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오산정1 梧山亭

북구 서하로 243 (오치동)

 

한말에 좌승지를 지낸 오산 이용헌이 오치의 산수를 사랑하여 오치동의 산 정상에 작은 정자를 지었으나 완성을 보지 못하고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그의 아들인 송천 이계익이 1911년 부친의 뜻을 이어 이 정자를 오치의 안산案山에 완성하고 아버지의 호를 따 오산정이라 이름했다.

광주읍지(1924)에 주의 북쪽 10리에 있다. 판서 윤용구의 제액 및 승지 동강 김영한의 기문이 있고 석담 이종문, 운재 최영조, 현와 고광선 등의 차운이 있다.

1971년 남해고속도로 공사를 할 때 산에 있던 정자를 북구 오치동 518번지로 옮겼고, 1987년에 현재의 위치인 북구 오치동 이재열(이용헌의 후손)의 가옥 안으로 이건하였다. 앞면 3칸 옆면 3칸 구조의 팔작지붕 정자이다. 다만 본래의 정자 규모를 줄여 지었다 한다.


오산정기(梧山亭記)

()의 이름은 오산(梧山)으로 불망(不忘)을 표현한 것이다. 26세 증좌승지공용헌(贈左承旨公龍憲)이 은거하여 오산(梧山)의 향리에서 의를 행하며 산천을 사랑하여 스스로 호를 오산(梧山)이라 하고 정자를 세우려 하였다.

정자의 완성을 보지 못하고 공이 졸()하니 그의 아들인 재랑(齋郞)군이 유지(遺志)를 이어 정자를 완성하고 공의 호로서 이름을 붙이는 것에 대하여 나에게 상의하니 내가 무슨 말이 있겠는가.

옛날 주자(朱子)는 위제구편(韋齊舊偏)을 취()하여 자양당(紫陽堂)이라 하였으니 이를 받아들이지 않을 수가 없는 일이다. 그 아들이 아버지를 효심에서 잊지 못하였다.

정자에 오르니 산이 눈 아래에 보이고 그 어버이를 생각하는 점이 빛나며 암석(岩石)이 잘 조화를 이루었다. 고향의 초목이 울창하게 된 것은 그 선친이 감상하려고 재배하였기 때문이다. 내가 공의 척사설(斥邪說)과 십회잠(十悔箴)을 읽고 그 정대하고 강직한 품성을 알았다.

공은 참을 실천에 노력하여 유학을 가르치는데 보람을 가지고 그에 맞는 문필에 종사하였다. 공에게서 배움을 마치고 그를 이은 자는 응당 공이 배척함을 물리쳤다.

그의 바른 행동은 공이 스스로 뉘우쳐서 바로 함에 있어서도 한 치의 어그러짐이 없이 정대하였으니 이로 미루어 공의 모든 행동을 짐작할 수가 있을 것이며 오산공(梧山公)이야말로 유가(儒家)의 전형적인 인물이기에 잊을 수가 없는 것이다. 그대들은 어떻게 생각하는지 글로 힘써 받는다.


오산 용헌공 행장(梧山 龍憲公 行狀)

공의 휘()는 용헌(龍憲)이며 자는 운오(雲五)요 호는 오산(梧山)이다. 시조 언()2625세손이며 기성군(箕城君) 휘 긍()1615세손이요. 휘 경수(鯨壽)1110세손으로 철종 신해년(哲宗辛亥年 1851) 96일 광주 오치(梧峙)에서 출생하였다.

공은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에게 사사하여 학문을 연구하고 그의 손자인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과 함께 성리학(性理學)을 강론하였으며 문집을 간행하였다.

이 문집에 서암 송병제(緖菴 宋秉濟)가 서문을, 도사(都事) 연안 이석(延安李奭)이 발문(跋文)을 지었다. 고종 을미(高宗乙未)(1895)311일에 졸()하니 묘()는 담양군(潭陽郡) 금성면(金城面) 외추리(外楸里) 회룡등계좌원(回龍嶝癸坐園)이다.

고종정미(高宗 丁未)(1907)에 효우(孝友)와 덕행(德行)으로 통정대부좌승지(通政大夫左承旨)에 추증(追贈)되었다.

송사 기우만이 찬갈명(撰碣銘)하고 황헌 박노준(皇軒 朴魯準)의 찬묘표(撰墓表)하다. 공의 후생(後生)들이 공의 유덕(遺德)을 흠모하여 비()를 건립했는데 현와 고광선(弦窩 高光善)이 비문(碑文)을 찬()하고 참판 이우명(參判李愚明)이 비문(碑文)을 썼다.

() 계익(啓翼)이 공()의 유지(遺志)를 받들어 오치(梧峙)에 정자(亭子)를 세워 오산정(梧山亭)이라 이름하였다. 이 정자(亭子)에 석촌 윤용구(石邨 尹用求)는 서액(書額), 동강 김영한(東江 金寧漢)은 정기(亭記), 춘담 기동준(春潭奇東準)은 상량문(上樑文)을 각각썻다.

()는 숙부인 여흥 민씨(淑夫人驪興閔氏)로 철종 기유(哲宗己酉)에 출생하여 기미(己未) 1123일에 졸()하였으며 묘는 광산구 임곡면(林谷面) 방혜촌후(芳蕙村後) 병좌원(丙坐原)이며 동강 김영한(東江金寗漢)이 찬묘표(撰墓表)하였다.


1992년 광주광역시에서 발간한 누정제영(樓亭題詠)에 오산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광주광역시 북구 오치동 9568번지 이재열씨(李載烈氏)의 가내(家內)에 위치해 있다.

이 정자는 원래 이 마을의 함풍이씨(咸豊李氏)인 송천 이계익(松泉李啓翼)이 그의 부() 오산(梧山) 이용헌(李龍憲)의 유지를 기리기 위해 일부러 지은 한말의 건물이다.

이 정자의 주인인 오산 이용헌은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의 문인(門人)으로 학행이 뛰어나 통정대부좌승지(通政大夫左承旨)의 증직(贈職)이 제수되고 그의 유고(遺稿)가 발간된 학문의 선비일 뿐아니라 전래(傳來)의 요족한 가산(家産)을 그대로 보전하여 많은 빈민을 구제한 당시의 토주(土主)이기도 하다.

이러한 그가 특별히 오치(梧峙)의 맑은 산수(山水)를 사랑하여 오치의 오자(梧字)와 산수(山水)의 산자(山字)로 그의 아호(雅號)를 자칭하고 이어 이 지역의 한적한 한곳을 골라 그의 일신(一身)을 서식하는 아담한 한 정자를 지으려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뜻을 이루지 못한 채 병환으로 세상을 뜨게 되었고 이를 안타깝게 여긴 그의 아들 송천 이계익(松泉 李啓翼)이 그의 뒤를 이어 이 정자를 지었다. 그리고 그의 아버지의 유지임을 나타내기 위해 일부러 그 이름을 오산(梧山)이라 한 것이다.

이 때문에 이 정자의 이름이 비록 그의 아버지인 오산 이용헌의 아호로 되어 있다할지라도 실질적인 주인은 오산 이용헌이 아닌 그의 아들 송천 이계익의 정자이다.

송천 이계익(松泉 李啓翼)은 고종 무인년(高宗 戊寅年)1878년에 태어나 일제침략기가 끝난 다음해인 1946 병술년에 졸()한 당호의 선비로, 일찍 영릉참봉(英陵參奉), 승훈랑(承訓郞) 등의 관작이 제수되었다.

면암 최익현(勉菴 崔益鉉)의 거의(擧義)와 동농 김가진(東農 金嘉鎭)의 독립운동 등에 많은 협찬을 아끼지 않았으며, 또 남달리 자선심이 뛰어나 자신의 회갑 비용을 아껴 빈민구제에 힘쓴 진실한 독지가이기도 하다.

이러한 사실은 비단 함평이씨 기성군파보(箕城君派譜)광주지그리고 그의 손자로 이 정자를 수호하고 있는 이재열의 증언뿐 아니라 당시 각 명사 2백명분의 육필원본(肉筆原本)을 모아 4권 일갑(一匣)의 고급장정으로 표구한 그의 회갑시첩(回甲詩帖)에서도 이의 사실을 엿볼 수 있다.

이 시첩(詩帖)의 내용을 살펴보면 인촌 김성수(仁村 金性洙)를 비롯한 백관수(白寬洙), 최두선(崔斗善), 오세창(吳世昌), 정인보(鄭寅普) 등의 뛰어난 필적(筆跡)이 그대로 남아 있어 보는 사람의 마음을 황홀케 하였다.

이러한 점을 본다 하더라도 송천 이계익의 당시 사회적 위치가 어느 정도임을 느낄 수 있고 또 그의 효심에 의해 지어진 이 정자의 규모가 어떠함을 알 수 있다,

이 정자의 창건 내력을 살펴보면, 1911년에 오치의 안산(案山)에 세워져 별다른 이상 없이 그대로 보존해 오다가 1971년도의 남해고속도로 공사로 인하여 부득이 오치동 518번지의 본가로 이건하였다가 1987년도에 다시 그의 위치를 바꿔 현재의 장소로 이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도리 석초 도리 기둥의 골기와 팔작지붕으로 정면 3, 측면 4칸의 구조를 갖추고 있으나 실지에 있어서는 정측면 모두 2칸 정도의 규모에 불과하다.

중앙의 옥실일간(屋室一間)을 제외한 좌우전면이 모두 툇마루로 연결되어 있고 사방의 주위가 시멘담장으로 둘러있어 매우 삭막한 느낌을 갖게 한다.

이 정자를 관리하고 있는 주인 이재열씨의 말에 의하면 당초 이 정자를 이건할 당시 주변의 여러 사람으로부터 필요없는 옛날의 정각을 무엇하러 많은 경비를 들여 옮겨 지으려 하느냐는 많은 핀잔을 받기도 하였다는 것이다.

그러나 자손의 도리로 선대(先代)의 유업(遺業)을 지켜야 한다는 굳은 신념으로 두 차례의 어려운 이건을 거쳐 오늘의 보전이 있게 된 그 이면에는 신병중(身病中)인 자신을 대리한 부인 고연(高涓) 여사의 숨은 공로가 컸다는 귀띔이다.

그리고 오늘의 이 정자는 본래의 원형을 축소하여 현재의 지형에 알맞도록 다시 개조한 신규 건물로 그의 보전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그러나 의당 정내(亭內)에 결려있어야 할 주인 이계익의 12(原韻), 원기(原記)를 비롯한 윤용구(尹用求), 김영한(金寗漢), 최영조(崔永祚), 고광조(高光祚) 등의 대서 현판 및 찬미 시문(詩文) 30여개의 판각(版刻)이 창고 및 뒤뜰에 방치되어 있어 정자로서의 품위를 잃고 있다.

오산정 원운에서 이계익 선생의 효도의 심정을 읽을 수 있다.

지난 옛날 부모 생각 때가 없이 간절하여
동냥나무 다스려서 이 정자를 세웠도다.

아름다운 서석의 영기 구름속에 묻혀있고
바라보인 망봉 달빛 더딤없이 솟았도다.
푸른 정자 그 유적이 한이 없이 아름답고
전해오는 바른 이모 이내 사정 깊었도다.

척강하는 그 영혼이 보일듯이 나타나니
신비한 이 이치를 터득하기 어렵도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