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애일당(愛日堂)

광산구 광곡길 73 (광산동)

애일당은 한국적 살롱문화 溪山風流의 산실로 일컫는다. 광주광역시 광산구 광산동 광곡(廣谷 너브실)마을에 고봉의 13대 후손 기세훈(奇世勳, 1914~2015)이 지낸 애일당(愛日堂)이 자리하고 있다.


너브실에서 가장 유명한 집이 고봉의 13대 후손 기세훈(奇世勳, 1914∼현재)의 고택이다. 애일당(愛日堂)이라 불리는 이 집은 고봉의 6대손 기언복(奇彦復)이 숙종 때 처음 터를 잡은 이래 300년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고봉 사상을 연구하는 ‘고봉학술원(高峰學術院)’이 들어서 있다.

현판 글씨는 성당 김돈희(惺堂 金敦熙, 18711937)가 필체를 남긴 것으로 보아 이곳도 일제강점기 때 지어졌다는 추측을 낳게 만든다. 당내에 1935년 기근섭이 지은 애일당을 지으면서 시를 짓고 그 내력을 간단히 적은 현판과 근대 한학자·교육자·역사가로 1934년 일제가 날조한 역사 대신 우리의 역사 속에 흐르는 얼사상을 주창했던 위당(爲堂) 정인보(鄭寅普 1893 ~ 1950) 가 애일당의 건립내력을 적은 기문 애일당기(愛日堂記)가 있기 때문이다.

당명 애일(愛日)은 자식이 부모를 섬기는 날을 아낀다는 말리다. 법언(法言), “오래도록 할 수 없는 것은 어버이를 섬기는 일이므로 효자는 날을 아낀다[不可得而久者 事親之謂也 孝子愛日].” 하였다.

기세훈 고택이 가지고 있는 특징은 우거진 대밭과 소나무 그리고 각종 정원수들이 어우러져 마치 숲속에 들어와 있는 듯한 아늑함을 준다.  이 집이 지닌 자연의 향기는 대숲에서 나온다.
전체 대지 3500평 가운데 사랑채 뒤쪽으로는 700평의 대숲이 조성되어 있다. 대나무 숲에 들어서면 왠지 모르게 청정한 느낌이 든다. 옛 선비들은 그런 느낌을 유현(幽玄)하다고 표현하였다.
고택의 대나무 숲 속에는 또 하나의 귀한 물건이 자라고 있었다. 바로 차(茶)나무들이다. 널따란 대숲 아래에는 푸른빛 차나무들이 티 내지 않고 자리잡고 있다. 대나무 숲에서 자라는 차는 그 맛이 뛰어날 수밖에 없는데, 특별히 이를 죽로차(竹露茶)라고 부른다. 대나무의 아침 이슬 기운을 받아먹으면서 자란 차 잎으로 만든 차라는 뜻이다.
호남 계산풍류의 현장은 무등산 원효계곡에서 시작되어 창평, 담양 일대로 이어지는 라인에 자리잡은 수많은 누정들이었다. 면앙정, 소쇄원, 독수정(獨守亭), 식영정(息影亭), 송강정(松江亭), 환벽당(環碧堂), 명옥헌(鳴玉軒), 풍암정(楓岩亭) 등을 포함하여 약 70여 개의 누정들이 창평, 담양 일대에 현재까지 존재하고 있다.
15세기 말부터 16세기에 걸쳐 빈번히 일어났던 사화를 목격한 선비들이 벼슬살이에 환멸을 느끼고 시골로 내려와 자연과 벗하면서 생겨난 누정들이다. 당시에는 150여 개의 누정들이 있었다고 하니 그야말로 이 일대는 한국 누정문화의 본고장이자, 한국 문예부흥기의 중심지였다.
박석무씨는 ‘무등산의 풍류와 의혼(義魂)’이라는 글에서 그러한 계산풍류의 인맥을 잘 밝히고 있다. 이에 따르면 계산풍류는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하다가 30대에 연산군의 학정을 만나 고향에 내려온 지지당(知止堂) 송흠(宋欽, 1459∼1547년)에서 처음 시작된다.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 1480∼1545년), 면앙정(?仰亭) 송순(宋純, 1493∼1583년)이 송흠에게서 학문과 문학을 배우면서 여기에 참여하였다.
이후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 1510∼1560년)는 면앙정의 제자로서 소쇄원에 주로 머물렀다. 대사성을 지낸 송천(松川) 양응정(梁應鼎, 1519∼1581년)은 양팽손의 아들로 계산풍류의 멤버였는데 송강(松江) 정철(鄭澈, 1536∼1593년), 옥봉(玉峯) 백광훈(白光勳, 1537∼1582년), 고죽(孤竹) 최경창(崔慶昌, 1539∼1583년)과 같은 뛰어난 제자들을 배출한다.
가장 한국적인 정취가 어려 있는 정원이라고 평가되는 소쇄원을 세운 인물은 양산보(梁山甫, 1483∼1536년)이다. 그는 조광조의 문인으로서 기묘사화에 벼슬을 단념하고 고향에 내려와 소쇄원을 세웠다. 양산보는 면앙정 송순과는 인척간의 아우이고, 하서 김인후와는 사돈간이다. 고봉 기대승, 제봉 고경명, 백호(白湖) 임제(林悌, 1549∼1587년), 미암(眉巖) 유희춘(柳希春, 1513∼1577년), 청련(靑蓮) 이후백(李後白, 1520∼1578년)과 같은 당대의 일급문사들이 계산풍류에 참가하였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