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143건)

광주목(조선후기)
지명유형: 군현존속시기: 1392~1910출전: 『여지도서』하, 전라 광주문헌(원문): 東至昌平縣界十八里西至羅州牧界四十七里南至和順縣界二十一里北至長城府界三十五里北距 京都七百二十五里七日程北距監營二百二十里三日程南距兵營一百四十里二日程東距左水營三百里四日程西距右水營二百四十里三日程東距統營五百里六日
광산현(조선후기)
지명유형: 군현존속시기: 1624~1633출전: 『여지도서』하, 전라 광주문헌(원문):東至昌平縣界十八里西至羅州牧界四十七里南至和順縣界二十一里北至長城府界三十五里北距 京都七百二十五里七日程北距監營二百二十里三日程南距兵營一百四十里二日程東距左水營三百里四日程西距右水營二百四十里三日程東距統營五百里六日程문헌(
무진현(조선조기)
지명유형: 군현존속시기: 1430~1449출전: 『신증동국여지승람』권35, 전라 광산문헌(원문): 東至昌平縣界十八里 南至和順縣界二十一里 至南平縣界二十八里 西至羅州界四十七里 北至珍原縣界二十一里 距京都七百二十五里문헌(번역문): 동쪽으로 창평현(昌平縣) 경계까지 18리, 남쪽으로 화순현(和順縣) 경계까지 21
광산현(조선전기)
지명유형: 군현존속시기: 1489~1500출전: 『신증동국여지승람』권35, 전라 광산문헌(원문):東至昌平縣界十八里 南至和順縣界二十一里 至南平縣界二十八里 西至羅州界四十七里 北至珍原縣界二十一里 距京都七百二十五里문헌(번역문):동쪽으로 창평현(昌平縣) 경계까지 18리, 남쪽으로 화순현(和順縣) 경계까지 21리, 남평현(
광주목(조선전기)
지명유형: 군현존속시기: 1392~1910출전: 『세종실록』지리지, 권151, 전라 무진문헌(원문): 本百濟 武珍州都督【一云奴只】新羅取百濟  仍爲都督  景德王十六年丁酉【唐 肅宗 至德二年】改武州都督  眞聖王六年壬子【唐 昭宗 景福元年】甄萱襲據武珍州 稱後百濟王, 遂移全州 甄萱二十年辛未【梁 太祖
광주 근대건축과 남도 전통 한옥을 만나다
“집이라고 하는 것은 한 문화권 내에서 사람이 사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공간이지요.또한 집은 그 지역의 여러 생활과 문화를 반영해 주는 귀중한 역사적 산물입니다.”“집이라고 하는 것은 한 문화권 내에서 사람이 사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공간이지요. 또한 집은 그 지역의 여러 생활과 문화를 반영해 주는 귀중한 역사적
광주시립미술관 기획전 '무등에서 영산으로'
무등산과 영산강에 깃든 전라도의 혼을 느낄 수 있는 전시가 열린다. 광주시립미술관은 기획전 ‘무등에서 영산으로’를 오는 5월 19일까지 본관 1, 2실에서 개최한다. 무등산과 영산강의 풍경, 삶, 문화, 역사를 다룬 회화, 사진, 설치, 아카이브 등을 통해 가까이서 그 가치를 제대로 보지 못했던 무등산과 영산강 아름다움
동강유집 제6권 / 칠언율시(七言律詩)- 화순 현감 홍명하 의 시에 차운하다
동강유집 제6권 / 칠언율시(七言律詩)화순 현감 홍 사군 명하 의 시에 차운하다 4수 〔次和順洪使君 命夏○四首〕몇 번이나 어가 모시고 궁중에 입직하였나 / 幾度鳴鑾直禁廬수령이 되어 실컷 신선 생활을 누리는구나 / 一麾贏得臥仙居머나먼 유람은 다시 시상을 제공할 것이니 / 遠游聊復供詩思오만한 관리가 어찌 문서에 묻
보리종자를 더 나누어 줄 것을 순영(巡營)에 요청한 보고, 1766.9월 12일 -광주목사
보첩고(報牒攷)○영조(英祖) / 영조(英祖) 42년(1766)첩보(牒報)하는 일. 본주(本州)의 농사가 거듭 흉년이 든 데다 금년의 농사까지 또 흉년이 든 바람에 여름부터 가을에 이르기까지 민간의 호구지책(糊口之策)이 오로지 보리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나누어 주어야 할 겉보리가 모두 7천 9백여 석에 불과합니다. 
전라도 지역 농형(農形)의 우열 구분- 광주목사
보첩고(報牒攷) - 光州牧使○ 영조(英祖) 41년(1765) 9월 25일 분등 장계(分等狀啓)를 봉하여 발송함신이 8월 18일에 전답(田畓)의 작황을 살펴보기 위해 출발하였는데, 먼저 좌도(左道)의 협곡과 들판을 경유해 우도(右道)의 연해안을 향해 가면서 재해를 입은 고을을 두루 살펴보았습니다. 그리고 신의 발과 눈이 미치
보리 매수의 정산에 관한 건- 광주목사
보첩고(報牒攷) - 光州牧使○ 영조(英祖) 41년(1765) 9월 초9일 갑신년(甲申年, 1764, 영조40)에 경청(京廳)에서 지급한 보리 매수의 값을 받은 다음 이를 감하여 각 면(面)에 나누어 주고 남은 돈을 징수하는 사안에 대해 순영(巡營)에 보고하다첩보(牒報)하는 일. 여름에 목사(牧使)가 휴가를 받아 상경(上京)할 때에
광주목사(光州牧使) 김윤현(金胤鉉)을 사관(查官)으로
호남계록(湖南啓錄)○고종(高宗) / 고종(高宗) 22년(1885)12월 10일 승정원 개탁이번에 도착한 형조(刑曹)의 계하 관문(啓下關文)에, “이번에 계하한 본조(本曹)의 계목(啓目)에, ‘올해 3월 15일 동가(動駕)하실 때 위외(衛外)에서 격쟁(擊錚)한 사람의 원정(原情)은 정식에 따라 후록(後錄)하였습니다. 그 원정을 가져다 살
광주목사(光州牧使) 김윤현(金胤鉉)
전주 판관(全州判官) 민영숙(閔泳肅)나주 목사(羅州牧使) 박규동(朴奎東)광주 목사(光州牧使) 김윤현(金胤鉉) 아직 부임하지 않았음. *4월 14일에 제수되었음./ 능주 목사(綾州牧使) 홍우경(洪祐慶) 부임한 지 얼마 되지 않았음.남원 도호부사(南原都護府使) 홍면주(洪冕周)장흥 도호부사(長興都護府使) 유치희(兪
송기로(宋綺老) 광주목사 화순 겸임
호남계록(湖南啓錄)  / 고종(高宗) 22년(1885)3월 11일전라도 화순 겸임 광주 목사(和順兼任光州牧使) 송기로(宋綺老)가 봉진하여 온 4월령(月令) 진상입니다.청대죽(靑大竹) 25개광서 11년 3월 11일관찰사 겸 순찰사 신 윤(尹)전라도 운운(云云) 진상의 수목(數目)과 물종(物種)은 위와 같습니다.광서 11년 3월 11일관
남평 드들강의 유래
광주광역시 서구 유덕동 덕흥마을에서 전해 내려오는 남평 드들강에 관한 이야기. 전라도 나주 남평의 드들강의 지명에 관한 전설이다.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에서 도곡을 지나 나주 남평을 거쳐 영산강과 합쳐지는 지류를 지석강 혹은 남평천이라고 하는데, 흔히 드들강이라고 한다. ‘드들’이라는 처녀가 큰 메기에게
꽃뫼마을과 화산가
광주광역시 동구 용산동 화산마을의 지명에 관한 이야기.  「꽃뫼마을과 화산가」는 화산마을의 지명에 관한 유래와 화산마을 노래에 관한 이야기이다. 2018년 2월 21일 광주광역시 동구 용산동 화산마을에 거주하는 주민 박진규[남자, 73세]의 이야기를 채록하였으며,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주관하는 한국구비문
김덕령과 문바위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김덕령과 관련한 용마 이야기.김덕령은 무등산의 문(門)바위에서 용력을 기르고 술법을 익혔다. 김덕령은 문바위에서 활을 쏜 뒤에 용마(龍馬)를 타고 달려가기를 반복했는데, 이는 용마의 능력을 시험하기 위한 것이다. 김덕령은 섣부른 판단으로 용마를 죽이고 말았다.광주광역
김덕령 장군과 불한당
광주광역시 광산구에서 전해 내려오는 김덕령의 비범한 능력에 관한 이야기.김덕령(金德齡)[1567~1596]이 소년 시절에 불한당(不汗黨)이 모여 산다는 서봉사(瑞峯寺)에 가서 비범한 능력으로 굴복시켰고, 불한당이 개과천선했다는 이야기이다.1981년 전라남도 광산군이 간행한 『광산군지』와 1990년 광주직할시가 간행한 『
김덕령 오누이의 경주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김덕령 오누이의 힘겨루기 이야기.김덕령(金德齡)[1567~1596]은 남다른 용력(勇力)을 지니고 있으며, 자신의 용력으로 다른 사람을 굴복시키는 것을 자랑스러워하였다. 김덕령의 누이는 김덕령의 자만심을 누그러뜨리기 위해서 옷 짓기와 성 쌓기 시합을 했는데, 일부러 져주면서
다산시문집 제19권 / 서(書); 조 진사(曺進士) 에게 보냄
조 진사(曺進士) 익현(翼弦) 에게 보냄 화순인(和順人)용(鏞)이 국은(國恩)을 입어 호해(湖海) 가로 와서 조용히 지내며 부족한 덕을 닦고 스스로 심신(心身)을 점검하면서 고인(古人)들의 함양(涵養)하던 법을 찾아보니, 더러 의사하고 방불한 것이 있으면 기쁜 마음으로 외모(外慕 부귀 공명을 사모하는 마음)를 잊을 수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