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하모당 何暮堂

동구 문화전당로 38 (광산동)

 

광주의 동헌을 하모당이라 하였다. 1872년 지방지도에는 남쪽의 제일 깊숙한 곳에 위치한 동헌의 모습이 자세히 묘사되어 있다. 회랑에 둘러싸여 있으며, 누각과 삼문 등 총 15채의 건물이 자리잡고 있다. 광주읍지(1879, 1924)에는 하모당이 객사의 동쪽에 있다.

건물의 정확한 형태는 알 수 없으나 대체로 본 건물을 중심으로 기다랗게 놓인 행랑이 빙 둘러 놓였으며 그 가운데 뜰에는 연못도 있었다고 한다. 삼문으로 이루어진 출입문은 지금의 구도청 쪽으로 나 있었다.

건물면적이 대략 50여 평 남짓했던 하모당은 1911년부터 상품진열소로 사용됐다. 광주·전남지역의 토산품을 전시한다는 목적이었다. 이후 하모당이란 이름은 차츰 사람들의 기억에서 지워지고 같은 자리를 상품진열소라 부르게 되는 관행이 생겨났다. 그리고 이때에 원래의 하모당 내부도 상당부분 개조됐다고 한다. 이것으로 부족해 일제는 그 옆에 새로 하얀 벽면의 일본식 목조건물을 지어 상품진열소 신관(新館)이라 했다. 삼문을 들어서면 바로 마주한 것이 바로 이 신관이었다.


*삼문 뒤편으로 보이는 흰 건물이 1911년에 신축한 상품진열소 신관이고 그 옆으로 하모당이 있었다. 사진은 하모당 삼문이 경무부와 헌병대 정문으로 사용됐을 때 촬영됐으며 촬영시기는 1910년대 후반으로 추정된다.

하모당 근처에는 다른 관아건물들도 연달아 들어섰다. 1699년 하모당에서 열 걸음 정도 떨어져 신축된 소빈헌과 월소루가 그것이다. 아울러 1871년에는 목사 신석유가 광주일고 근처의 공북루와 함께 이곳 하모당을 대대적으로 수리를 했다고도 전해진다.

하모란 중국 한나라 때 염숙도가 지방관으로 있으면서 선정을 베풀자 지방민들이 염숙도여, 어찌하여 이렇게 늦게 부임하셨습니까[廉叔度 來何暮]’라고 했다는 후한서의 고사에서 따왔다. 이후 하모는 지방관의 선정을 일컫는 말이 됐다.

하모당은 이런 선정에 대한 염원보다는 임진왜란 뒤에 가장 늦게 세워진 건물이란 의미가 더 강했다. 하모당이란 이름은 1610년대 광주목사를 지낸 해봉 홍명원(15732~1623) 시절에 건물의 준공을 기념해 지은 하모당기를 보면 내력이 나온다.

7년에 걸친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겪은 뒤에 광주 시내는 황폐해졌다. 전란의 영향으로 광주관아 역시 건물이 헐고 비루해져 도저히 관아로 쓸 수가 없어 몇 년 동안 민가를 빌려 써야 할 판이었다고 한다. 그래서 고을의 면모를 생각해 뒤늦게 지은 집이란 뜻으로 하모당이라 지었다는 것이다.

하모당은 목사의 집무실인 상방上房이 좌우 각 2칸씩 있었고 여기에 익랑翼廊 1, 협방夾房 1칸 등 모두 6칸으로 이루어졌다. 목사의 집무실이자 재판정 구실도 했다. 이 건물의 중요성에 비추어 건물의 위치가 후대의 기록에라도 남아야 할텐데 그 기록을 찾기 어렵다 

이 건물은 1896년 광주가 전라남도의 관찰부(훗날 도청) 소재지가 되면서 관찰부의 부속건물로 사용됐다. 관찰부가 된 그 해 9월 광주에 온 한 지방관의 견문기록에 따르면 하모당은 서석헌瑞石軒이란 이름으로도 불렸고 관찰사의 집무실인 선화당宣化堂과는 다른 건물이라고 했다. 광주관아의 중심건물이었던 하모당은 전남관찰부 시절부터는 부속건물로 지위가 낮아진 셈이다.

현재 하모당의 위치는 가늠하기 힘들다. 하모당 자리는 1920년대 중반, 그 옆에 무덕전(武德殿)이란 일본식 건물이 세워지면서 헐렸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무렵 상품진열소도 옛 전남도의사당 자리, 즉 회화나무 뒤편으로 옮겨갔고 삼문도 헐렸다.

하모당 일대에는 1876년에 처음 문향각이란 이름으로 지었다가 이듬해에 불타 없어지는 바람에 거의 새로 짓다시피 한 누각인 신향각, 관찰사의 숙소였던 내아, 전남 도내를 아우르는 경찰본부 격이던 경무청, 관찰사의 비서 업무를 수행하던 집사청과 사령청, 각종 행사에 동원됐던 취타수들의 거처였던 취수청, 그리고 이런 건물들의 정문이었던 삼문 등 수 십 여 채의 건물들이 있었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