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사전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총 4259건
-
- 광주-마麻
- 마麻 : 광주 갈전면(葛田面), 갑마보면(甲馬保面), 거치면(巨峙面), 계촌면(桂村面), 고내상면(古內廂面), 군분면(軍盆面), 내정면(內丁面), 당부면(當夫面), 대지면(大枝面), 대치면(大峙面), 덕산면(德山面), 도천면(陶泉面), 동각면(東角面), 두방면(斗坊面), 마곡면(馬谷面), 마지면(馬池面), 방하동면(方下洞面), 부동방면(不動坊面), 삼소지면(三所旨面), 상대곡면(上大谷面), 서양면(瑞陽面), 석제면(石堤面), 선도면(船道面), 소고룡면(召古龍面), 소지면(所旨面), 여황면(艅艎面), 오치면(梧峙面), 와곡면(瓦谷面), 우산면(牛山面), 우치면(牛峙面), 유등곡면(柳等谷面), 적량면(赤良面), 지한면(池漢面), 천곡면(泉谷面), 칠석면(漆石面), 하대곡면(下大谷面), 황계면(黃界面), 효우동면(孝友洞面), 흑석면(黑石面)의 토산명(土産名)이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4-14 | NO.4184
-
- 광주-매실梅實
- 매실梅實 : 광주 거치면(巨峙面)의 토산명(土産名)이다. 광산구 진곡동 지역이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4-16 | NO.4183
-
- 광주-면화棉花
- 면화棉花 : 광주 갈전면(葛田面), 갑마보면(甲馬保面), 거치면(巨峙面), 계촌면(桂村面), 고내상면(古內廂面), 공수방면(公須坊面), 군분면(軍盆面), 기례방면(奇禮坊面), 내정면(內丁面), 당부면(當夫面), 대지면(大枝面), 대치면(大峙面), 덕산면(德山面), 도천면(陶泉面), 동각면(東角面), 두방면(斗坊面), 마곡면(馬谷面), 마지면(馬池面), 방하동면(方下洞面), 부동방면(不動坊面), 삼소지면(三所旨面), 상대곡면(上大谷面), 서양면(瑞陽面), 석저면(石底面), 석제면(石堤面), 선도면(船道面), 성내면(城內面), 소고룡면(召古龍面), 소지면(所旨面), 오산면(烏山面), 오치면(梧峙面), 와곡면(瓦谷面), 우산면(牛山面), 우치면(牛峙面), 유등곡면(柳等谷面), 장적량면(赤良面), 지한면(池漢面), 천곡면(泉谷面), 칠석면(漆石面), 하대곡면(下大谷面), 황계면(黃界面), 효우동면(孝友洞面), 흑석면(黑石面)의 토산명(土産名)이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4-16 | NO.4182
-
- 광주-미米
- 미米 : 광주 갈전면(葛田面), 갑마보면(甲馬保面), 거치면(巨峙面), 계촌면(桂村面), 고내상면(古內廂面), 공수방면(公須坊面), 군분면(軍盆面), 기례방면(奇禮坊面), 내정면(內丁面), 당부면(當夫面), 대지면(大枝面), 대치면(大峙面), 덕산면(德山面), 도천면(陶泉面), 동각면(東角面), 두방면(斗坊面), 마곡면(馬谷面), 마지면(馬池面), 방하동면(方下洞面), 부동방면(不動坊面), 삼소지면(三所旨面), 상대곡면(上大谷面), 서양면(瑞陽面), 석저면(石底面), 석제면(石堤面), 선도면(船道面), 성내면(城內面), 소고룡면(召古龍面), 소지면(所旨面), 여황면(艅艎面), 오산면(烏山面), 오치면(梧峙面), 와곡면(瓦谷面), 우산면(牛山面), 우치면(牛峙面), 유등곡면(柳等谷面), 장본면(獐本面), 적량면(赤良面), 지한면(池漢面), 천곡면(泉谷面), 칠석면(漆石面), 하대곡면(下大谷面), 황계면(黃界面), 효우동면(孝友洞面), 흑석면(黑石面)의 토산명(土産名)이다. -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4-17 | NO.4181
-
- 광주-사두보沙頭湺
- 사두보沙頭湺 : 광주 평리면(平里面)의 광주군 소지면(所旨面)과 경계이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5-15 | NO.4180
-
- 광주-석물石物
- 석물石物 : 광주 공수방면(公須坊面)의 유림숲(柳林藪) 안에 있는 신라 유물이다. 현 광주시립박물관에 있다.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호 십신사지(十信寺址) 석비.-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5-15 | NO.4179
-
- 광주-석방치石傍峙
- 석방치石傍峙 : 광주 도림면(道林面)의 고개 이름이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5-15 | NO.4178
-
- 광주-선자扇子
- 선자扇子 : 광주 기례방면(奇禮坊面)의 토산명(土産名)이다. - 朝鮮地誌資料(1910)*선자는 부채를 말한다.
- 2020-05-18 | NO.4177
-
- 광주-세천細川
- 세천細川 : 광주 평리면(平里面)의 개천 이름이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5-20 | NO.4176
-
- 광주-소두小豆
- 소두小豆 : 광주 갈전면(葛田面), 갑마보면(甲馬保面), 거치면(巨峙面), 계촌면(桂村面), 고내상면(古內廂面), 공수방면(公須坊面), 군분면(軍盆面), 기례방면(奇禮坊面), 내정면(內丁面), 당부면(當夫面), 대지면(大枝面), 대치면(大峙面), 덕산면(德山面), 도천면(陶泉面), 동각면(東角面), 두방면(斗坊面), 마곡면(馬谷面), 마지면(馬池面), 방하동면(方下洞面), 부동방면(不動坊面), 삼소지면(三所旨面), 상대곡면(上大谷面), 서양면(瑞陽面), 석저면(石底面), 석제면(石堤面), 선도면(船道面), 성내면(城內面), 소고룡면(召古龍面), 소지면(所旨面), 여황면(艅艎面), 오산면(烏山面), 오치면(梧峙面), 와곡면(瓦谷面), 우산면(牛山面), 우치면(牛峙面), 유등곡면(柳等谷面), 장본면(獐本面), 적량면(赤良面), 지한면(池漢面), 천곡면(泉谷面), 칠석면(漆石面), 하대곡면(下大谷面), 황계면(黃界面), 효우동면(孝友洞面), 흑석면(黑石面)의 토산명(土産名)이다. -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5-20 | NO.4175
-
- 광주-소맥小麥
- 소맥小麥 : 광주 갈전면(葛田面), 거치면(巨峙面), 계촌면(桂村面), 고내상면(古內廂面), 공수방면(公須坊面), 군분면(軍盆面), 기례방면(奇禮坊面), 내정면(內丁面), 당부면(當夫面), 대지면(大枝面), 대치면(大峙面), 덕산면(德山面), 도천면(陶泉面), 동각면(東角面), 두방면(斗坊面), 마곡면(馬谷面), 마지면(馬池面), 방하동면(方下洞面), 부동방면(不動坊面), 삼소지면(三所旨面), 상대곡면(上大谷面), 서양면(瑞陽面), 석저면(石底面), 석제면(石堤面), 선도면(船道面), 성내면(城內面), 소고룡면(召古龍面), 소지면(所旨面), 여황면(艅艎面), 오산면(烏山面), 오치면(梧峙面), 와곡면(瓦谷面), 우산면(牛山面), 우치면(牛峙面), 유등곡면(柳等谷面), 장본면(獐本面), 적량면(赤良面), 지한면(池漢面), 천곡면(泉谷面), 칠석면(漆石面), 하대곡면(下大谷面), 황계면(黃界面), 효우동면(孝友洞面), 흑석면(黑石面)의 토산명(土産名)이다. -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5-20 | NO.4174
-
- 광주-송松
- 송松 : 광주 거치면(巨峙面), 지한면(池漢面)의 토산명이다. -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5-21 | NO.4173
-
- 광주-송정제 松丁堤
- 송정제 松丁堤 : 광주 도림면(道林面)의 제언보명(堤堰洑名)이다. -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5-21 | NO.4172
-
- 광주-수영평水盈坪
- 수영평水盈坪 : 광주 도림면(道林面)의 함동(咸洞)에 있다. -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5-26 | NO.4171
-
- 광주-수철물水鐵物
- 수철물水鐵物 : 광주 오산면(烏山面)의 토산명(土産名)이다. -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5-26 | NO.4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