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사전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총 4259건
-
- 대촌동-송굿배미
- 송굿-배미 【논】 백말배미 아래쪽에 있는 논-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5-19 | NO.3509
-
- 대촌동-원시암
- 원-시암(院一) 【우물】 삼소지 앞에 있는 우물이다. 원집에서 길어다 먹었다 한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5-19 | NO.3508
-
- 대촌동-원시암배미
- 원시암-배미 【논】 원시암 옆에 있는 논-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5-19 | NO.3507
-
- 대촌동-장구배미
- 장구-배미 【논】 질알배미 위쪽에 있는 논이다. 장구처럼 가운데가 잘룩하게 생겼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5-19 | NO.3506
-
- 대촌동-장성머리
- 장성-머리 【들】 →장승머리-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5-19 | NO.3505
-
- 대촌동-장승머리
- 장승-머리(장성머리) 【들】 삼소지 동쪽에 있는 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5-19 | NO.3504
-
- 대촌동-잿재
- 잿-재 【들】 한장들 남쪽에 있는 들이다. 지대가 높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5-19 | NO.3503
-
- 대촌동-전평제前坪堤
- 전평제前坪堤 : 광주 삼소지면(三所旨面)의 저작리(著作里)에 있다. 현 북구 대촌동이다. -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6-25 | NO.3502
-
- 대촌동-중대
- 중-대(中大) 【마을】 상대와 하대 사이에 있는 마을-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5-19 | NO.3501
-
- 대촌동-중보평中洑坪
- 중보평中洑坪 : 광주 삼소지면(三所旨面)의 상대리(上大里)에 있다. 현 북구 대촌동이다. 중대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7-06 | NO.3500
-
- 대촌동-진살미
- 진-살미 【들】 비락배미 위쪽에 있는 긴 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5-19 | NO.3499
-
- 대촌동-질알배미
- 질알-배미 【논】 삼소지 앞, 길 아래에 있는 논-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5-19 | NO.3498
-
- 대촌동-큰마을
- 큰-마을 【마을】 →대촌동-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5-19 | NO.3497
-
- 대촌동-하대
- 하-대(下大)(하대리) 【마을】 대촌 아래쪽에 있는 마을-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5-19 | NO.3496
-
- 대촌동-하대리
- 하대-리(下大里) 【마을】 →하대-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 2020-05-19 | NO.3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