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게시물 (4건)
- 오준 吳竣 인조 14년(1636) 5월 4일∼*인조 15년(1637) 8월
- 오준 吳竣 인조 14년(1636) 5월 4일∼*인조 15년(1637) 8월오준(1587∼1666)의 본관은 동복(同福)이며, 자는 여완(汝完), 호는 죽남(⽵南)이다. 아버지는 이조참판 오백령(吳百齡)이다. 동생 오단(吳端)은 1636년(인조 14) 전주부윤을 역임하였다. 1612년 진사시에 합격하고 1618년 증광시 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뒤, 주서를 거
- 박소빈, 무등 신화와 용의 스토리
- 그녀는 용을 품었다. 20대, 구례 화엄사 대웅전에서 만났다는 용은 일주문을 지나 커다란 몸을 스멀스멀 움직이며 그녀에게 다가갔다. 그리고 그녀의 몸속으로 빠져들었다. 용은 그녀와 하나가 되었다. 그렇게 몸살을 앓기 시작한 지 벌써 30년이 넘었다.* 용의 부활 - 무등의 신화, 2023, pencil, coloring, bronze po
- 일신재(日新齋) 정의림(鄭義林)
- 정의림鄭義林의 자는 계방季方, 호는 일신재日新齋이며 본관은 광산으로, 綾州 大德에서 鄭濟玄과 珍原朴氏 致聖의 딸 사이에서 1845년(憲宗 11) 11월 출생했다. 그의 선조들은 조선시대 때 纘 이후 나주에 줄곧 거주하였으나, 그의 증조 埰가 영암으로 이주하고 조부 加錫이 다시 능주에 이주하였으며, 정의림의 조부
- 화엄사花嚴祠
- 화엄사花嚴祠는 광주광역시 광산구 대산동에 있는, 조선 초기의 문신 김우생과 김문기를 배향한 사당이다.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