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37
게시물 검색 폼
  • 삼산정사
    광주시 북구 효령동 종방마을 산 189번지1963년 삼산정사(三山精舍)는 효령동 종방마을 내에 위치해 있으며, 건물은 콘크리트 기단 위에 4개의 신발돌과 다듬어진 주초를 놓고 그 위에 변주를 세워 정면 4칸, 측면 1칸의 일식기와로 된 팔작지붕으로 되어 있다. 내부에는 <三山精舍 上樑文三山精舍記 原韻 次韻(삼산정사 상량문삼산정사기 원운 차운)>등 모두 11개의 제액(題額)이 걸려있다.
    2018-12-13 | NO.22
  • 삼이재 심곡재
    서구 금호만호길 45-5금부마을에는 ‘서당터’에 일신당日新堂이라는 4칸집과 전주이씨들이 많이 살아 제각 삼이재와 심곡재心谷齋, 광산이씨 효열각이 있다.광주향교 『광주지』(1964)에는 심곡영당이 병천사 동쪽에 있어 정몽주, 지용기, 지여해, 지계최를 제향하는 곳이라 했다. 이 심곡영당이 금부마을로 옮긴 뒤 돈의당과 함께 자리하면서 심곡재로 바뀐 듯 하다.
    2018-05-24 | NO.21
  • 서령각 瑞靈閣
    광주시 북구 충효리 422번지광산김씨   부은공(芙隱公) 김석변(金碩變)의 아들인 도천공(陶泉公) 김정립(金貞立)의 호는 도천이며, 配는 안동김씨, 아들은 김경백(金景伯)이다.서령각은 도천공 김정립 이하 선조의 세일사를 봉행하는 재실이다.[세일사 : 한식일]
    2020-05-16 | NO.20
  • 소양재(素養齋)
    광주시 동구 내남동 내리마을 소양재(素養齋)는 소양공 참봉 김언형(金彦珩)과 처 단인인 김해김씨(金海金氏)을 기리는 재실이다. 1988년 광산김씨 후손들이 소양재를 건립하기로 의결하고 1991년에 완공했다.광산김씨 집의 김정(金禎)의 아들인 김언형은 호는 소양헌(素養軒)이며, 봉선전 참봉을 지냈다.전남 담양군 창평에서 광주로 이거하였다.  아들은 광김윤(金光胤), 숭인전 참봉 김광복(金光復)을 두었다.담양 창평 수곡리 출신  이산(尼山) 고광열(高光烈 1876 고종 13~1958)이 묘표(墓表)를 지었다.
    2020-04-28 | NO.19
  • 수덕재
    남구 서문대로 704번길 16옛 효덕동 월전(月田)마을이다. 월전마을은 진월동 삼익세라믹아파트 일대에 있었던 마을이었다.마을터에서 북동쪽으로 자생이산의 서쪽 산록에는 2채의 재각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창녕 조씨 문중의 수덕재(修德齋)이다.
    2020-03-19 | NO.18
  • 승유재(承裕齋)
    광주시 북구 매곡동 산 30번지승유재는 광산김씨 군수공 서헌(瑞軒) 김극치(金克?)와 配 영인 김씨(金氏)의 재실이다. 비선등 선영 아래에 있다.사재감 부정공 김삼성(金三省)의 아들인 군수공 김극치(金克?)의 호는 서헌(瑞軒)이다. 무과에 급제, 조산대부 양산군수를 지냈으며 선정을 베풀어 거사비를 세웠다. 기정진(奇正鎭)이 찬장하고 송재직(宋在直)이 비문을 지었다. 아들은 경력 김익청(金益淸), 만호 김익징(金益澄), 만호 김익담(金益湛), 참봉 김익온(金益溫)이다.
    2020-04-28 | NO.17
  • 어산재
    서구 서창동 92-1 서구 서창동 백마교차로에서 절골마을로 들어가는 왼쪽으로 들어가다가 약 300m 쯤 되는 곳 왼편에 있다. 어산재 옆에 장흥고씨 묘소가 있다.
    2018-05-25 | NO.16
  • 영모재2
    남구 효덕동 월전(月田)마을월전마을은 진월동 삼익세라믹아파트 일대에 있었던 마을이었다.마을터에서 북동쪽으로 자생이산의 서쪽 산록에는 2채의 재각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하남 정씨(河南 程氏)의 재각인 영모재(永慕齋)이다. 광주에는 하남정씨한산군파종친회가 있다.진월동에는 하남(河南) 정씨(程氏)의 시조, 정사조(程思祖)의 2세인 건천(巾川) 정광(程廣)이 은거했고, 묻힌 땅이 고스란히 남아 있었지만 결국 아파트에 밀려 흔적이 사라졌다.정사조는 원나라 사람으로 1351년 12월에 고려 공민왕의 왕비인 노국공주를 모시고 개경에 들어온 인물이다. 그는 노국공주를 보필하면서 어사대부(御使大夫, 관리의 감찰 업무를 맡는 관청의 정삼품 벼슬)를 지냈고, 훗날 공신으로 책봉되어 정일품인 삼한삼중대광(三韓三重大匡)으로 추증되었다.그를 따라온 두 아들이 있었는데, 큰아들 정도(程度)는 오부부사(五部副使)를 지냈지만 후손이 없어 대가 끊겼고, 둘째 아들 정광은 아버지를 따라온 직후인 1354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전중성(殿中省, 왕실 살림을 관장하던 부서) 판사(判事)에 이르렀다.정광이 광주까지 내려오게 된 것은 아마도 그의 아내가 광산(光山, 광주광역시 광산구) 이씨여서, 처가 동네 근처로 옮겨온 것으로 보인다. 그는 “물가에 터를 잡고 띠를 베어 산수간에 집을 짓고” 살면서, 때로 무등산 정상 서석대에 올라 송도를 그리워했다.
    2020-03-19 | NO.15
  • 영사재3 永思齋- 김성백 등
    영사재永思齋는 광주시 광산구 내산동 망월마을에 있다. 광산김씨 통정공 김성백(金成伯), 통훈 김장(金璋), 통훈 김수정(金守貞)의 세일사를 봉행하는 재실이다.[세일사 : 음 3월 9일] 통정공 김성백은 진사공 김사안(金師顔)의 아들이다. 임진왜란 때 충장공 김덕령이 억울한 옥사를 당하자 가솔들을 이끌고 나주(羅州) 도림면에 시거(始居) 하였다. 통정공 김성백의 아들인 수직 통훈 김장(璋)의 자는 덕보(德普)며, 配는 나주임씨이다.통훈공 김장의 아들인 김수정의 자는 경여(敬汝)며 配는 해주최씨다.
    2020-05-16 | NO.14
  • 영사재4- 순흥안씨
    무등산 입구에 순흥안씨 영사재가 있다.
    2019-12-03 | NO.13
  • 영식재
    광주시 서구 전평길 62(매월동)1929년매월동 개산마을에는 흥성 장씨興城張氏의 향제소享祭所이며 효우공孝友公 장창우張昌友(1704~1774)의 제향을 위한 재각이 영식재永式齋이다. 1928년 11월 문중회의에 의해 건축하기로 의결하고 1929년 8월에 건립되었다. 장정섭張整燮 장안섭張安燮 장창섭張昌燮 등이 주도적 역할을 하였다. 재각 구조는 재실 1동과 정문으로 되어 있으며 재실은 4간 기와 방풍집으로 단층 평기와 팔작지붕 건물이다. 내부에 대청마루 1칸, 좌우 온돌방 2칸을 조성하였고 천정은 평천정으로 되어 있다. 천정은 종도리를 중심으로 5량집이며 처마는 겹처마로 대문은 소슬대문으로 되어 있다. 동서 양재兩齋와 대청 2간이고 정문 역시 3간이다. 현와弦窩 고광선高光善이 상량문을 짓고 후석後石 오준선吳駿善, 안동후인安東后人 김서규金瑞圭 지사知事가 기문을 남겼다. 정원에는 문화적 가치가 높고 신선 세계에서 볼 수 있는 동자상童子像이 서있고 수령 높은 고목이 아름다운 풍치를 이루고 있다. 대청 앞에는 영식永式이란 현판이 걸려있는데 이는 효우공의 아름다운 행적을 오래도록 본받자는 뜻에서 고종황제의 아들 의친왕義親王이 써준 것이라 한다. 이런 연유는 효우당이 평소 부모님을 효도로 극진히 모셨고 마침내 부친의 상을 당하여 3년간 시묘하였다. 하루도 눈물이 마를 날이 없어 그 자리에는 풀도 자라지 못하였고, 효성에 감동한 호랑이가 여막 주위를 호위하였다는 일화가 전한다.  이런 까닭으로 주위에서는 칭송이 자자하고 지방 사림士林이 다투어 칭찬하여 공의 훌륭한 행적에 대해 향론鄕論이 계속 있었으니 이 사실이 광산읍지光山邑誌 및 삼강록三綱錄에 기록되어 왔다 또 기둥에는 8개의 주련이 있는데 모두 자손에게 교훈된 문구로 되어 있다.  영식재 주련一樹開花各自紅 四時芬苾肅恭中 百世羹墻瞻仰上 千流分派同歸碧 拜謁斧堂正鞠躬 光前裕後業無窮遙知萬事求在我 追遠誠心戒愼終 기문은 다음과 같다.영식재서永式齋序광주 동하의 동쪽에 높은 산이 있는데 화개산華蓋山이라 한다. 이 산 양지에 송림이 우거져 있고 초동들도 함부로 도끼를 들지 못 하며 향인들도 이곳을 지나갈 때는 의관을 단정히 매만지고 절을 올리는 곳이 있으니 바로 장 효자의 묘墓라. 공公의 휘諱는 창우昌羽요 자字는 자칠子七 호號는 효우당孝友堂이라. 어려서부터 성품이 특이하여 부모에게 효도하였는데 공양과 보살핌에 극진하였다. 부모님이 돌아가시자 슬퍼함에 극도에 달하여 예禮를 넘었다. 3년 동안 시묘할 때 호랑이 와서 보호해 주었는데 이는 효성에 감동된 소치라고 사람들은 말하였다. 향촌 선비들이 이를 칭송하고 관에서는 포창을 하였으니 읍지에 소상히 기록되었고 지금까지 수 백년 동안 시골의 노인들에게 계속 전해져 오고 있다. 그 자손은 각지에 흩어져 살고 번창하고 또한 가문의 빛난 이름을 잃지 않고 있으니 이 어찌 공의 음덕이 아니랴.장군張君 안섭安燮은 즉 공의 7세손이라 하루는 나에게 말하기를 우리 선조 효우당 제각이 지어진지 오래되었고 편액은 영식이라 하였으니 묘를 바라보거나 지날 때 본을 받고자 하는 뜻이라. 제각에 오르고 내리며 나가고 들어갈 때 그 사모함은 깊으나 아직까지 실기實記가 없어 내가 심히 부끄럽소이다. 한마디 좋은 말을 해주시어 오래토록 전해진다면 다행이 아니겠습니까.내가 응하여 말하기를 공의 행의行義가 매우 돈독하오. 묘를 보살피면서 반드시 실천하고 또한 그침이 없으니 과연 본손들이라 할 수 있오. 재齋의 이름을 살피고 뜻을 생각해보니 매우 훌륭합니다. 공을 흠모하는 사람들은 묘를 지나나면 뵈옵지 않더라도 긍식矜式은 궁행躬行할 수 있을 것이며 공을 본받아 각자가 오래토록 효를 다 한다면 옛날의 거룩한 일들이 현 세상의 도리가 되었으면 다행일 것이다. 드디어 졸렬함을 물리치고 이와 같이 쓴다. 경오(1930년) 春 下浣 安東后人 金瑞圭 謹記
    2018-05-24 | NO.12
  • 오남재(吾南齋)
    광주시 광산구 임곡용동길 1661560년오남재는 광산구 신룡동 용동마을로 고봉의 부친인 물재物齋 기진奇進(1487~1555)이 동생 복재 기준奇遵(1492~1521)의 기묘사화로 인한 죽음에 서울 생활에 회의를 느끼고 남쪽인 이곳에 처음 내려와 살던 곳이다. 기진은 조선 전기 문인으로 본관은 행주幸州, 자는 자순子順, 호는 물재勿齋이다. 광주 광산구 신룡동, 광산군 소고룡면召古龍面에 속한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신촌리新村里·천동리·용동리·구룡리九龍里 등의 일부를 합하여 임곡면林谷面 신용리가 되었다가 1995년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용동이 되었다. 행주幸州 기씨奇氏 집성촌으로 형성됐다.이 마을 입구 중앙 언덕에 기씨의 재각인 청량재淸凉齋와 함께 낙암정樂庵亭이 자리하고 있다. 이 정자 안쪽에는 기대승의 유허비인 기고봉유허비奇高峯遺墟碑가 있고, 오남재는 기대승의 아버지인 덕성군 물재 기진을 제향하는 재각으로 1560년에 건립되었다.  오남재 건물은 정면 5칸, 측면1칸의 골기와 8작지붕이며 건물 내부 우측에 '금송유사 공사원 유사임자' 3월 29일이란 현판 내용과 제각 정면에 고봉선생과정기훈高峰先生過廷記訓이란 제하의 기문이 걸려있다.오남재 근처 산에 물재공의 묘가 있으며. ‘덕성군물재기공유허비’가 근처에 있다.
    2018-12-16 | NO.11
  • 원모재 遠慕齋
    광주시 광산구 양산동 386 (양곡마을)원모재는 贈 통정대부 비서원 지서승공 김탄(金坦, 1528~?)과 配 贈 숙부인 평산신씨(平山申氏), 繼配 贈 숙부인 나주임씨(羅州林氏)의 세일사를 봉행하는 재실이다. 비서승공 광산김씨 김탄(金坦, 1528~?)은 贈 시독공 김충남(金忠男)의 아들로 자는 정로(正路)며, 통정대부 비서원 비서승에 증직되었다. 配는 贈 숙부인 평산신씨, 繼配는 贈 숙부인 나주임씨이며, 아들은 김신후(金信 ), 김신종(金信宗), 자헌대부 김신장(金信璋)이다. [세일사 : 음 10월 3일] 
    2020-05-17 | NO.10
  • 유연재 油然齋
    현풍 곽씨(해미곽씨) 곽해(郭海)의 초명은 환(桓). 호는 건지당(乾止堂). 고려 공민왕때 등과, 좌우위보승중랑장(左右衛保勝中郞將)을 역임한 중랑장공파조(中郞將公派祖) 이하 누대의 재청이다.광주시 광산구 산막동 원산막에 있다. 본당 18평, (부속동 16평), 부지 134평 제향은 매년 양력 3月 마지막주 일요일 10시에 갖는다.
    2020-08-11 | NO.9
  • 이상재
    서구 서창동 세동마을광주향교의 『광주지』(1964)에는 서구 서창동 세동리 삽개봉揷盖峰 아래에 김해김씨金海金氏 문중의 충입재실忠立齋室로 첨지僉知 취헌翠軒 김명택金鳴澤을 기리는 이상재履霜齋가 있었다. 다른 자료에는 이곳이 일제의 침입에 대항한 항일운동을 했던 김원국金元國을 함께 제향하는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골기와 팔작지붕 건물이라 한다.
    2018-05-25 | NO.8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