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효열부영천이씨송적비

광주시 광산구 본량동 풍숙마을(남산동)

1984년

이 효열부영천이씨송적비(孝烈婦永川李氏頌績碑)는 광산구 본량동 풍숙마을의 북쪽 끝 얕은 산자락에 1984년에 세웠다. 대리석 비각이 갖추어져 있으며 오석에 비문을 음각으로 새겼다.

孝烈婦 永川李⽒는 永陽郡 ⼤榮의 后인 惠⺠院主事 秉夏의 女로 ⻄紀 1912年 壬⼦正⽉⼆⼗⽇에 潭陽郡 ⼤⽥⾯ ⼤峙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孝誠이 ⾄極하여 定省의 節을 다하고 ⿇絲紅⼯에 四德을 兼備하였는데 年⼗九에 羅州 吳龍烈에게 出嫁하였으니 곧 羅城君 諱 ⾃治의 后인 ⼠⼈ 準⽄의 ⼦婦이다. 孝烈婦는 婚禮만을 겨우 마치고 新⾏前에 突然 그 夫君이 臥病했다는 消息을 듣고 바로 달려가서 斷指注⾎을 하고 百⽅으로 加療를 하였으나 마침내 他界하고 말았다.

孝烈婦는 그로부터 ⻝飮을 全廢하고 下從하려고 자리에 누웠으나 媤⽗⺟님의 懇切한 開諭로 옳게 여기어 바로 일어나서 事親奉先의 節을 다하는 한편 紡績을 爲業으로 하여 家勢를 隆昌시켰다. 그후 媤⽗⺟께서 千年을 다하니 ⼀遵禮制로 遂從의 節을 다하였다. 한편 孝烈婦에게 天⾏으로 遺⾎이 있어 ⽣男을 하니 사랑으로 잘 기르고 가르치니 ⽂⺟나 孟⺟와 다를 바가 없었다. 그 아들 點敎는 자라서 孝烈婦의 뜻을 어김없이 그 家業을 이었으니 孝烈婦의 맺힌 한이 풀렸다.

이 事情을 안 光州鄕校典校 朴夏構와 光州儒道會⻑ 朴種道와 光州 慕聖會 鄭海英 등의 鄕儒가 薦擧하니 ⻄紀 ⼀九⼋⼆년 光⼭郡守 朴炯寅의 表彰을 받은 바가 있었다. 그후 모든 公議가 孝烈婦의 ⾏績은 可謂 ⼤冬松栢이요 昏街明星과 같다고 稱頌을 아기지 않았다. 아, 처음의 뜻을
⼋⼗平⽣ 變함 없이 그대로 행하였으니 凜烈의 氣가 九曲에 畜積된바 아니면 어찌 이와 같으리요. 從⼦敎喆 珍敎 亨喆이 抱狀하여 孝烈婦의 ⾄⾏ 卓節은 始終이 예에 變함이 없으며 지금에 부끄러움이 없으나 때가 옛과 달라 旌褒를 물음이 없으니 누가 이를 거두어 光金明珠를 滄海沙礫의 사이에 묻히지 않게 할 것인가. 그러나 고을의 여러 입에 새겨졌으니 어찌 永世不泐⼒함이 아니겠는가
⻄起 ⼀九⼋四年 甲⼦ 正⽉ ⽇ 羅州 吳國烈 撰
甲⼦ 三⽉ ⽇ 晋州 鄭忠燮 書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