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마을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병조에서 하삼도의 군액 감소 계획을 올리니 받아 들이다 - 성종 3년

병조에서 하삼도의 군액 감소 계획을 올리니 받아 들이다 - 성종 3년 임진(1472) 2월 1일(무진)      


병조(兵曹)에서 아뢰기를,
“지난 번에 전지를 받으니, ‘제도의 군액(軍額)이 너무 많다. 병사는 많은 것보다 정한 것이 귀중하니, 재주를 시험하지 않은 군사는 그 수를 적당히 감하라.’ 하셨습니다. 신 등이 지난 경인년에 〈정한〉 제도의 정병(正兵)의 원액(元額)을 자세히 참고하여 보니, 총인원 8만 60가운데에서 하삼도(下三道)에는 5천 8백 60을 줄이고, 또 제진(諸鎭)의 유방군(留防軍) 1만 6천 5백을 제하고, 〈나머지〉 5만 7천 7백을 가지고 7번(番)으로 나누어 번마다 8천 2백 40으로 정하였습니다. 그러나, 보인(保人)을 정함에 있어서 전정(田丁)ㆍ고공(雇工)ㆍ재인(才人)ㆍ백정(白丁)과 각종 장인(匠人)을 아울러 계산할 것을 허락하지 아니하여 감한 수가 상당히 많습니다. 이제 위 항목의 5만 7천 7백 가운데에서 〈전정ㆍ고공 등〉 9천 7백을 감하고, 하삼도(下三道) 각 고을의 인물의 쇠잔하고 성함을 따라 골고루 줄여서 기록하여 아뢰니, 청컨대 제도의 병마 절도사(兵馬節度使)로 하여금 자세하게 상고하여 보인을 개정하고 군적(軍籍)을 만들게 하소서. 그런데 지난 번에 각종 군사[諸色軍士]의 거느리고 있는 인정(人丁)을 보인으로 삼고, 나머지는 모두 다른 역사를 정한 까닭에 한 집안에 부자 형제(父子兄弟)가 각각 신역(身役)이 있어 서로 구원할 수가 없으니 진실로 가긍(可矜)합니다. 청컨대 이제부터는 군사가 동거하는 아들ㆍ사위ㆍ아우는 비록 보수(保數)보다 많다 하더라도 2정(丁)에 한하고, 〈나머지는〉 다른 역사를 정하지 말게 하소서. 또 《대전(大典)》에는 원주(院主)와 동거하는 족친(族親) 2인(人)은 다른 역사를 정하지 못하도록 되었지만, 그러나 그 소임이 매우 괴로우니, 청컨대 1인을 더하여 다른 역사를 정하지 말게 하소서. 각진의 유방군(留防軍)은 옛날에는 3번(番)으로 나누어 한 달[一朔]만에 서로 체대(遞代)하게 되어 다른 군인보다 힘들고 괴로우니, 이제 번상(番上)하는 정병(正兵) 4만 8천 가운데에서 5천 5백명을 덜어서 유진군(留鎭軍)에 이속시켜 4번(番)으로 나누어 번갈아가며 쉬게 하고, 그 나머지 정병 4만 2천 5백 명은 8번(番)으로 나누어 번마다 5천 3백 10명씩 번상(番上)하여 숙위(宿衛)하게 하소서.
태평소(太平簫)는 마상병(馬上兵)인데 보정병(步正兵)의 예에 의하여 보(保)를 주는 것은 미편합니다. <중략>
전라도(全羅道)에 있어서, 창평(昌平)은 각종 군사[各色軍士] 4백 가운데에서 전에는 정병(正兵) 30을 줄여 3백 7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80을 줄여 2백 90으로 정하게 하고, 곡성(谷城)은 4백 41 가운데에서 전에는 31을 줄여 4백 1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80을 줄여 3백 30으로 정하게 하고, 함평(咸平)은 9백 16 가운데에서 전에는 36을 줄여 8백 8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80을 줄여 8백으로 정하게 하고, 무장(茂長)은 1천 43 가운데에서 전에는 33을 줄여 1천 1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80을 줄여 9백 30으로 정하게 하고, 능성(綾城)은 7백 6 가운데에서 전에는 46을 줄여 6백 6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80을 줄여 5백 80으로 정하게 하고, 남평(南平)은 5백 21 가운데에서 전에는 41을 줄여 4백 8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80을 줄여 4백으로 정하게 하고, 무주(茂朱)는 3백 17 가운데에서 전에는 47을 줄여 2백 7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70을 줄여 2백으로 정하게 하고, 광양(光陽)은 2백 59 가운데에서 전에는 39를 줄여 2백 2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70을 줄여 1백 50으로 정하게 하고, 화순(和順)은 3백 37 가운데에서 전에는 37을 줄여 3백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70을 줄여 2백 30으로 정하게 하고, 동복(同福)은 5백 29 가운데에서 전에는 29를 줄여 5백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70을 줄여 4백 30으로 정하게 하고, 순천(順天)은 6백 55 가운데에서 전에는 25를 줄여 6백 3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70을 줄여 5백 60으로 정하게 하고, 고산(高山)은 5백 79 가운데에서 전에는 39를 줄여 5백 4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75를 줄여 4백 60으로 정하게 하고, 무안(務安)은 3백 5 가운데에서 전에는 35를 줄여 2백 7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60을 줄여 2백 10으로 정하게 하고, 흥양(興陽)은 5백 19 가운데에서 전에는 43을 줄여 4백 76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76을 줄여 4백으로 정하게 하고, 진도(珍島)는 1백 98 가운데에서 전에는 18을 줄여 1백 8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60을 줄여 1백 20으로 정하게 하고, 해남(海南)은 6백 46 가운데에서 전에는 36을 줄여 6백 1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80을 줄여 5백 30으로 정하게 하고, 만경(萬頃)은 3백 78 가운데에서 전에는 48을 줄여 3백 3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70을 줄여 2백 60으로 정하게 하고, 임피(臨陂)는 7백 69 가운데에서 전에는 49를 줄여 7백 2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80을 줄여 6백 40으로 정하게 하고, 옥구(沃溝)는 4백 31 가운데에서 전에는 41을 줄여 3백 9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70을 줄여 3백 20으로 정하게 하고, 임실(任實)은 7백 48 가운데에서 전에는 38을 줄여 7백 1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80을 줄여 6백 30으로 정하게 하고, 영광(靈光)은 1천 1백 83 가운데에서 전에는 33을 줄여 1천 1백 5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80을 줄여 1천 70으로 정하게 하고, 금구(金溝)는 4백 58 가운데에서 전에는 38을 줄여 4백 2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80을 줄여 3백 40으로 정하게 하고, 운봉(雲峯)은 4백 26 가운데에서 전에는 46을 줄여 3백 8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80을 줄여 3백으로 정하게 하고, 장흥(長興)은 8백 81 가운데에서 전에는 21을 줄여 8백 6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80을 줄여 7백 80으로 정하게 하고, 고창(高敞)은 3백 95 가운데에서 전에는 35를 줄여 3백 6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80을 줄여 2백 80으로 정하게 하고, 낙안(樂安)은 2백 29 가운데에서 전에는 29를 줄여 2백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60을 줄여 1백 40으로 정하게 하고, 태인(泰仁)은 1천 1백 11 가운데에서 전에는 31을 줄여 1천 8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90을 줄여 9백 90으로 정하게 하고, 광주(光州)는 9백 29 가운데에서 전에는 29를 줄여 9백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70을 줄여 8백 30으로 정하게 하고, 고부(古阜)는 1천 1백 41 가운데에서 전에는 31을 줄여 1천 1백 1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80을 줄여 1천 30으로 정하게 하고, 진산(珍山)은 2백 50 가운데에서 전에는 50을 줄여 2백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60을 줄여 1백 40으로 정하게 하고, 순창(淳昌)은 9백 30 가운데에서 전에는 30을 줄여 9백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90을 줄여 8백 10으로 정하게 하고, 보성(寶城)은 6백 6 가운데에서 전에는 30을 줄여 5백 76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86을 줄여 4백 90으로 정하게 하고, 정읍(井邑)은 4백 92 가운데에서 전에는 42를 줄여 4백 5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80을 줄여 3백 70으로 정하게 하고, 강진(康津)은 1천 7 가운데에서 전에는 27을 줄여 9백 8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80을 줄여 9백으로 정하게 하고, 흥덕(興德)은 4백 56 가운데에서 전에는 36을 줄여 4백 2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80을 줄여 3백 40으로 정하게 하고, 구례(求禮)는 1백 57 가운데에서 전에는 37을 줄여 1백 2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50을 줄여 70으로 정하게 하고, 남원(南原)은 1천 8백 57 가운데에서 전에는 27을 줄여 1천 8백 3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90을 줄여 1천 7백 40으로 정하게 하고, 나주(羅州)는 1천 4백 50 가운데에서 전에는 60을 줄여 1천 3백 9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90을 줄여 1천 3백으로 정하게 하고, 영암(靈巖)은 2백 7 가운데에서 전에는 37을 줄여 1백 7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60을 줄여 1백 10으로 정하게 하고, 전주(全州)는 1천 8백 91 가운데에서 전에는 26을 줄여 1천 8백 65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95를 줄여 1천 7백 70으로 정하게 하고, 담양(潭陽)은 8백 10 가운데에서 전에는 35를 줄여 7백 75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89를 줄여 6백 86으로 정하게 하고, 진안(鎭安)은 4백 18 가운데에서 전에는 34를 줄여 3백 84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64를 줄여 3백 20으로 정하게 하고, 함열(咸悅)은 4백 36 가운데에서 전에는 46을 줄여 3백 9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70을 줄여 3백 20으로 정하게 하고, 장성(長城)은 5백 14 가운데에서 전에는 44를 줄여 4백 7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70을 줄여 4백으로 정하게 하고, 장수(長水)는 3백 78 가운데에서 전에는 48을 줄여 3백 3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70을 줄여 2백 60으로 정하게 하고, 익산(益山)은 3백 82 가운데에서 전에는 52를 줄여 3백 3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70을 줄여 2백 60으로 정하게 하고, 금산(錦山)은 6백 24 가운데에서 전에는 34를 줄여 5백 9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80을 줄여 5백 10으로 정하게 하고, 옥과(玉果)는 4백 29 가운데에서 전에는 39를 줄여 3백 9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70을 줄여 3백 20으로 정하게 하고, 김제(金堤)는 9백 41 가운데에서 전에는 31을 줄여 9백 1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70을 줄여 8백 40으로 정하게 하고, 부안(扶安)은 1천 1백 61 가운데에서 전에는 31을 줄여 1천 1백 3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80을 줄여 1천 50으로 정하게 하고, 용담(龍潭)은 1백 14 가운데에서 전에는 34를 줄여 8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20을 줄여 60으로 정하게 하고, 용안(龍安)은 1백 64 가운데에서 전에는 44를 줄여 1백 2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30을 줄여 90으로 정하게 하고, 여산(礪山)은 2백 95 가운데에서 전에는 45를 줄여 2백 5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60을 줄여 1백 90으로 정하게 하고, 진원(珍原)은 2백 55 가운데에서 전에는 45를 줄여 2백 10으로 정하였었는데 이제는 60을 줄여 1백 50으로 정하게 하소서."
<중략>

하니, 그대로 따랐다.


【원전】 8 집 629 면

【분류】 군사-군정(軍政) / 군사-지방군(地方軍)


[주-D001] 경인년 : 1470 성종 원년.
[주-D002] 하삼도(下三道) : 충청도ㆍ전라도ㆍ경상도.
[주-D003] 보인(保人) : 정군(正軍)을 돕는 보조자(補助者)로서, 정군이 출역(出役)하였을 경우 그 집안 일을 도와 주는 사람. 군보(軍保) 또는 봉족(奉足)이라고도 함.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