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사전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총 4259건
-
- 노대-가장골(假葬-)
- 가장-골(假葬-) 【골】 선박등 남쪽에 있는 골짜기. 가장터
- 2018-06-11 | NO.3734
-
- 노대-고작골
- 고작-골 【골】 →고자기.
- 2018-06-12 | NO.3733
-
- 노대-노대굴
- 노대-굴 【마을】 →노대동
- 2018-06-12 | NO.3732
-
- 노대-당산등시암
- 당산등-시암 【우물】 당산둥에 있는 샘. 물이 차고 맛이 좋
- 2018-06-12 | NO.3731
-
- 노대-무젯등
- 무젯-등 【등】 태봉 서쪽에 있는 등성이. 무제(기우제)를 지냈음
- 2018-06-12 | NO.3730
-
- 노대-범바우
- 범-바우 【바위】 노대 남쪽에 있는 바위 . 범처럼 생겼음
- 2018-06-12 | NO.3729
-
- 노대-사모바우
- 사모-바우[紗帽-) 【바위】 노대 동쪽에 있는 바위. 사모처럼 생겼음.
- 2018-06-12 | NO.3728
-
- 노대-삼밭골
- 삼밭-골 【골】 신기 서남쪽에 있는 골짜기. 삼밭이 있었다 함
- 2018-06-12 | NO.3727
-
- 노대-새까끔
- 새-까끔 【산】 신기 북쪽에 있는 산. 새로 된 말림갓이 있었음
- 2018-06-12 | NO.3726
-
- 노대-서깃태
- 서깃-태 【골】 고산절 동쪽에 있는 골짜기
- 2018-06-12 | NO.3725
-
- 노대동(老大洞)
- 노대동(老大洞)[노대, 노대굴〕 【동】 본래 광주군 효우동면의 지역으로서 노대굴 또는 노대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노대리라 해서 효천면에 편입되었다가 1955년 광주시에 편입되었다가, 1973년 동제 실시에 따라 효덕동회의 관할이 됨
- 2018-06-11 | NO.3724
-
- 노대동-고작평古作坪
- 고작평古作坪 : 광주 효우동면(孝友洞面)의 노대리(老大里)에 있다. 현 남구 노대동이다. 고작골, 고자기 땅이름이 있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4-06 | NO.3723
-
- 노대동-노대야老大野
- 노대야老大野 : 광주 효우동면(孝友洞面)의 노대리(老大里)에 있다. 현 남구 노대동이다. 노대굴 땅이름이 있다. 한글로 노대골들이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4-08 | NO.3722
-
- 노대동-동정계東亭溪
- 동정계東亭溪 : 광주 효우동면(孝友洞面)의 노대리(老大里)에 있다. 현 남구 노대동이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4-13 | NO.3721
-
- 노대동-동정점東亭店
- 동정점東亭店 : 광주 효우동면(孝友洞面)의 노대리(老大里)에 있는 주막명(酒幕名)이다. 현 남구 노대동이다.- 朝鮮地誌資料(1910)
- 2020-04-13 | NO.3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