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사전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총 4259건
-
- 문흥동-대정걸
- 대정-걸 【들】 송구래 남쪽에 있는 들이다. 대정이란 이의 소유였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6-04 | NO.3014
-
- 문흥동-대정걸보
- 대정걸-보 【보】 대정걸에 물을 대는 보-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6-04 | NO.3013
-
- 문흥동-대정평大丁坪
- 대정평大丁坪 : 광주 오치면(梧峙面)의 부산리(父山里)에 있다. 현 북구 문흥동이다. 대정걸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4-09 | NO.3012
-
- 문흥동-도두원현道頭原峴
- 도두원현道頭原峴 : 광주 오치면(梧峙面)의 부산리(父山里)에 있다. 현 북구 문흥동이다. 도둔고개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4-13 | NO.3011
-
- 문흥동-도둔고개
- 도둔-고개 【고개】 문산에서 장운동으로 가는 고개-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6-04 | NO.3010
-
- 문흥동-독골
- 독-골 【골】 소롱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6-04 | NO.3009
-
- 문흥동-독산
- 독-산(禿山) 【마을】 →문산-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6-04 | NO.3008
-
- 문흥동-동지시암
- 동지-시암(同知一) 【우물】 호동 앞에 있는 움루이다. 동지(同知) 벼슬을 한 김씨가 파서 길어다 먹었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6-04 | NO.3007
-
- 문흥동-뒷산굴
- 뒷산-굴 【골】 문산 뒷산에 있는 골짜기-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6-04 | NO.3006
-
- 문흥동-드렁골
- 드렁-골 【골】 문산 북쪽에 있는 골짜기-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6-04 | NO.3005
-
- 문흥동-마대산
- 마대-산 【산】 →마지까끔-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6-04 | NO.3004
-
- 문흥동-마지까끔
- 마지-까끔(마대산) 【산】 요롱골 남쪽에 있는 산-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6-04 | NO.3003
-
- 문흥동-모개시암
- 모개-시암 【우물】 원지시암 위쪽에 있는 우물이다. 곁에 모과나무가 있었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6-04 | NO.3002
-
- 문흥동-모래걸
- 모래-걸 【논】 새미논 아래쪽에 있는 논이다. 모래가 많았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6-04 | NO.3001
-
- 문흥동-문래평文來坪
- 문래평文來坪 : 광주 오치면(梧峙面)의 송정리(松亭里)에 있다. 한글로 물래질이고 현 북구 문흥동이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4-17 | NO.3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