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599건)

정인서 문화비평 26, 광주, 미디어아트 도시인가 묻는다
올해 광주 미디어아트 페스티벌은 힘이 좀 들어갔다. 그만큼 노력하고 있다는 것이다. 우선 올해 페스티벌은 유네스코 미디어아트 창의도시로 선정된 지난 2014년 12월 1일을 상징하는 의미로 이 날을 포함해 11월 29일부터 12월 7일까지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 복합2관과 미디어월에서 진행된다. 주관기관인 광주문화재단
최현숙 애국지사 흉상
광주광역시 남구 봉선동 산 127 (문성고 건너편)1993년일제치하 1919년 3월 1일 당시 여성의 몸으로 독립운동에 몸을 담갔던 유관순이 있다면 빛고을에는 ‘광주의 유관순’이라고 불리는 여성 독립운동투사 최현숙 선생이 있다. 최 선생은 선구적인 여성으로 일찍이 독립운동과 농촌 계몽에 젊음을 바쳤으며, 폭악한 일제의
국제라이온스의장사은김병기기념비
광주시 동구 용연동 573용연마을2017광주·전남지역 출신으로 최초로 2013년 6월 독일 함부르크 국제대회에서 정회원 140만명의 세계 최대 국제봉사 단체인 국제라이온스협회의 2013~2015 국제이사로 선출됐다. 김병기 라이온은 (사)국제라이온스협회 한국연합회 2014~2015 회장을 역임했으며 대한민국 광주광역시의 향
류인대(유인대)
 류인대(柳寅大, 1895~1976)의 자는 국남(國南), 호는 월호(月湖)이며 본관은 문화이며, 좌상공파 대승공 31대손으로 전남 광산군 본량면 동호리(지금의 광주광역시 광산구 본량동)에서 태어났다.조선 전기의 화가인 서산(西山) 류자미(柳自湄, ?~1462)의 후예로 광산 본량동으로 이거한 농포(弄圃) 류희달(柳希達)의 9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탑(자연과학고)
광주광역시 오치동 5 (능안로 30) 광주자연과학고1959년 6월 10일(1976년 9월 30일 현 위치 이건)이 비는 원래 1959년 6월 10일 개교 50주년을 맞아 그 당시 학교 자리인 광주시 북구 임동 92번지에 광주농업고등학교와 동창회가 함께 세웠으나, 1976년 9월 30일 광주시 북구 오치동으로 학교를 이전함에 따라 제14대 이대로
광주학생독립운동여학도기념비
광주시 동구 제봉로158번길 8 (전남여고)광주광역시기념물 제26호1959년광주학생독립운동여학도기념비는 전남여자고등학교에 있다.앞면에 이승만 대통령이 쓴 글씨와 뒷면에 '배달 여자의 전통적 덕행을 이어, 맨 손으로 왜정의 총칼에 항거하여, 독립의 한길을 닦은 여학도의 절의는 골 해의 거울 이요, 잘 사람의 본이
양산숙-양씨삼강문
광주시 광산구 박호동 산131-1 박뫼마을광주 기념물 제11호, 1985년 02월 25일 지정광주광역시 광산구 박호동에 있는 조선의 문신이며 임진왜란 때 활약한 양산숙과 일가 6명의 충효열 삼강문이다. 제주양씨삼강정려비가 있다.1592년 임진왜란 때 진주성 전투에서 왜적과 싸우다 순절한 충민공(忠愍公) 양산숙(梁山璹)
춘담기인 최병채기적
광주시 동구 학동 필문대로329번길 22(武光祠)1958년이 춘담기인 최병채기적(春潭奇人崔炳釵紀績)은 동구 학동 구 춘태여상 자리인 무광사(武光祠) 경내에 있다. 춘담 최병채春潭 崔炳釵(1907~1987)의 공적내용을 화강암에 음각하였다.최병채는 1907년 곡성군 석곡면 운룡리(현 순천시 주암면 운룡리)에서 부친 경환(炅奐)씨
광주시, 제15회 광주건축·도시문화제 개최
아파트 '천국(?)'인 광주에 건축의 미래가 있을까?아쉬운 부분은 있지만 포기할 수 없는 부분이 우리의 주거이고 생활의 근거지인 다양한 건축 현장이기 때문에 미래 건축에 대한 방향을 알아볼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됐다.광주 건축의 현재와 미래를 알아보는 제15회 광주건축도시문화제가 광주시 주최, (사)광주건
정인서 문화비평 23, 문재인 대통령과 광주비엔날레
“문재인 대통령은 광주비엔날레에 올까?”최대 규모이며 미학적 감동이라는 소문을 타고 국내는 물론 세계 각국의 귀빈들이 2018 광주비엔날레 관람을 위해 끊임없이 방문 중이라고 한다. 정치인은 물론 문화계 인사들을 망라하고 있다는 것이다.한류문화가 세계를 뒤흔드는 시점에 광주비엔날레도 세계의 미술계를 흔들고 있
박홍원의 '아! 무등'
광주시 북구 청풍동 209-5 청품쉼터 박홍원의 '아, 무등' 시비는 무등산 청풍쉼터에 있다.경산(鯨山) 박홍원(朴烘元, 1933~2000)은 전남 신안군 도초면 발매리 출신으로 1952년 목포사범학교 재학중 문학에 뜻을 두고 당시 조선대 문학과 교수였던 김현승 시인을 만나 본격적인 문학 수업을 하게
청춘발산, 페스티벌 열려요
□일시: 2018년 10월 26일(금)~ 27일(토)□장소: 광주광역시 서구 양3동 발산마을 일대□대상 : 광주시민, 학생 등□구성: 제4회 청춘발산페스티발 개회식, 청춘발산마을 단행본 출간 기념 사진전 및 북콘서트, 동네방네 마을학교, 발산하장 등▶청춘발산 페스티벌 북 콘서트 & 마을사진전❍ 컨셉 : 청춘발산마을의 변화와 성
광주 서구문화원, 올해 문화예술교육 20억 예산 확보
광주 서구문화원(원장 정인서)이 내년 학교예술강사 지원사업 공모에 선정되어 광주지역 초중고 학생들의 문화예술 교육 지원활동을 위한 18억7천만원여원의 예산을 확보했다.이로써 올들어 3건의 인문공모사업을 포함해 모두 20억여원의 예산을 마련해 지역주민과 학생들을 위한 문화창달 사업에 기여하게 됐다.13일 한국문
타이난에 퍼진 우리 춤 우리 가락 '얼씨구나'
울긋불긋한 화려한 의상과 부채춤을 본 관중들은 온통 박수세례였다. 기다란 새하얀 머리끈이 무대 위를 휙휙 빙글빙글 돌았다. 꽹과리와 장구는 연신 소리 높여 분위기를 돋았고 관중들 역시 연호와 함께 박수는 물결처럼 퍼져갔다. 타이완 타이난시에서 세계 각 나라의 민속예술을 선보이는 자리에 한국 민속국악단이 펼친
정인서 문화비평 18 광주에 기록이 없다
광주에 쓸 만한 기록이 없다. 책이나 잡지를 출판하거나 광주의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해 필요한 사진, 영상, 설화, 역사적 자료 등 원스톱서비스가 가능한 데이터베이스 기반 기록이 없다는 이야기다. 기록 하나를 찾기 위해 여기저기 알아보고 검색을 하는 데 들이는 시간 허비가 많다.물론 기록은 있다. 광주광역시와 일선
정인서 문화비평17. 문화중심도시 광주 경쟁력 이렇게 키우자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하여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낸 이용섭 광주시장의 최근 화두는 ‘일자리’ 문제이다. 우리나라 석학을 비롯하여 일자리 전문가로 일컫는 분들의 일자리 아이디어와 일자리 정책이 쏟아지고 있다. 그런데도 일자리 마련이 그리 쉬워 보이지 않는다. 특히 ‘청년’을 주제로 한 일자리 정책은 쏟아 부은
포럼그랜드비전, 18일 광주를 새롭게 디자인 해볼까
광주 미래비전을 제시하고 빛의 타워 건립에 대한 시민들의 뜻을 모아 함께 실천하기 위한 심포지엄이 열린다.<포럼 그랜드 비전>(공동대표:신인현∙임형진)은 오는 18일(화)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김대중컨벤션센터 1층 다목적홀에서 ‘광주를 새롭게 디자인하다’라는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이번 심포지엄은
취병조형유허비
광주광역시 광산구 비아안길23(도촌동) 조형어린이공원1873년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8호,  비각은 없으며 낮은 철제 난간으로 비를 보호하고 있다. 이 취병조형유허비(翠屛趙珩遺墟碑)는 조선 후기의 문신인 조형(1606∼1679)을 기리기 위해 그의 6세손인 광주목사(光州牧使) 조운한(趙雲漢)이 세운 것이다
김성원-서하당김선생모호산순효비
광주시 북구 금곡동 산 164-1(충장사 주변)1978년이 서하당 김선생 모호산 순효비(棲霞堂金先生母護山殉孝碑)는 전남 화순군 남면 복교리에 세워졌다가 1990년대에 광주로 옮겼다. 충장사 입구에서 충효동 쪽으로 송강로길을 타고 150m 지점의 길 우측에 있다. 옆에는 김성원(金成遠)의 할아버지인 김함(김감)의 신도비
문형선, 유토피아 原型이미지 작품으로 선보여
문형선의 유토피아 原型이미지 탐구에 대한 결과물이 작품으로 선보인다. 우리가 만날 수 있는 유토피아, 무릉도원과 같은 이상세계에 대한 그의 탐구는 비록 캔버스라는 좁은 공간이지만 사람의 눈을 더욱 무한세계로 확대시키는 힘을 갖고 있다.지금까지 사람들이 상상했던 세계에 대한 꿈들은 하나 둘씩 이루어오고 있다.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