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풍영정 風詠亭

광산구 풍영정길 21(신창동)

 

풍영정은 조선시대 승문원판교를 지낸 칠계 김언거(金彦据, 15031584)가 지은 정자로 광주와 광산 일대에 있는 100여 개의 정각 중 대표적인 것이다.《광주읍지》(1879, 1924)에는 주의 서북쪽 20리에 있다. 지금의 광산구 신창동 선창산(仙滄山)과 극락강(極樂江)이 마주치는 강변의 대지 위에 있다.

풍영정은 앞면 4칸 옆면 2칸 규모이며 팔작지붕이다. 극락강 상류에 지은 정자 안쪽에는 이황, 김인후 등이 지은 현판들과 한석봉이 쓴 제일호산第一湖山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광주시 문화재자료 제4호이다.

김언거는 언제 풍영정을 지었을까? 광산김씨칠계공파 문중의 자료에 의하면 김언거가 승문원 판교 시절인 1558년에 지었다고 되어 있다.

 그런데 송인수와 송순, 그리고 송흠의 시와 퇴계 이황이 1548년에 쓴 ‘김계진 시첩’의 발문을 살펴보건대, 풍영정은 1548년 이전에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황에게 풍영정 차운시를 받은 때가 1545, 송순의 시는 송인수의 시에서 차운한 때를 1543년으로 밝혀 결국 그 이전에 풍영정이 지어졌을 것이다.

극락강과 경전선 철로가 내려다보이는 강변의 언덕 위에 세워진 정자는 지금은 강물과 강폭이 줄어들어 운치가 옛날 같지는 않으나 멀리 광주시가지 너머로 바라보이는 무등산의 위용은 여전히 장관이다. 정자로 오르는 돌계단도 가파르지도 않고 아담한 높이여서 평지를 가듯 편안하게 오를 수 있다.

풍영정에는 현판에 얽힌 재미있는 전설이 있다.

명종이 정자에 걸 현판의 글씨를 당시 기인이었던 갈처사에게 받아 걸라고 하였다. 김언거는 기쁜 마음으로 갈처사를 찾아갔으나 여러 번 헛걸음을 하였고 14번이나 찾아간 끝에 만날 수 있었다. 갈처사는 칡넝쿨로 붓을 만들어 글을 써주며 기는 길에 절대로 펴보지 말라고 당부했다. 하지만 궁금함을 참지 못한 김언거는 살짝 첫 장을 펼쳐 보고 말았는데 첫 장을 펼치자마자 자가 하늘로 날아가 버리고 말았다. 놀란 김언거는 돌아가 갈처사에게 다시 써 줄 것을 청했지만 거절당하자 할 수 없이 갈처사의 제자인 황처사에게 자를 받았다. 그래서 지금도 현판을 자세히 보면 자는 나머지 詠亭보다 자획이 조금 비뚤어져 있다는 것이다.”

또다른 이야기도 있다. 김언거는 덕망이 높아 낙향을 하자 그를 아끼던 사람들이 12채나 되는 정각을 지었다고 한다. 하지만 풍영정 이외의 11채의 정각들은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풍영정만 소실을 면한 데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있다. 다른 정자들이 다 타버리고 풍영정이 불길에 휩싸이자 현판 글자 가운데 앞의 풍〉자가 오리로 변하여 극락강 위로 날아올랐다. 기이하게 느낀 왜장이 즉시 불을 끄도록 하자 극락강의 오리가 현판에 날아들어 다시 글씨가 또렷이 되살아났다. 현재 정각에 걸린 현판의 글자를 자세히 살펴보면 풍자와 영정의 글씨체가 다른 것임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이 이 전설이 생겨난 까닭이 아닌가 여겨진다.

정자에는 주인 김언거의 원운 이외에도 퇴계 이황, 하서 김인후, 고봉 기대승, 석주 권필, 송인수 등을 비롯한 여러 문인들이 시를 남기는 등 현재도 47개에 달하는 현판이 걸려 있어 풍영정이 호남 지방 정자문화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실감할 수 있다.

풍영정의 ‘풍영 風詠’은 <논어> ‘선진’ 편에서 증점이 공자에게 한 말인 “늦봄에 봄옷이 다 만들어지면 어른 대여섯, 동자 예닐곱과 함께 기수 沂水에서 목욕하고, 무우 舞雩에서 바람을 쐬고는(風乎舞雩) 노래를 부르고 돌아오겠다.(詠而歸)”의 ’바람을 쐬다‘의 풍 風과 ‘노래를 부르다’의 영 詠에서 따온 이름이다.

정자에는 ‘풍영정 風詠亭’ 현판이 두 개 있다. 정자 밖에 하나, 안에도 하나 있다. 정자에 올라서 극락강을 바라보니 경치가 너무나 빼어나다. 풍류를 즐길 줄 아는 옛 선비들이 이곳에서 시 한 수 읊었음직하다.

여기에는 〈제일호산(第一湖山)〉이라는 편액(扁額)도 걸려 있는데, 이는 명필 한석봉(韓石奉)이 쓴 것이다

사람은 자연을 좇고 자연은 인간 세상을 따르니 풍영정 앞으로 흐르는 천의 이름은 풍영정의 이름을 빌어 풍영정천이라 부른다. 풍영이란 뜻은 세상에서 모든 잡념을 버리고 오로지 자연 경관을 벗 삼아 스스로의 심신을 다스리는 하나의 수양을 의미한다.

세상의 온갖 복잡함에서 벗어나 자연의 바람을 맘껏 즐기며 시만 읊겠다는 뜻이 풍영이라는 정자 이름에서 그대로 드러나 있다. 이러한 김언거의 속마음이 풍영정 원운에 그대로 나와 있다.

 

替緩年來未得休 벼슬길에 있으면서 편히 쉬지 못했는데

暫登高閣一刪愁 높은 누정에 올라서니 모든 근심 사라지네

月邊孤影人移棹 노를 젓는 사공 외로운 얼굴 달빛 아래 비추이고

風外寒聲鴈下洲 물을 찾는 기러기떼 바람에 차갑구나

爲是名區開壯麗 이름 있는 이 지역이 한이 없이 화려하니

仍敎行客故淹留 지나가는 길손들이 찾아와서 머무르네

憑看諸老詩篇在 난간위에 기대앉아 여러 시편 바라보니

漆水羅山護萬秋 칠수나산 경관이 천만추를 이어가리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