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4259
게시물 검색 폼
  • 무진군(통일신라)
    지명유형: 군현존속시기: 671~685출전: 『삼국사기』본기, 권8, 신라본기문헌(원문): 發羅州爲郡 武珍郡爲州문헌(번역문): 발라주(發羅州)를 군으로 하고, 무진군(武珍郡)을 주로 하였다.현위치: 현재 광주읍성유허. 광주광역시 동구 광산동에 위치.(역사지도 : 75)(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23)광주·전남지역 역사지명 문헌자료집-행정지명편-
    2024-09-13 | NO.3029
  • 무진부(고려)
    지명유형: 군현존속시기: 1362~1372출전: 『고려사』지리지, 지리2, 전라도문헌(원문): 海陽縣本百濟武珍州【一云奴只】新羅取百濟 仍置都督 景德王十六年 改爲武州 眞聖王六年甄萱襲據 稱後百濟 尋移都全州 後 後高麗王弓裔 以太祖 爲精騎大監 帥舟師 略定州界 城主池萱 以甄萱壻 堅守不降 太祖二十三年 稱光州 成宗十四年 降爲刺史 後又降爲海陽縣令官 高宗四十六年 以金仁俊外鄕 陞知翼州事 後陞爲光州牧 忠宣王二年 復降爲化平府 恭愍王十一年 改茂珍府【避惠宗諱 改武爲茂】二十二年 復爲光州牧 別號光山 又號翼陽 有無等山【一云武珍岳 一云瑞石山 新羅爲小祀 高麗致國祭】문헌(번역문):해양현(海陽縣)은 본래 백제의 무진주(武珍州)【노지(奴只)라고도 함】로, 신라가 백제를 차지하고 도독(都督)을 두었다. 경덕왕(景德王) 16년(757)에 무주(武州)로 고쳤다. 진성왕(眞聖王) 6년(892)에 견훤(甄萱)이 습격하여 점거해서는 후백제(後百濟)라 칭하였으며, 얼마 후 도읍(都邑)을 전주(全州)로 옮겼다. 뒤에 후고려왕(後高麗王) 궁예(弓裔)가 태조(太祖)를 정기대감(精騎大監) 으로 삼아 수군[舟師]을 인솔하여, 고을의 경계 지역을 공략하여 평정하게 했는데, 성주(城主) 지훤(池萱)은 견훤의 사위로서 굳게 지키고 항복하지 않았다. 태조 23년(940)에 광주(光州)라고 불렀다. 성종(成宗) 14년(995)에 자사(刺史)로 강등하였다가, 뒤에 또 해양현령관(海陽縣令官)으로 강등하였다. 고종(高宗) 46년(1259)에 김인준(金仁俊)의 외향(外鄕)이라 하여, 지익주사(知翼州事)로 승격시켰다가, 뒤에 승격시켜 광주목(光州牧)이 되었다. 충선왕(忠宣王) 2년(1310)에 다시 강등시켜 화평부(化平府)가 되었다. 공민왕(恭愍王) 11년(1362)에 무진부(茂珍府)로 고쳤다가【혜종(惠宗)의 이름을 피하여 무(武)를 무(茂)로 고쳤음】,〈공민왕〉22년(1373)에 다시 광주목이 되었다. 별호(別號)는 광산(光山)이며, 또 익양(翼陽)으로 부르기도 한다. 무등산(無等山)【무진악(武珍岳)이로도 하고, 서석산(瑞石山)이라고도 하며 신라에서 소사(小祀)로 하였고, 고려(高麗)에서는 나라의 제사[國祭]를 지냈음】이 있다.현위치: 현재 광주광역시 동구 충장로1가에 위치.(역사지도 : 74)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2023), 광주·전남지역 역사지명 문헌자료집-행정지명편-
    2024-09-13 | NO.3028
  • 무진주(삼국)
    지명유형: 군현존속시기: 538~756출전: 『삼국사기』지리지, 지리4, 백제문헌(원문):武珍州【一云奴只】未冬夫里縣 伏龍縣 屈支縣 分嵯郡【一云夫沙】助助禮縣 冬老縣 豆肹縣 比史縣 㐲忽郡 馬斯良縣 季川縣 烏次縣 古馬彌知縣 秋子兮郡 菓支縣【一云菓兮】栗支縣 月奈郡半奈夫里縣 阿老谷縣 古彌縣 古尸伊縣 丘斯珍兮縣 所非兮縣 武尸伊郡 上老縣 毛良夫里縣 松彌知縣 欿平郡【一云武平】猿村縣 馬老縣 突山縣 欲乃郡 遁支縣 仇次禮縣 豆夫只縣 尒陵夫里郡【一云竹樹夫里 一云仁夫里】波夫里郡 仍利阿縣【一云海濵】發羅郡 豆肹縣 實於山縣 水川縣【一云水入伊】道武郡 古西伊縣 冬音縣 塞琴縣【一云投濵】黄述縣 勿阿兮郡 屈乃縣 多只縣道暩縣【一云隂海】因珍㠀郡【海島也】徒山縣【海島也 或云猿山】買仇里縣【海島也】阿次山郡 葛草縣【一云何老 一云谷野】古禄只縣【一云開要】居知山縣【一云安陵】奈巳郡문헌(번역문):무진주(武珍州)【한편 노지(奴只)라고도 이름】미동부리현(未冬夫里縣) 복룡현(伏龍縣) 굴지현(屈支縣) 분차군(分嵯郡)【한편 부사(夫沙)라고도 이름】조조례현(助助禮縣) 동로현(冬老縣) 두힐현(豆肹縣) 비사현(比史縣) 복홀군(伏忽郡) 마사량현(馬斯良縣) 계천현(季川縣) 오차현(烏次縣) 고마미지현(古馬彌知縣) 추자혜군(秋子兮郡) 과지현(菓支縣)【한편 과혜(菓兮)라고도 이름】율지현(栗支縣) 월나군(月奈郡) 반나부리현(半奈夫里縣) 아로곡현(阿老谷縣) 고미현(古彌縣) 고시이현(古尸伊縣) 구사진혜현(丘斯珍兮縣) 소비혜현(所非兮縣) 무시이군(武尸伊郡) 상로현(上老縣) 모량부리현(毛良夫里縣) 송미지현(松彌知縣) 감평군(欿平郡)【한편 무평(武平)이라고도 이름】원촌현(猿村縣) 마로현(馬老縣) 돌산현(突山縣) 욕내군(欲乃郡) 둔지현(遁支縣) 구차례현(仇次禮縣) 두부지현(豆夫只縣) 이릉부리군(尒陵夫里郡)【한편 죽수부리(竹樹夫里)라고도 이르고 한편으로 인부리(仁夫里)라고도 이름】파부리군(波夫里郡) 잉리아현(仍利阿縣)【한편 해빈(海濱)이라고도 이름】발라군(發羅郡) 두힐현(豆肹縣) 실어산현(實於山縣) 수천현(水川縣)【한편 수입이(水入伊)라고도 이름】도무군(道武郡) 고서이현(古西伊縣) 동음현(冬音縣) 새금현(塞琴縣)【한편 착빈(捉濱)이라고도 이름】황술현(黃述縣) 물아혜군(勿阿兮郡) 굴내현(屈乃縣) 다지현(多只縣) 도계현(道暩縣)【한편 음해(陰海)라고도 이름】인진도군(因珍島郡)【바다 섬임】도산현(徒山縣)【바다 섬이며 한편 원산(猿山)이라고도 이름】매구리현(買仇里縣)【바다 섬임】아차산군(阿次山郡) 갈초현(葛草縣)【한편 하로(何老)라고도 이르고 한편 곡야(谷野)라고도 이름】고록지현(古祿只縣)【한편 개요(開要)라고도 이름】거지산현(居知山縣)【한편 안릉(安陵)이라고도 이름】나이군(奈已註 416郡)이다.현위치: 현재 광주읍성유허. 광주광역시 동구 광산동에 위치.(역사지도 : 75)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23)광주·전남지역 역사지명 문헌자료집-행정지명편-
    2024-09-13 | NO.3027
  • 무진주(통일신라)
    지명유형: 군현존속시기: 686~756출전: 『삼국사기』본기, 권9, 신라본기문헌(원문):冬十二月 改沙伐州爲尙州 領州一 郡十 縣三十 歃良州爲良州 領州一 小京一 郡十二 縣三十四菁州爲康州 領州一 郡十一 縣二十七 漢山州爲漢州 領州一 小京一 郡二十七 縣四十六 首若州爲朔州 領州一 小京一 郡十一 縣二十七 熊川州爲熊州 領州一 小京一 郡十三 縣二十九 河西州爲溟州 領州一 郡九 縣二十五 完山州爲全州  領州一 小京一 郡十 縣三十一 武珍州爲武州 領州一 郡十四 縣四十四【良州一作梁州】문헌(번역문):겨울 12월에 사벌주(沙伐州)를 상주로 고치고 1주 10군 30현을 거느리게 했다. 삽량주(歃良州)를 양주(良州)로 고치고 1주 1소경 12군 34현을 거느리게 했다. 청주(菁州)를 강주(康州)로 고치고 1주 11군 27현을 거느리게 했다. 한산주(漢山州)를 한주(漢州)로 고치고 1주 1소경 27군 46현을 거느리게 했다. 수약주(水若州)를 삭주(朔州)로 고치고 1주 1소경 11군 27현을 거느리게 했다. 웅천주(熊川州)를 웅주(熊州)로 고치고 1주 1소경 13군 29현을 거느리게 했다. 하서주(河西州)를 명주(溟州)로 고치고 1주 9군 25현을 거느리게 했다. 완산주(完山州)를 전주(全州)로 고치고 1주 1소경 10군 31현을 거느리게 했다. 무진주(武珍州)를 무주(武州)로 고치고 1주 14군 44현을 거느리게 했다.【양주(良州)를 양주(梁州)로도 씀】--------------------------------------------------------------출전: 『삼국사기』지리지, 지리3, 신라문헌(원문): 武州 本百濟地 神文王六年爲武珍州 景徳王攺爲武州 今光州 領縣三문헌(번역문): 무주(武州)는 본래 백제의 땅이었다. 신문왕(神文王) 6년에 무진주(武珍州)로 삼았는데, 경덕왕(景徳王)이 무주(武州)로 고쳐 삼았다. 지금은 광주(光州)이다. 거느리는 현은 3개이다.현위치: 현재 광주읍성유허. 광주광역시 동구 광산동에 위치.(역사지도 : 75)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23)광주·전남지역 역사지명 문헌자료집-행정지명편-
    2024-09-13 | NO.3026
  • 무진현(조선초기)
    지명유형: 군현존속시기: 1430~1449출전: 『신증동국여지승람』권35, 전라 광산문헌(원문): 東至昌平縣界十八里 南至和順縣界二十一里 至南平縣界二十八里 西至羅州界四十七里 北至珍原縣界二十一里 距京都七百二十五里문헌(번역문): 동쪽으로 창평현(昌平縣) 경계까지 18리, 남쪽으로 화순현(和順縣) 경계까지 21리, 남평현(南平縣) 경계까지 28리, 서쪽으로 나주(羅州) 경계까지 47리, 북쪽으로 진원현(珍原縣) 경계까지 21리이며, 서울까지의 거리는 7백 25리이다.현위치: 현재 광산동으로 유력하게 추정됨. 광주광역시 동구 광산동에 위치.(역사지도 : 75)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2023), 광주·전남지역 역사지명 문헌자료집-행정지명편-
    2024-09-13 | NO.3025
  • 문화동
    문화-동(文化洞) 【동】 1957년 12월 2일 동제 실시에 따라 각화동, 문흥동, 두암동을 합하여 문흥과 각화의 이름을 따서 문화동회라 한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2020-06-03 | NO.3024
  • 문흥동
    문흥-동(文興洞) 【동】 본래 광주군 오치면의 지역이다.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송정리와 문산리, 용주리의 각 일부와 서양면의 신흥리 일부와 두 방면의 각화리 일부 지역을 병합하였다. 문산과 신흥의 이름을 따서 문흥리라 하여 서방면에 편입되었다가, 1955년 광주시에 편입되었다. 1957년 동제 실시에 따라 문화동회의 관할이 되었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2020-06-03 | NO.3023
  • 문흥동-갈림보
    갈림-보 【보】 갈림봇들에 물을 대는 보이다. 두 곳으로 갈라져 흐른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2020-06-04 | NO.3022
  • 문흥동-갈림봇들
    갈림봇-들 【들】 송구래 남쪽에 있는 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2020-06-04 | NO.3021
  • 문흥동-갈미배미
    갈미-배미 【논】 장구배미 아래쪽에 있는 논이다. 갈미(갈모)처럼 생겼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2020-06-04 | NO.3020
  • 문흥동-감척굴
    감척-굴 【골】 포사막굴 남쪽에 있는 깊은 골짜기-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2020-06-04 | NO.3019
  • 문흥동-깟밭테
    깟밭-테 【들】 욋등 남동쪽에 있는 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2020-06-04 | NO.3018
  • 문흥동-당산
    당-산(堂山) 【산】 문산 남쪽에 있는 산이다. 당산제를 지냈었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2020-06-04 | NO.3017
  • 문흥동-당산평堂山坪
    당산평堂山坪 : 광주 오치면(梧峙面)의 한글로 박들이고 부산리(父山里)에 있다. 현 북구 문흥동이다. 당산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2020-04-09 | NO.3016
  • 문흥동-대문산
    대-문산(大文山) 【마을】 문산 동쪽에 있는 큰 마을-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2020-06-04 | NO.3015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