인색하다는 것인가. 아~ 큰 기강이 이미 무너졌고 염치가 모두 죽어버렸다. 여인들이 실절(失節)하는 것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고 생이별하는 것을 잘 하는 일이라고 한다.
우리의 의관(衣冠)은 오랑캐의 복장 속으로 빠져버렸고 인류(人類)는 짐승으로 변화해버렸다. 이와같은 시대에 국정을 도울만한 자손을 보내어 홍문관(洪文館)에 돌아가게 했고, 대중을 깨우치는 쇠방망이를 빌려 오랑캐를 일깨우는 북을 울렸으며, 이미 소용돌이친 광란(狂瀾)을 되돌렸고 장차 무너져 버릴 인간의 기강을 확고히 심어놓았으니, 바닷물이 마른다 해도 돌이 녹아버린다 해도 이분의 공적은 가히 없어지지 않을 것이요 하늘같이 땅같이 장구(長久)한 이분의 공적을 기필코 묻혀버리지 않을 것이다.
그분에게 수명을 주는데 인색한 것은 그분에게 사후의 복을 많이 누리게 하고자 했던 것이니 이제야 하늘의 뜻이 여기에 있다는 것을 알았다. 감히 고증없이 이 글을 썼겠는가. 세상 여론에 의해 이 글을 서술한 것이다.
1964년 10월 15일 영광 김준식 짓고
안동 김정회 쓰다


躬烈孝而任萬古之網常樹風聲而集一世之觀廳者近古高君在烈夫人文化柳氏是月嗚呼贋雝旦浹半襈之情思烏啼夕暉忽報千古之凶信誰知二人妙少之光陰能抵億于迷范之塵劫唆披弱州車巫塵之諷可啞匹婦之無知繫此秋霜烈日之威竟爭四隣之仰止其於爲烈也何如也若夫歸訣倚門之爺孃還侍西河於姑舅渾藏悽絶一巳之思專事寬譬而堂之心朝供因於續燈書哭代以唯諾逮尊章之下世立滋子而承重擧廢而繼絶精禋而致享事死如事生事之如事存六經在此細節可推其於爲孝也又何如哉然而不能無說於報施之天稟其姿之何若是其豊而賦其命之何若是嗇也噫大防之壤廉耻道喪以失節爲當然以生離爲能事衣冠淪於世服人類化爲素翔于時也送相國之孫而歸弘文之門借警衆之鐸而鳴膺犭犬之鼓回狂瀾于旣倒植人紀於將瀡海可枯石可爛斯功不可抹夫之長地之久斯蹟必不扌垔嗇其命乃聃以厚其餉於是乎知天意之攸在矣敢無稽而饒筆舌依輿論而述銘章 歲在甲辰
冬十月旣望 靈光 金駿植 撰 安東 金正會 書

2018.11.28. 수정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