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사전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총 4259건
-
- 대지동-백토점白土店
- 백토점白土店 : 광주 대지면(大枝面)의 곡촌리(曲村里)에 있는 주막명(酒幕名)이다. 현 남구 대지동이다. 백투개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4-24 | NO.3539
-
- 대지동-백토평白土坪
- 백토평白土坪 : 광주 대지면(大枝面)의 본촌리(本村里)에 있다. 현 남구 대지동이다. 백투개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4-24 | NO.3538
-
- 대지동-상령평上令坪
- 상령평上令坪 : 광주 대지면(大枝面)의 상촌리(上村里)에 있다. 현 남구 대지동이다. 상령굴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5-15 | NO.3537
-
- 대지동-상보 上洑
- 상보 上洑 : 광주 대지면(大枝面)의 상촌리(上村里)에 있다. 현 남구 대지동이다. -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5-15 | NO.3536
-
- 대지동-압매점壓埋店
- 압매점壓埋店 : 광주 대지면(大枝面)의 본촌리(本村里)에 있는 주막명(酒幕名)이다. 현 남구 대지동이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6-08 | NO.3535
-
- 대지동-중보中洑
- 중보中洑 : 광주 대지면(大枝面)의 상촌리(上村里)에 있다. 현 남구 대지동이다. -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7-06 | NO.3534
-
- 대지동-촌전점村前店
- 촌전점村前店 : 광주 대지면(大枝面)의 본촌리(本村里)에 있는 주막명이다. 현 남구 대지동이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7-17 | NO.3533
-
- 대지동-촌전평村前坪
- 촌전평村前坪 : 광주 대지면(大枝面)의 상촌리(上村里)에 있다. 현 남구 대지동이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7-17 | NO.3532
-
- 대촌-중보中洑
- 중보中洑 : 광주 삼소지면(三所旨面)의 상대리(上大里)에 있다. 현 북구 대촌이다. 중대 땅이름이 있다
- 2020-07-06 | NO.3531
-
- 대촌동
- 대촌-동(大村洞)(삼소지, 큰마을, 대촌) 【동】 본래 광주군 삼소지면의 소재지이므로 삼소지, 큰마을 도는 대촌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상대리, 하대리, 저작리의 각 일부와 갑마보면의 용두리 일부와 장성군 외동면의 주암리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대촌리라 해서 본촌(지산)면에 편입되었다. 1957년 광주시에 편입되어 리를 동으로 고치고, 1957년 동제실시에 따라 삼수동회의 관할이 되었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5-14 | NO.3530
-
- 대촌동-간밤
- 간-밤(간배미) 【논】 삼소지 동남쪽에 있는 논 -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5-14 | NO.3529
-
- 대촌동-간배미
- 간-배미 【논】 →간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5-14 | NO.3528
-
- 대촌동-갈모배미
- 갈모-배미 【논】 넙디기에 있는 논이다. 갈모처럼 생겼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5-14 | NO.3527
-
- 대촌동-꽃나무쟁이시암
- 꽃나무쟁이-시암 【우물】 소금쟁이시암 위쪽에 있는 우물-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5-14 | NO.3526
-
- 대촌동-넙디기
- 넙-디기 【들】 한장들 동남쪽에 있는 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5-14 | NO.3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