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사전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총 4259건
-
- 망월동-팡녕굴
- 팡녕-굴(핑룡굴) 【마을】 가장굴 북서쪽에 있는 마을-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6-02 | NO.3149
-
- 망월동-핑룡굴
- 핑룡-굴 【마을】 →핑녕굴-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6-02 | NO.3148
-
- 망월동-하대곡
- 하대-곡(下大谷) 【마을】 →아랫대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6-02 | NO.3147
-
- 망월동-하죽곡
- 하죽-곡(下竹谷) 【마을】 →아랫대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6-02 | NO.3146
-
- 망월동-한삿골
- 한삿-골 【골】 분토 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절이 있었다 한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6-02 | NO.3145
-
- 망월동-한수배미
- 한수-배미 【논】 월산 서북쪽에 있는 논-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6-02 | NO.3144
-
- 망월동-후평後坪
- 후평後坪 : 광주 상대곡면(上大谷面)의 분토리(粉土里)에 있다. 현 북구 망월동이다. -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8-26 | NO.3143
-
- 매곡동
- 매곡-동(梅谷洞) 【동】 본래 광주군 오치면의 지역이다.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어남리, 중외리, 백련리, 한천리, 봉곡리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어매와 봉곡의 이름을 따서 매곡리라 하여 서방면에 편입되었다. 1955년 광주시에 편입되고, 1957년 동제 실시에 따라 서산동회의 관할이 되었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6-03 | NO.3142
-
- 매곡동-개량평介良坪
- 개량평介良坪 : 광주 오치면(梧峙面)의 중외리(中外里)에 있다. 현 북구 매곡동이다. 갱잇들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4-03 | NO.3141
-
- 매곡동-갱잇들
- 갱잇-들 【들】 어매 동쪽에 있는 들이다. 바닥이 깊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6-03 | NO.3140
-
- 매곡동-검채냇골
- 검채냇-골 【골】 어매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6-03 | NO.3139
-
- 매곡동-냄빗등
- 냄빗-등 【등】 어매 북쪽에 있는 등성이다. 냄비(남비)처럼 생겼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6-03 | NO.3138
-
- 매곡동-당그래봉
- 당그래-봉 【산】 초당등 북쪽에 있는 산-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6-03 | NO.3137
-
- 매곡동-동자봉
- 동자-봉(童子峰) 【산】 매화낙짓등 북쪽에 있는 산-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6-03 | NO.3136
-
- 매곡동-두냥짱고랑
- 두냥짱-고랑 【골】 하백 북쪽에 있는 골짜기다. 두냥 짜리의 묘터가 있었다 한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6-03 | NO.3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