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사전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총 4259건
-
- 광주-시柿
- 시柿 : 광주 우치면(牛峙面)의 토산명(土産名)이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5-26 | NO.4169
-
- 광주-시실 柿實
- 시실 柿實 : 광주 거치면(巨峙面)의 토산명(土産名)이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5-26 | NO.4168
-
- 광주-신보新洑
- 신보新洑 : 광주 동각면(東角面)의 제언보명(堤堰洑名)이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5-26 | NO.4167
-
- 광주-영계평永界坪
- 영계평永界坪 : 광주 도림면(道林面)의 함동(咸洞)에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6-10 | NO.4166
-
- 광주-오봉곡烏峰谷
- 오봉곡烏峰谷 : 광주 소지면(所旨面)의 면 남부에 있다. -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6-15 | NO.4165
-
- 광주-와룡점臥龍店
- 와룡점臥龍店 : 광주 도림면(道林面)의 주막명(酒幕名)이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6-16 | NO.4164
-
- 광주-완莞
- 완莞 : 광주 거치면(巨峙面), 광주 선도면(船道面)의 토산명(土産名)이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6-16 | NO.4163
-
- 광주-완초莞草
- 완초莞草 : 광주 장본면(獐本面)의 토산명(土産名)이다. -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6-16 | NO.4162
-
- 광주-용진산聳珍山
- 용진산聳珍山 : 광주 여황면(艅艎面)의 여황면(艅艎面), 적량면(赤良面), 오산면(烏山面)과 접해 있다. 용진산 땅이름이 있다. -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6-17 | NO.4161
-
- 광주-월촌점月村店
- 월촌점月村店 : 광주 도림면(道林面)의 주막명(酒幕名)이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6-18 | NO.4160
-
- 광주-율실栗實
- 율실栗實 : 광주 우치면(牛峙面)의 밤 토산명(土産名)이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6-22 | NO.4159
-
- 광주-인籾
- 인籾 : 광주 장본면(獐本面), 광주 적량면(赤良面, 광주 여황면(艅艎面), 광주 오산면(烏山面)의 토산명(土産名)이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6-23 | NO.4158
-
- 광주-저苧
- 저苧 : 광주 거치면(巨峙面), 광주 소고룡면(召古龍面), 광주 장본면(獐本面), 광주 여황면(艅艎面)의 모시 토산명(土産名)이다. -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6-25 | NO.4157
-
- 광주-조棗
- 조棗 : 광주 우치면(牛峙面)의 대추 토산명(土産名)이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6-25 | NO.4156
-
- 광주-주생사紬生絲
- 주생사紬生絲 : 광주 거치면(巨峙面)의 토산명(土産名)이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6-29 | NO.4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