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한원-세심당이선생유적비

광주시 남구 구만산길 34(원산동)

1990년, 2005년

세심당이선생유적비(洗心堂李先生遺蹟碑)는 1990년에 세웠다가  을축년에 훼손되어 2005년에 다시 건립했다.


 

호남인물지 광주편에는 자(字)는 청경(淸卿), 호(號)는 세심당(洗心堂), 본관은 광산(光山)

고려 충숙왕 때 문과상서좌복야(文科尙書左僕射) 순백(珣白)의 5세손으로 조선 세종조에 예문관제학(藝文館提學) 증이조판서(贈吏曺判書) 선제(先齋)의 3남이다. 세종 32년에 생원을 지내고 단종 1년에 문과 장원으로 홍문관(弘文館)교리(校理)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 이조참의(吏曺參議) 성균관대사성(成均館大司成) 홍문관제학(弘文館提學)을 역임하고 정헌대부예조판서(正憲大夫禮曺判書)에 추증되었다.(광주지. 광산군지. 능주읍지)


옛 비문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지금 비문은 더 간략하다.

부군의 휘(諱)는 한원(翰元)이요, 자(字)는 청경(淸卿)이요, 호(號)는 세심당(洗心堂)이니 그 선계(先系)는 신라 대보공(大輔公) 김알지(金閼智)의 후예(后裔)이다. 고려 현종조(顯宗朝)에 휘(諱) 종금(宗金)이 거란을 토벌한 훈공(勳功)으로 군(君)에 봉(封)하니 광산이씨(光山李氏)가 실(實)로 이 때에 비롯되었다. 왕실계통(王室系統)으로 현관대작(顯官大爵)이 계계승승(繼繼承承)하여 울연(蔚然)히 동방(東方)의 거족(巨族)이 되었다.

휘(諱) 순백(珣白)에 이르러 고려 충숙왕조(忠肅王朝)에 영남(嶺南)의 걸출(傑出)한 선비로서 문과(文科)에 등제(登第)하여 한림원(翰林院) 학사(學士)·상서좌복야(尙書佐僕射)를 역임하였고 경신년(庚申年)에 충숙왕이 토번(吐蕃 티베트)에 유찬(流竄)되자 오직 공(公)이 이제현(李齊賢)과 함께 원(元)나라에 글을 보내서 누대(累代)의 정의(情誼)를 극진히 진언(陳言)하여 드디어 풀려나게 되니 충숙왕이 이로써 녹훈(錄勳)하여 은청광록대부(銀靑光錄大夫) 광산부원군(光山府院君)에 봉(封)하고 충장(忠莊)의 시호(諡號)를 내렸으니 바로 중시조(中始祖)가 되신다.

자(子)에 휘(諱) 기(奇)는 중현대부(中顯大夫) 단양부령(丹陽府令)을 지내고 봉익대부(奉翊大夫) 밀직부사(密直副使)에 증직(贈職)되었으니 공(公)의 고조(高祖)이고, 증조(曾祖)의 휘(諱)는 홍길(弘吉)이요, 호(號)는 퇴은(退隱)이니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의 문인(文人)으로 벼슬은 밀직제학(密直提學)·개성윤(開城尹)·상호군(上護軍)을 지냈다.

조(祖)의 휘(諱)는 일영(日暎)이니 장흥도호부사(長興都護府使)를 지내고 호남의 석학(碩學)으로 여지승람(與地勝覽)에 실려 있으며, 고(考)의 휘(諱)는 선제(先齊)요, 호(號)는 필문(門)이니 경학(經學)에 널리 통하여 원근(遠近)에서 모두 선생으로 존숭(尊崇)하였다.

세종(世宗) 기해년(己亥年)에 증광시(增廣試) 진사(進士)에 발탁(拔擢)되어 계묘년(癸卯年)에 사관(史官)·수찬(修撰)·검토관(檢討官)에 배수(拜授)되고, 임술년(壬戌)年)에 집현전(集賢殿) 직제학(直提學)·병조(兵曹)·예조참의(禮曹參議)·강원도 관찰사(觀察使)를 지냈으며, 무진년(戊辰年)에 하정사(賀正使)로 명(明)나라에 들어갔다.

돌아와서 다시 공호조참판(工戶曹參判)을 거쳐 문종 경오년(庚午年)에 예문관(藝文館) 제학(提學)·동지춘추관사(同知春秋館事)·좌부빈객(左副賓客)·경창부윤(慶昌府尹)에 배수(拜授)되었으며, 왕명(王命)을 받고 고려사·고려사 절요(節要)·태종실록(太宗實錄) 편찬(編纂)에 참여하니 임금이 그 상모(狀貌)를 그려서 어소(御所)의 병풍(屛風) 뒤에 붙였고, 순조(純祖) 경진년(庚辰年)에 강진 수암서원(秀巖書院)에 봉향(奉享)하였다.

비는 증정경부인(贈貞敬夫人) 보성선씨(寶城宣氏) 절도사(節度使) 중길(仲吉)의 여(女)로 5 남(男)을 두었으니 모두 출중(出衆)한 재지(才智)와 덕행(德行)을 갖추었으며, 공은 제 3자(子)로 세종 병지년(丙辰年) 3 월 20 일에 태어났다.

공(公)은 어려서부터 뛰어남이 범상(凡常)하지 않았고 천성(天性)으로 타고난 효우(孝友)와 탁월한 예지(叡智)는 일찍이 향리(鄕里)에 널리 알려졌다. 일찍이 부형(父兄)의 엄(嚴)한 가르침을 받고, 또 점필제(?畢齊 김종직) 문하(文下)에서 성리학(性理學)을 탐구(探究)하여 엄하게 스스로 자기 몸을 닦는 방법을 세우니 선생이 일찍이 이르기를 능히 대학의 덕문(德門)에 들어가고, 능히 중용(中庸)의 도(道)를 닦는 자는 오직 청경(淸卿) 한 사람이라고 하였다.

단종 계유년(癸酉年)에 문과에 장원(狀元)하여 사헌부(司憲府) 지평(持平)에 제수(除授)되고 갑술년(甲戌年)에 홍문관(弘文館) 교리(校理)를 거쳐 을해년(乙亥年)에 이조참의(吏曹參議) 성균관(成均館) 대사성(大司成)을 역임하였다.

얼마 후에 병을 칭탁하고 고향으로 돌아와서는 오로지 학문만을 닦고 당시의 명유(名儒)들과 교유하며 때로는 혹 한가하면 동산을 배회하며 시냇가에서 바람을 쐬고 소영(嘯詠)하면서 심회(心懷)를 화창하게 펴고 흉중(胸中)을 깨끗이 씻으니 그 수연(愁然)한 의태(儀態)와 강의(剛毅 굳셀 의)한 기상(氣象)은 사람들이 감히 그 한계를 엿볼 수 없었다.

중씨(仲氏)가 마음으로 유독 사랑하여 공(公)의 자(字)를 청경(淸卿)이라 지어주고 그 당호(堂號)를 세심당(洗心堂)이라 이름하니 또한 5 형제가 화락하게 지냈던 정경을 엿볼 수 있다.

성종조(成宗朝) 갑진년(甲辰年)에 조정에서 홍문관(弘文館) 제학(提學)으로 불렀으나 나아가지 아니하고 중종조(中宗朝) 정묘(丁卯年) 10 월 2 일에 정침(正寢)에서 돌아가시니 뒤에 정헌대부(正憲大夫) 예조판서(禮曹判書)에 증직(贈職)되고 당시 사자(祠字)에 배향하자는 의훈이 있었으나 결과를 보지 못하였다.

배(配)는 증정부인(贈貞夫人) 창녕조씨(昌寧曺氏)로 유한정정(幽閑靜貞)한 덕행을 갖추어 능히 부군(夫君)을 승순(承順)하니 사람들이 세상에서 드문 여사(女師)라 일컬었다.

공의 묘는 창평(昌平) 도두원(道頭院) 갑좌원(甲坐原)이라고 이르나 임진난으로 인하여 실전(失傳)되고 만산동(萬山洞)에 소재한 군수공(郡守公)의 묘상(墓上)에 제단(祭壇)을 모셨다.

오호라! 공은 첨품(天稟)이 매우 고매하고 기자(氣字)가 유연하며 학문은 부사(父師)의 연원(淵源)이 있고 덕행은 형제간에 화순하는 지정(至情)이 있었다. 안으로 그 심덕(心德)은 너그럽고 넓으며, 밖으로 그 행실은 아름답고 아름다워서 사람들을 대하고 사물을 처리함에 조금도 막히는 바가 없었으니 거의 평생을 천시(天時)에 따르고 명의(名義)에 처(處)하는 군자(君子)였다.

4남(男)을 두었으니 장남(長男) 지선(止善)은 생원이요, 차남(次男) 창선(彰善)은 진사(進士)요, 삼남 삼선(三善)은 문과(文科)로 홍문관(弘文館) 응교(應敎)·통례원(通禮院) 상례(相禮)·홍문관(弘文館) 제학(提學) 등을 역임하였고, 사남 사선(思善)은 문과(文科)로 현감(縣監)을 지냈다.

손(孫)에 염(廉)과 노최련(盧崔連)의 처(妻)는 장자의 소생(所生)이요, 공우(公佑)·공좌(公佐)와 김윤신(金允信)의 처(妻)는 차자의 소생(所生)이요, 공건(公建) 생원 교수(敎授)와 공검(公儉) 승의랑(承議郞)과 이량(李良)의 처는 3 자의 소생이며, 연종(延終), 이원량(李元良)의 처와 이윤수(李允粹)의 처는 계자(季子) 소생이다.
이 밖에 자손들은 사승(史乘)과 보첩(譜牒)에 찬연(燦然)하니 여기에 모두다 기록하지 않는다. (중간 생략)

                산 높고 물 깊어 철인(哲人)이 태어나니

                청풍(淸風)과 밝은 달 그 덕이 아름답네.

                높은 뜻 빼어나 세상에 우뚝하고

                덕교(德敎)는 천인(天人)을 꿰뚫어 무궁하리.

 
-세심당 묘지명 중에서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