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마을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377
게시물 검색 폼
  • 각도의 계수관을 정하다 - 태조 2년
    각도의 계수관을 정하다 - 태조 2년 계유(1393) 11월 12일(계축) 각도의 계수관(界首官)을 정했는데, 경상도는 계림(鷄林)ㆍ안동(安東)ㆍ상주(尙州)ㆍ진주(晉州)ㆍ김해(金海)ㆍ경산(京山)이고, 전라도는 완산(完山)ㆍ나주(羅州)ㆍ광주(光州)이며, 양광도는 광주(廣州)ㆍ충주(忠州) 청주(淸州)ㆍ공주(公州)ㆍ수원(水原)이며, 교주 강릉도(交州江陵道)는 원주(原州)ㆍ회양(淮陽)ㆍ춘주(春州)ㆍ강릉(江陵)ㆍ삼척(三陟)이며, 서해도(西海道)는 황주(黃州)ㆍ해주(海州)이며, 경기좌도(京畿左道)는 한양(漢陽)ㆍ철원(鐵原)이며, 우도(右道)는 연안(延安)ㆍ부평(富平)이다.【원전】 1 집 51 면【분류】 행정-지방행정(地方行政)[주-D001] 계림(鷄林) : 경주(慶州).[주-D002] 경산(京山) : 성주(星州).[주-D003] 완산(完山) : 전주(全州).
    2021-01-25 | NO.2
  • 왜구가 광주의 금성에서 말을 먹이고 북쪽으로 가겠다고 큰소리 치다- 총서
    태조가 대규모의 병력으로 침입한 왜적을 격퇴하니 한산군 이색 등이 시를 지어 치하하다-  조선왕조실록 > 태조실록 > 총서 신우(辛禑) 6년(1380) 경신 8월, 왜적의 배 5백 척이 진포(鎭浦)에 배를 매어 두고 하삼도(下三道)에 들어와 침구(侵寇)하여 연해(沿海)의 주군(州郡)을 도륙하고 불살라서 거의 다 없어지고, 인민을 죽이고 사로잡은 것도 이루 다 헤아릴 수 없었다. 시체가 산과 들판을 덮게 되고, 곡식을 그 배에 운반하느라고 쌀이 땅에 버려진 것이 두껍기가 한 자 정도이며, 포로한 자녀(子女)를 베어 죽인 것이 산더미처럼 많이 쌓여서 지나간 곳에 피바다를 이루었다. 2, 3세 되는 계집아이를 사로잡아 머리를 깎고 배[腹]를 쪼개어 깨끗이 씻어서 쌀ㆍ술과 함께 하늘에 제사지내니, 삼도(三道) 연해(沿海) 지방이 쓸쓸하게 텅 비게 되었다. 왜적의 침구(侵寇) 이후로 이와 같은 일은 일찍이 없었다.우왕이 태조를 양광(楊廣)ㆍ전라(全羅)ㆍ경상(慶尙) 3도(道)의 도순찰사(都巡察使)로 삼아 가서 왜적을 정벌하게 하고, 찬성사(贊成事) 변안열(邊安烈)을 도체찰사(都體察使)로 삼아 부장(副將)으로 하게 하고, 평리(評理) 왕복명(王福命)ㆍ평리 우인열(禹仁烈)ㆍ우사(右使) 도길부(都吉敷)ㆍ지문하(知門下) 박임종(朴林宗)ㆍ상의(商議) 홍인계(洪仁桂)ㆍ밀직(密直) 임성미(林成味)ㆍ척산군(陟山君) 이원계(李元桂)를 원수(元帥)로 삼아 모두 태조의 지휘를 받게 하였다. 군대가 나가서 장단(長湍)에 이르렀는데 흰 무지개가 해를 꿰뚫으니, 점치는 사람이 말하기를,“싸움을 이길 징조입니다.”하였다. 왜적이 상주(尙州)에 들어와서 6일 동안 주연(酒宴)을 베풀고 부고(府庫)를 불살랐다. 경산부(京山府)를 지나서 사근내역(沙斤乃驛)에 주둔하니, 삼도 원수(三道元帥) 배극렴(裵克廉) 등 9원수가 패전하고, 박수경(朴修敬)ㆍ배언(裵彦) 두 원수가 전사(戰死)하니, 사졸(士卒)로서 죽은 사람이 5백여 명이었다. 적군의 세력이 더욱 성하여 드디어 함양성(咸陽城)을 무찌르고 남원(南原)으로 향하여 운봉현(雲峰縣)을 불사르고 인월역(引月驛)에 둔치고서, 장차 광주(光州)의 금성(金城)에서 말을 먹이고는 북쪽으로 올라가겠다고 성언(聲言)하니, 서울과 지방이 크게 진동하였다. 태조가 천리(千里) 사이에 넘어진 시체가 서로 잇대어 있음을 보고는 이를 가엾게 생각하여 편안히 잠 자고 밥 먹지 못하였다. 태조는 안열(安烈) 등과 함께 남원(南原)에 이르니 적군과 서로 떨어지기가 1백 20리(里)였다. 배극렴 등이 와서 길에서 태조를 뵙고 기뻐하지 않는 사람이 없었다. <중략>【원전】 1 집 7 면【분류】 인물(人物) / 인사(人事) / 왕실(王室) / 어문학(語文學) / 외교(外交) / 역사(歷史) / 사상-토속신앙(土俗信仰)*신우(辛禑)는 고려 우왕 왕우(高麗 禑王 王禑)를 조선에서 폄하한 이름, 즉 전왕인 공민왕의 아들이 아니라 당시 승려 출신의 권세가였던 신돈의 아들이라는 주장.*진포(鎭浦)는 군산 진포. 진포대첩(鎭浦大捷)은 고려군이 왜구를 대파한 전투. *하삼도(下三道)는 충청ㆍ전라ㆍ경상도.*경산부(京山府)는 성주(星州).*금성(金城)은 담양 금성산성으로 추정.
    2021-01-25 | NO.1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