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사전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총 4259건
-
- 망월동-분토동
- 분토-동(奔土洞) 【마을】 → 분토-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6-01 | NO.3179
-
- 망월동-불당골
- 불당-골(佛堂一)(불당굴) 【골】 분토 서남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절이 있었다는데 돌매(맷돌)가 있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6-01 | NO.3178
-
- 망월동-상대곡
- 상대-곡(上大谷) 【마을】 →웃대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6-01 | NO.3177
-
- 망월동-상죽곡
- 상죽-곡(上竹谷) 【골】 →웃대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6-01 | NO.3176
-
- 망월동-새테
- 새-테 【마을】 →월산-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6-01 | NO.3175
-
- 망월동-신점新店
- 신점新店 : 광주 상대곡면(上大谷面)의 분토리(粉土里)에 있는 주막명(酒幕名)이다. 한글로 새쥬막이고 현 북구 망월동이다. 새테, 월산(月山)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5-26 | NO.3174
-
- 망월동-씹새암
- 씹-새암 【우물】 큰골 북쪽에 있는 샘이다. 여자의 성기처럼 생겼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6-01 | NO.3173
-
- 망월동-씹새암골
- 씹새암-골 【골】 씹새암이 있는 골짜기-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6-01 | NO.3172
-
- 망월동-아랫대실
- 아랫-대실(하대곡, 하죽곡) 【마을】 대실 아래쪽에 있는 마을이다. 이 마을의 이름을 따서 하대곡면(下大谷面)이 되어 장동(長洞), 복정(福亭), 어운(漁雲)의 세 동리를 관할하였다. 1914년 군면 폐합에 따라 석곡면(石谷面)에 편입되어 장동(長洞), 운정(雲亭)의 2개 리로 개편되었다. 1955년 7월 1일 광주시 구역 확장에 따라 광주시로 편입되어 리를 동으로 고쳐 장운동, 운전동이라 하였고, 1957년 12월 2일 장운동을 이루었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6-01 | NO.3171
-
- 망월동-역맛등
- 역맛-등 【등】 장앳굴 남쪽에 있는 등성이다. 옛날 오장군이 말을 달리면서 무예를 익혔다 한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6-01 | NO.3170
-
- 망월동-역적골
- 역적-골(逆賊一) 【골】 가장굴 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역적이 무예를 익혔다 한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6-01 | NO.3169
-
- 망월동-웃대실
- 웃-대실(상대곡, 상죽곡) 【마을】 대실 위쪽에 있는 마을이다. 이 마을의 이름을 따서 웃대실면(上大谷面)이라 하여 화암(花岩), 등촌(嶝村), 신촌(新村), 분토(紛土), 용호(龍虎)의 여섯 동리를 관할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석곡면에 편입되어 화암, 청풍, 망월의 3개 리로 개편되었다가, 1955년 7월 1일 광주시 구역 확장에 따라 광주시로 편입하여 리를 동으로 고쳐 화암, 청풍 망월의 3동으로 되었다. 그해 12월 2일 청옥동을 이루었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6-01 | NO.3168
-
- 망월동-원시메
- 원시-메 【골】 모괄 북서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원심소라는 소(沼)가 있었다 한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6-01 | NO.3167
-
- 망월동-원심소
- 원심-소 【소】 분토 남쪽에 있는 소-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6-02 | NO.3166
-
- 망월동-원테
- 원-테(院一) 【보】 월산 북쪽에 있는 보이다. 원집이 있었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6-02 | NO.3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