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게시물 (6건)
- 김상복 ⾦尙宓 인조 17년(1639) 10월 16일∼인조 20년(1642) 9월
- 김상복 ⾦尙宓 인조 17년(1639) 10월 16일∼인조 20년(1642) 9월김상복(1573∼1652)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중정(仲靜)이다. 아버지는 돈령부 도정 김극효(⾦克孝)이며, 우의정 김상용(⾦尙容)과 좌의정 김상헌(⾦尙憲)의 동생이다. 1591년 19세에 사마시에 급제하여 사옹원 봉사, 종부시 주부 등을 역임하고 163
- 장유 張維 인조 7년(1629) 9월 15일∼인조 8년(1630) 8월
- 장유 張維 인조 7년(1629) 9월 15일∼인조 8년(1630) 8월장유(1587∼1638)의 본관은 덕수(德⽔)이며, 자는 지국(持國), 호는 계곡(谿⾕) 또는 묵소(默所)이다. 할아버지는 목천현감 장일(張逸), 아버지는 판서 장운익(張雲翼)이며, 우의정 김상용(⾦尙容)의 사위로 효종비 인선왕후(仁宣王后)와 예조판서 장선징(張善澂)의 아
- 병조 참판 이공(李公) 신도비명- 이경함
- 병조 참판 이공(李公) 신도비명- 이경함(1553~1627)광주목사 1604.1.28. 제수약천집 제18권 / 신도비명(神道碑銘)남구만(南九萬, 1629~1711), 《약천집(藥泉集)》공은 휘(諱)가 경함(慶涵)이고 자가 양원(養源)이고 호는 만사(晩沙)이고 관향은 한산(韓山)이다. 한산 이씨(韓山李氏)는 가정(稼亭) 이곡(李穀)과 목
- 대사헌 김공(金公)의 신도비명
- 간이집 제2권 / 신도비명(神道碑銘) 병서(幷序)국가가, 아조(我朝) 선조(先祖)의 계보(系譜)가 무함을 받은 채로 중국 조정의 전책(典冊)에 실려 있는 것과 관련하여, 이를 해명하면서 고치려고 노력해 온 것이 무려 2백 년이나 되었다. 그리하여 황제의 윤허를 이미 받기는 하였으나 이를 개정하여 다시 간행하는 일은 아직
- 김상용-望題十七首
- 落日登臨喜慶樓 석양에 희경루에 오르니萬家煙景正新秋 집집마다 내 낀 경치 곧 새 가을이로세玉人千里無消息 천리 떨어진 옥인 소식 없어徒倚闌干不盡愁 난간에 기대니 시름 끝없어라 -선원유고(仙源遺稿) 상김상용(金尙容, 1561-1637)의 자는 경택(景擇)이며 호는 선원(仙源),풍계(楓溪)이다.
- 강산제 심청가 이임례/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4호(1998. 2. 21.)
- 무형문화재 강산제岡山制 예능보유자 이임례는 이병규(판소리)와 춘향가 김상용(춘향가), 생전 목포시립국악원에서 강산제 소리를 했던 김흥남을 사사했다. 전형적으로 강산제 소리를 이어받은 이임례 예능보유자는 소리의 고장으로 불리는 1941년 전남 진도 출생으로 국악 집안에서 태어나 자연스럽게 소리를 접할 수 있었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