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동강유집 제12권 / 제문(祭文)- 청음 김상헌 선생에 대한 제문〔祭淸陰金先生文〕

동강유집 제12권 / 제문(祭文)- 청음 김 선생에 대한 제문〔祭淸陰金先生文〕


아, 하늘은 우리 선생을 석과(碩果)로 인정하였건만 어찌하여 선생(金尙憲, 1570~1652)께선 갑자기 이 세상을 헌신짝처럼 버리셨습니까. 선생의 절의와 문장은 이미 온 천하를 진동시키고 역사에 빛나기에 충분하니 지난날 선생을 시기하여 모함하던 자들도 장차 이마에 땀이 흐를 것입니다. 그렇다면 세상에는 선생을 조금 안다고 말하는 자들이 필시 적지 않겠지만, 천하를 진동시키고 역사에 빛날 선생의 절의와 문장이 실로 근본이 있음을 살핀 자들이야 얼마나 되겠습니까.

제가 비록 보잘것없는 몸이지만 일찍이 선친께서 남기신 말씀을 들었습니다. 선친께선 평소 항상 선생을 언급하시면서 꼭 다음과 같이 말씀하였습니다.

“그 사람의 뛰어난 절의는 어린 임금을 맡길 만하고, 그의 문장은 나라를 빛내고 훌륭한 문장가의 뒤를 잇기에 충분하다. 이는 본래 빼어난 기운을 타고난 것이지만 학문으로 터득한 것이 많았다.”

아직도 귀에 쟁쟁한 그 말씀을 저는 마음속 깊이 새기고 있습니다. 그런 선생께서 이제 끝나고 말았습니다. 선친의 막역지우도 소자가 믿고 의지하던 분도 모두 하루아침에 잃고 말았으니, 갈 길을 잃고 헤매는 이 몸은 장차 누구를 의지한단 말입니까.

선생께서 이 세상에 계실 때엔 단지 조정의 석과였을 뿐만 아니라 실로 선친의 벗 가운데서도 석과였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헌신짝처럼 세상을 버리고 아득히 날아가는 새를 타고 돌아보지 않으시니, 이제부터 우리 양가 자손들이 아버지와 스승을 사모하는 마음을 붙일 곳은 오직 우리 선친이 선생께 준 서문 두 편, 선생께서 써주신 선친의 행장과 문집 서문, 두 분이 평소 주고받으신 시편 등이 남아있을 뿐입니다. 아, 슬픕니다.

사람들은 항상 이렇게 말합니다.

“단련할수록 순정해지는 것은 좋은 금이고, 태울수록 향이 짙어지는 것은 향기로운 난초이다.”

그러나 역경을 만날수록 더욱 빛나는 선생의 도는 금이나 난초에 비할 바가 아니니, 천하를 진동시키고 역사에 빛날 선생의 절의와 문장은 마땅히 먼 훗날까지 길이 전해질 것입니다. 아, 슬픕니다.

선생께서 심양(瀋陽)에 들어가 계실 때 저도 뒤따르게 되었는데, 그때 본 선생의 안색과 음성은 전혀 흐트러짐이 없었습니다. 선생께서 고국으로 돌아오신 뒤에 제가 석실(石室)에서 뵈었고, 또 서울 집에서도 뵈었는데, 그때의 안색과 음성이 심양 객관에 계실 때와 다름이 없었습니다. 이를 보고난 뒤에야 저는 선생의 절의와 문장이 모두 근본이 있고 괜히 그런 것이 아님을 알게 되었습니다. 아, 슬픕니다.

을유년(1645, 인조23) 겨울에 제가 광주 목사(光州牧使)로 나갈 때엔 선생께서 율시 한 수를 지어 주시고, 또 소서(小序)를 지어 아픈 사람 보살피듯 백성을 살피라는 뜻으로 격려하셨습니다. 지난 가을 제가 송도 유수(松都留守)에 제수되어 선생께 하직 인사 올리러 찾아뵈었을 때 선생께선 병석에 계셨습니다. 제 손을 잡고서,

“이번에 헤어지는 것이 영원한 이별이겠구나.”

라고 슬프게 말씀하시면서 선친과 돈독했던 교분에 대해 끊임없이 이야기하셨습니다. 아! 슬픕니다. 그 때가 얼마나 지났기에 더 이상 조정과 선친의 벗 사이에서 선생을 볼 수 없단 말입니까. 더구나 지금 내가 온 것이 사(賜)보다 늦어서 선생의 장례에 상엿줄도 잡지 못하여 뒤늦게 궤연(几筵)에 제물을 올리니, 스승을 잃고 헤매는 소자의 슬픔이 어찌 심하지 않겠습니까. 아, 슬픕니다.

[주-D001] 청음 …… 제문 : 

이 글은 1652년 6월 25일 세상을 떠난 김상헌(金尙憲, 1570~1652)에 대한 제문이다. 김상헌의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숙도(叔度), 호는 청음(淸陰)ㆍ석실산인(石室山人)ㆍ서간노인(西磵老人)이다. 1596년(선조29)에 문과에 급제하여 대사헌, 육조의 판서, 좌의정 등을 역임하였다.

[주-D002] 석과(碩果) : 

과일 나무 높은 가지 끝에 달려 있어 사람들이 따 먹지 못하는 한 개 남은 큰 과일을 말하는데, 종자가 되어 다시 훗날을 기약할 수 있다는 점에서 어지러운 세상에서도 큰 덕을 지닌 채 소인들에게 해를 당하지 않고 있는 군자를 지칭한다. 《주역》 〈박괘(剝卦) 상구(上九)〉 효사(爻辭)의 ‘큰 과일은 먹지 않는다.〔碩果不食〕’는 것은 음(陰)이 아무리 치성해도 양(陽)이 없어지지 않음을 나타낸 것이다.

[주-D003] 우리 …… 서문 : 

한국문집총간 71집에 수록된 《상촌고(象村稿)》에 저자의 부친이 쓴 〈송김교리상헌이안무어사부제주서(送金校理尙憲以按撫御史赴濟州序)〉와 〈송김판관상헌부경성서(送金判官尙憲赴鏡城序)〉 및 청음 김상헌이 쓴 〈상촌선생집서(象村先生集序)〉와 〈행장(行狀)〉이 실려 있다.

[주-D004] 선생께서 …… 되었는데 : 

김상헌은 청나라의 출병 요구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1940년(인조18)에 청나라에 압송되었고, 저자는 1642년에 명나라를 지지하고 청나라를 배척하였다는 일로 심양으로 압송되었다.

[주-D005] 석실(石室) : 

양주(楊州) 동쪽에 있는 산 이름인데, 김상헌이 이곳에서 은거하며 석실산인(石室山人)이라는 자호(自號)를 쓰기도 하였다.

[주-D006] 사(賜)보다 : 

사는 공자의 제자 자공(子貢)이다. 자공은 공자가 세상을 떠나기 전에 왔는데, 저자는 청음 선생이 세상을 떠난 뒤에 찾아왔다는 말이다. 공자가 세상을 떠나기 일주일 전에 아침 일찍 일어나서 뒷짐을 진 채 지팡이를 끌고 문에서 소요하며 위인의 죽음을 노래하자, 자공이 그 노래를 듣고 탄식하면서 달려가니, 공자가 “사야, 네가 어찌하여 이렇게 더디게 오느냐.”라고 하며 자신이 죽을 것을 예견했다는 고사가 있다. 《禮記 檀弓上》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