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마을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의금부에 전지하여 탁윤신 등을 놓아 보내게 하다 - 성종 3년

의금부에 전지하여 탁윤신 등을 놓아 보내게 하다 - 성종 3년 임진(1472) 5월 24일(경신)      


의금부에 전지하여, 부여(扶餘)에 영속(永屬)한 난신(亂臣) 이명민(李命敏)의 아우 이미민(李靡敏), 영동(永同)에 안치(安置)한 난신 박계남(朴季男)의 형 박맹우(朴孟愚), 광주(光州)에 안치한 난신 탁계연(卓繼然)의 조카 탁윤신(卓閏新), 여주(驪州)에 부처(付處)한 난신 윤처공(尹處恭)의 아우 윤처신(尹處信), 의성(義城)에 부처한 난신 박이녕(朴以寧)의 얼제(孽弟) 박춘길(朴春吉), 이천(利川)에 부처한 난신 김상충(金尙忠)의 형 김막동(金莫同), 여주(驪州)에 부처한 난신 고덕칭(高德稱)의 형 고덕수(高德守)를 외방 종편(外方從便)하게 하고, 신계(新溪)에 영속한 난신 조번(趙番)의 아우 조한(趙翰), 평택(平澤)에 영속한 난신 김연(金衍)의 아우 김말을지(金末乙知)ㆍ김오을미(金吾乙未)ㆍ김우지(金羽之), 사천(泗川)에 영속한 난신 대정(大丁)의 아우 소정(小丁), 고양(高陽)에 영속한 난신 하석(河石)의 형 하석견(河石堅), 해주(海州)에 영속한 난신 양옥(梁玉)의 아우 양진(梁進), 토산(兎山)에 영속한 난신 황귀존(黃貴存)의 아우 황양존(黃良存)ㆍ황계존(黃季存), 여주(驪州)에 영속한 난신 고덕칭(高德稱)의 아우 고덕부(高德符), 강화(江華)에 영속한 난신 황의헌(黃義軒)의 얼제(孽弟) 황녹송(黃綠松), 고양(高陽)에 영속한 난신 이식배(李植培)의 형 이종배(李種培)와 그 아우 이증배(李增培), 직산(稷山)에 영속한 난신 이식배(李植培)의 아우 이흥배(李興培), 덕산(德山)에 영속한 난신 중은(仲銀)의 아우 중석(仲碩), 옹진(甕津)에 영속한 난신 조순생(趙順生)의 형 조효생(趙孝生), 광주(廣州)에 영속한 난신 조완규(趙完圭)의 아우 조완주(趙完珠), 현풍(玄風)에 영속한 난신 김중산(金仲山)의 아우 김추(金秋), 웅천(熊川)에 영속한 난신 탁계연(卓繼然)의 아우 탁숙연(卓淑然), 영산(靈山)에 영속한 난신 김중산(金仲山)의 아우 김석불(金石佛), 순천(順天)에 영속한 난신 이양보(李陽甫)의 아비 이천년(李千年), 평양(平壤)에 정속(定屬)한 김정광(金廷光)을 종원 안치(從願安置)하게 하고, 강계(江界)에 유배(流配)한 중 탄공(坦公)과 이산(理山)에 유배한 중 성철(性哲)을 종원 충군(從願充軍)하게 하고, 사천(泗川)에 영속한 난신 정유(鄭惟)의 처 중덕(仲德), 연일(延日)에 영속한 난신 이양보(李陽補)의 처 효양(孝養), 강진(康津)에 부처(付處)한 난신 김치운(金致雲)의 조카 사구리(沙仇里), 나이가 차기를 기다려 정역하게 한 이양보(李陽補)의 아들 이독동(李禿同)ㆍ이가지가이(李加知加伊)ㆍ이건리가이(李件里加伊), 금년에 낳은 김치운의 딸, 기장(機張)에 충군(充軍)한 최연원(崔演元), 거제(巨濟)에 전가 입거(全家入居)한 최중산(崔仲山)ㆍ이산(李山)ㆍ윤모지리(尹毛知里), 강진(康津)에 유배한 박말동(朴末同)ㆍ정모지리(鄭毛知里), 해남(海南)에 유배한 소남(小南)ㆍ김의생(金義生), 하동(河東)에 영속한 전순손(全順孫)의 처 은이(銀伊), 나이가 차기를 기다려 정역하게 한 전순손(全順孫)의 아들 전숙손(全叔孫)ㆍ전산이(全山伊), 권남(權掔)에게 사급(賜給)한 난신 우직(友直)의 처 오대(五臺), 윤사윤(尹士昀)에게 사급한 난신 황보석(皇甫錫)의 처 소사(召史), 정인지(鄭麟趾)에게 사급한 난신 허후(許詡)의 처 금장(今莊)ㆍ김승규(金承圭)의 처 내은비(內隱非)와 딸 내은금(內隱今), 이극감(李克堪)에게 사급한 난신 이양(李穰)의 처 월비(月非), 김질(金礩)에게 사급한 난신 민보흥(閔甫興)의 처 석비(石非), 이사철(李思哲)에게 사급한 난신 민보창(閔甫昌)의 처 두다비(豆多非)ㆍ이현로(李賢老)의 처 소사(召史), 안경손(安慶孫)에게 사급한 난신 민신(閔伸)의 처 우비(禹非)와 딸 산비(山非), 권개(權愷)에게 사급한 난신 윤처공(尹處恭)의 아들 윤경(尹涇)의 처 소사(召史)ㆍ정효강(鄭孝康)의 딸 옥비(玉非), 한계미(韓繼美)에게 사급한 윤위(尹渭)의 처 소사(召史), 원효연(元孝然)에게 사급한 난신 윤처공(尹處恭)의 딸 숙비(叔非)ㆍ정원석(鄭元碩)의 처 만금(萬今), 이징석(李澄石)에게 사급한 난신 이경유(李耕㽥)의 처 효생(孝生), 황수신(黃守身)에게 사급한 난신 원구(元矩)의 처 소사(召史), 윤암(尹巖)에게 사급한 난신 지화(池和)의 처 막금(莫今), 강맹경(姜孟卿)에게 사급한 난신 박이녕(朴以寧)의 처 복수(福壽)ㆍ박자원(朴玆源)의 처 유나매(維那妹), 김질(金礩)에게 사급한 난신 이윤원(李閏源)의 처 대비(大非), 홍달손(洪達孫)에게 사급한 난신 안완경(安完慶)의 처 정산(定山), 유자환(柳子煥)에게 사급한 난신 지정(池淨)의 처 옥비(玉非), 정수충(鄭守忠)에게 사급한 난신 이보인(李保仁)의 처 물재(勿才), 권경(權擎)에게 사급한 난신 이의산(李義山)의 처 참군(參軍), 송익손(宋益孫)에게 사급한 난신 김정(金晶)의 처 종비(終非), 황수신(黃守身)에게 사급한 난신 고덕칭(高德稱)의 처 보금(寶今)과 딸 신금(信今), 한종손(韓終孫)에게 사급한 난신 황의헌(黃義軒)의 처 복비(福非), 홍윤성(洪允成)에게 사급한 난신 박계우(朴季愚)의 처 소비(小非), 권준(權蹲)에게 사급한 난신 이석정(李石丁)의 처 소사(召史), 권공(勸恭)에게 사급한 난신 정효강(鄭孝康)의 처 보배(寶背), 홍달손(洪達孫)에게 사급한 정효강의 딸 산비(山非), 한종손(韓終孫)에게 사급한 정효강의 금년에 낳은 딸, 이운(李璉)에게 사급한 난신 이심(李諶)의 처 소사(召史), 박중손(朴仲孫)에게 사급한 난신 이해(李諧)의 처 종금(終今)과 금년에 낳은 딸, 강곤(康袞)에게 사급한 난신 이모(李謨)의 처 기덕(奇德), 이몽가(李蒙哥)에게 사급한 난신 조순생(趙順生)의 처 가은비(加隱非), 임자번(林自蕃)에게 사급한 난신 정분(鄭苯)의 처 순비(順非), 설계조(薛繼祖)에게 사급한 난신 이승로(李承老)의 처 효정(孝貞), 권반(權攀)에게 사급한 이식배(李植培)의 딸 귀비(貴非)ㆍ귀장(貴莊)ㆍ귀금(貴今)과 금년에 낳은 딸을 놓아 보내게 하였다.
【원전】 8 집 659 면
【분류】 변란(變亂) / 사법-행형(行刑) / 군사-군역(軍役)


[주-D001] 얼제(孽弟) : 
서제(庶弟).
[주-D002] 외방 종편(外方從便) : 
유배된 죄인을 적소(謫所)에서 풀어주어 서울 밖의 외방에 편리한대로 안치(安置)하던 제도.
[주-D003] 종원 안치(從願安置) : 
원하는 바에 따라 일정한 지역에 안치함.
[주-D004] 종원 충군(從願充軍) : 
원하는 바에 따라 일정한 지역의 군인으로 충당함.
[주-D005] 이운(李璉) : 
익현군(翼峴君).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