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사전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총 4259건
-
- 계림동-잿등1
- 잿등1 【마을】 잿등에 있는 마을.
- 2019-07-12 | NO.4214
-
- 계림동-잿등2
- 잿등2 【등】 메머리 아래쪽에 있는 둥섬이. 등 위에 큰 길이 나 있음.
- 2019-07-12 | NO.4213
-
- 계림동-학다리
- 학다리 [학교 鶴橋] 【다리】 계림동 2구와 북동(北洞) 경계에 있던 다리
- 2019-07-12 | NO.4212
-
- 계림동.중흥동-가리산加里山
- 가리산加里山 : 광주 서양면(瑞陽面)의 지명이다. 북부에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3-26 | NO.4211
-
- 고룡동-계전곡鷄田谷
- 계전곡鷄田谷 : 광주 소고룡면(召古龍面)에 있다. 한글로 닥밧골이고 산막리(山幕里)에 있다. 현 광산구 고룡동이다. 楮田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4-06 | NO.4210
-
- 고룡동-번덕평番德坪
- 번덕평番德坪 : 광주 소고룡면(召古龍面)의 기룡리(騎龍里)에 있다. 현 광산구 고룡동이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4-24 | NO.4209
-
- 고룡동-벽파정碧波亭
- 벽파정碧波亭 : 광주 소고룡면(召古龍面)의 기룡리(騎龍里)에 있는 주막명(酒幕名)이다. 현 광산구 고룡동이다. 벽파정, 기룡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4-27 | NO.4208
-
- 고룡동-왕심리점王心里店
- 왕심리점王心里店 : 광주 소고룡면(召古龍面)의 주막명(酒幕名)이다. 연동리(蓮洞里)에 있다. 현 광산구 고룡동이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6-16 | NO.4207
-
- 고룡동-전평제前坪堤
- 전평제前坪堤 : 광주 소고룡면(召古龍面)의 연동리(蓮洞里)에 있다. 현 광산구 고룡동이다. -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6-25 | NO.4206
-
- 고룡동-행정평行丁坪
- 행정평行丁坪 : 광주 소고룡면(召古龍面)의 창암리(蒼巖里)에 있다. 현 광산구 고룡동이다. 파라매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7-28 | NO.4205
-
- 고룡동-회개평제回介坪堤
- 회개평제回介坪堤 : 광주 소고룡면(召古龍面)의 정광리(正光里)에 있다. 현 광산구 고룡동이다. -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8-21 | NO.4204
-
- 공수방면-소반미륵小盤彌勒
- 소반미륵小盤彌勒 : 광주 공수방면(公須坊面)의 유림숲(柳林藪) 안에 소재하고 신라 유물이다. 현 광주시립박물관에 있다.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호 십신사지(十信寺址) 석불.-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5-20 | NO.4203
-
- 광산구-리치狸峙
- 리치狸峙 : 광주 도림면(道林面)의 한글로 삭재 또는 삵치이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4-13 | NO.4202
-
- 광산구-리치산狸峙山
- 리치산狸峙山 : 광주 도림면(道林面)의 산곡명(山谷名)이다. -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4-13 | NO.4201
-
- 광산동
- 광산동(光山洞) 【동】 본래 광주군 성내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 구역 폐합에 따라, 남내리, 사정리의 각 일부와 부동방면의 서남리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동광산정이라 해서 광주면에 편입되었다가 1948년 4월 1일 왜식 동명 변경에 광산동으로 고치고, 동제 실시에 따라 동구 남금동회의 관할이 됨.
- 2019-07-12 | NO.4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