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양암정 羊巖亭

광산구 산막동 (어등산 북쪽)

 

양암洋巖 최형崔衡(1663~ ?)이 지냈던 곳으로 광산구 어등산의 북쪽 황룡강 위에 있었던 정자이다. 조선지지자료(1910)에는 광산구 산막동이라 했다.

호남인물지(湖南人物志)에는 최형(崔衡)의 자는 평숙(平叔)이요 호는 양암(羊岩)이다. 본관은 수원(水原)이다.

그는 우암 송시열과 남계南繼) 박세채 (朴世采)의 문인이었다.  그는 송시열과 박세채와 자주 서신을 나눴고 송시열이 제주에 귀양갔을 때 양과 궤유跪乳의 뜻으로 양암羊巖 2자를 써 주었다 한다. 그 후 자손들이 유지에 정자를 지었다.

최형이 쓴 <만덕창수록(晩德唱酬錄)>은 박광일(朴光一, 1655-1723)·안여해(安汝諧, 1657-1691)·송주석(宋疇錫, 1650-1692)·양경지(梁敬之) 등이 그들의 스승 송시열(宋時烈, 1607-1689)과 수창(酬唱)한 시들을 수록한 것이다. 

부록으로 송시열이 숙종(肅宗) 15년(1689) 세자책봉과 관련하여 올린 상소가 문제가 되어  제주 유배 당시 박광일·안여해·최형(崔衡)이 가는 길을 동행(1689년 2월 18일-2월 29일까지)하면서 기록한 일기가 있다.

일기 뒤에는 박광일이 용진사(聳珍寺)에서 강학할 때 제자들과 수창한 시를 수록한 <용진창수록(聳珍唱酬錄)>이 함께 편집되어 있다. 이 책은 박광일이 당시 기록해 두었던 것을 그의 손자 박하진(朴夏鎭)이 편집·간행한 것이다. 

그는 현종(顯宗) 4년에 나서 우암(尤菴) 남계(南溪)와 논변(論辨)한 서신이 많고 우암이 제주에 귀양갔을 때 양궤유(羊궤乳)의 뜻으로  양암(羊岩) 2자를 써 주었다 한다. 최형은 돌아와서 용강(龍江)의 석벽(石壁)에 새겼는데 그후 자손들이 유지(遺址)에 정자를 지었다. 유집(遺集)이 있다.

우암 송시열이 정면의 현판을 썼고 광주부사였던 조철영이 용강龍崗의 석벽에 각자했다고 전한다.

자주 들렸을 법한 백하 양상형의 시도 있다. 후석 오준선이 이곳에 자주 들렸던 것으로 보아 그때까지는 정자가 있었음을 암시해주고 있다.

<간양록看羊錄>의 수은 강항이 어느 날 황룡강을 지나다 비를 만나 연잎으로 종이머리를 감싸고 있는 모습을 여유롭게 지었던 시가 아련하게 다가온다.

連江驟雨動經瀾 강물 위 소낙비에 잔물결 일렁이고

細葛初霑六月寒 가는 베옷 비에 젖자 유월에도 춥구나.

倦客行裝多勝事 지친 손님 행장에도 볼 만한 일 많나니

馬前童僕盡荷冠 말 끌고가는 하인들이 연잎 고깔 다 쓰고 있네.

 기우만이 양암정기(羊巖亭記)를 남겼다.
詠歸爲臺 羊巖先生崔公暮春風浴之所 公身後二百有餘年 始亭焉 亭宜曰詠歸 而臺之側面濱江白石 有所刻羊巖二大字.....

이 밖에 이곳에는 기우만과 유유상종했던 절인 석음(石陰) 박노술(朴魯述, 185I∼1917) 등이 시문(謹次羊巖亭韻, 羊巖亭記)를 남기고 떠났다. 이때 중수했음을 알수 있으나 지금은 사라지고 없다.

10대를 지나 양암에 처음 정자를 세웠네
선현의 운수소관에 신령스런 땅
처마 끝 나지막한 달은 청백한 마음 전해주고
곱절되는 뜰 나무는 득의양양 푸르러라

이후로 양암 언덕길이 적막하지 않을 터
멈춰선 지팡이 다시 머문 듯
곧은 마음 말하려도 아는 이 없어
강산을 들러보니 아득할 뿐이다.

羊巖亭記
詠歸爲臺。羊巖先生崔公暮春風浴之所。公身後二百有餘年。始亭焉。亭宜曰詠歸。而臺之側面濱江白石。有所刻羊巖二大字。卽尤翁手筆書贈公於晩德蕭寺者。尤翁蓋嘗經過。緣江越瞻。白石似眠羊。因念高人隱居行義於其中。澗阿孔邇。愛而不見。深喜其追到晤言。有是贈。公奉以摸刻。因又自號。亭不以羊巖。則當日授受眞傳。恐復埋沒。雲仍名亭之義得矣。登斯亭者想像先生之風。而念先生爲尤翁不見而願見。旣見而深喜者。用何道而致然。則此亭之有助於後生者。豈曰少也。亭旣落。後孫潤聖致諸仍之意。求爲文。宇萬嘗屢登而高景者。不辭而諾

/松沙先生文集卷之十八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