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4259
게시물 검색 폼
  • 내남동-칠기치七機峙
    칠기치七機峙 : 광주 지한면(池漢面)의 치명(峙名)이다. 내지리(內池里)에 있다. 현 동구 내남동이다. 칠구재, 칠갓재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2020-07-17 | NO.3794
  • 내남동-통골
    통-골 【골】 장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통처럼 우묵하게 생겼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2020-03-10 | NO.3793
  • 내남동-한재
    한-재 【고개】 윗골 서남쪽에서 화순군 화순읍 세량리로 가는 고개이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2020-03-10 | NO.3792
  • 내남동-한잿등
    한잿-등 【등】 통골 남쪽에 있는 등성이이다. 한재 위가 된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2020-03-10 | NO.3791
  • 내남동-흰작살
    흰-작살 【산】 개바웃등 서쪽에 있는 산이다. 흰 작살(자갈)이 많다.- 한글학회(1982), 한국지명총람
    2020-03-10 | NO.3790
  • 내방(內坊)
    내-방(內坊)(내동)【마을】 내방리의 원 마을. 세방천의 안쪽이 됨
    2018-06-11 | NO.3789
  • 내방-내동(內洞)
    내-동(內洞) 【마을】 →내방.
    2018-06-11 | NO.3788
  • 내방-새방천
    새-방천 〔신방, 신방리〕 【마을】 내방 북쪽에 있는 마을. 새로 쌓은 방천이 있었음.
    2018-06-11 | NO.3787
  • 내방-신방(新防)
    신-방(新防) 【마을】 →새 방천
    2018-06-11 | NO.3786
  • 내방-잿등
    잿-등 【마을】 내방 남쪽, 등성이에 있는 마을
    2018-06-11 | NO.3785
  • 내방-신방리(新防里)
    신방-리(新防里) 【마을】 →새방천
    2018-06-11 | NO.3784
  • 내방동(內防洞)
    내방-동(內防洞)【동】 본래 광주군 군분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신방리, 내동리, 송정리, 쌍촌리 의 각 일부와 황계면의 대자리 일부를 병합하여 내동과 신방의 이름을 따서 내방리라 하여 극락면에 편입되었다. 1955년 광주시에 편입될 때 신방리는 광천동이 되고, 그나머지는 내방동이라 하여 일부는 화내동회에, 일부는 유덕동회의 관할이 됨
    2018-06-11 | NO.3783
  • 내방동-신방점新防店
    신방점新防店 : 광주 군분면(軍盆面)의 신방리(新防里)에 있는 주막명(酒幕名)이다. 한글로 새방쳔이고 현 서구 내방동이다. 새방, 신방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2020-05-26 | NO.3782
  • 내방동-치등점峙嶝店
    치등점峙嶝店 : 광주 군분면(軍盆面)의 한글로 잿등이고 내동리(內洞里)에 있다. 현 서구 내방동이다. 잿등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2020-07-17 | NO.3781
  • 내산동-대동평大洞坪
    대동평大洞坪 : 광주 도림면(道林面)의 쌍계리(雙溪里)에 있다. 현 광산구 내산동이다.- 朝鮮地誌資料(1910)
    2020-04-09 | NO.3780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