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매수의 시집에서 고 자 운을 얻다 (매수는 판사 허기의 호) 〔梅叟詩卷得高字 許判事耆號〕
허기(許耆, 1365~1431), 저서로 《매헌시집(梅軒詩集)》
형재시집 제3권 / 칠언율시 64수 (七言律詩 六十四首 )
문경공의 여러 자손들 대대로 높은 관직 차지했고 / 文敬諸孫世珥貂
대대로 전하는 가학을 계승한 인재가 그 몇 명인가 / 靑箱相繼幾英豪
야당은 자혜로우니 사람들 모두 감동하고 / 野堂慈惠人皆感
매수는 깨끗하고 절개가 절로 높네 / 梅叟淸修節自高
임금께서 어진 이 구할 때 미치지 못했다 해도 / 聖主求賢如不及
인재가 숨어 산들 끝까지 피하기는 어려우리 / 良才晦迹竟難逃
만리를 날아가는 붕새의 여정 이제부터 시작되니 / 鵬程萬里從今始
성을 맡기고 칼을 준 뜻을 알리라 / 知有任城贈佩刀
‘임성(任城)’이 ‘친붕(親朋)’으로 된 곳도 있고, ‘패(佩)’가 ‘보(寶)’로 된 곳도 있다.
[주-D001] 허기(許耆) :
1365~1431. 여말 선초의 문신이다. 자는 원덕(原德), 호는 매헌(梅軒) 또는 매수(梅叟)이다. 광주목사(光州牧使)를 역임하였다. *양천허씨대종회에 확인한 결과 경기도 廣州목사이다.
[주-D002] 문경공(文敬公) :
허기의 선조인 허공(許珙, 1233~1291)의 시호이다. 허공은 고려 고종 때 과거에 급제한 후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고 청렴하기로 이름이 높았다. 그의 자손들이 대대로 현달했기에 형재가 시에서 언급한 것이다.
[주-D003] 높은 관직 :
원문의 ‘이초(珥貂)’는 담비의 꼬리를 모자에 단 것으로 고관 귀족들만 달 수 있었다.
[주-D004] 대대로 전하는 가학(家學) :
원문의 ‘청상(靑箱)’은 대나무로 만든 상자인데 가문에서 대대로 이어지는 가학을 의미하는 말이다.
[주-D005] 야당(野堂) :
허기의 부친 허금(許錦, 1340~1388)의 호이다. 허금은 고려 말의 문신으로 자는 재중(在中), 시호는 문정(文正)이다. 과거 급제 후 좌상시(左常侍), 전리 판서(典理判書)를 역임한 후 은퇴하였다. 온화한 인품으로 명망이 높았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 제목 | 발행처 |
---|---|---|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 광주 향토사 연구 |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 동구의 인물2 | 광주광역시 동구청 |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마을(동)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민속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21) | 양림 인물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동구문화원(2014) |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 광주동구문화원 |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 누리집(2023.2 |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 광주의 다리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재단(2021) | 근현대 광주 사람들 | 광주문화재단 |
광주북구문화원(2004) | 북구의 문화유산 | 광주북구문화원 |
광주서구문화원(2014) | 서구 마을이야기 | 광주서구문화원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옛 지도로 본 광주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 국역 光州邑誌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 영산강의 나루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 경양방죽과 태봉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 1896광주여행기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 광주천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김경수(2005) | 광주의 땅 이야기 | 향지사 |
김대현.정인서(2018) |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정호(2014) | 광주산책(상,하) | 광주문화재단 |
김정호(2017) |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학휘(2013) |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4) |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5) |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6) |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8) |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9) |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 광산문화원 |
남성숙(2017) | 전라도 천년의 얼굴 | 광주매일신문 |
노성태(2016) | 광주의 기억을 걷다 | 도서출판 살림터 |
노성테.신봉수(2014) |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 광주문화원연합회 |
박규상(2009) | 광주연극사 | 문학들 |
박선홍(2015) | 광주 1백년 | 광주문화재단 |
정인서(2016) |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 광주문화원연합회 |
정인서 외(2015) | 광주의 옛길과 새길 | 시민의 소리 |
정인서(2011) |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 대동문화재단 |
정인서(2011) | 광주문화재이야기 | 대동문화재단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
천득염(2006) | 광주건축100년 | 전남대학교출판부 |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 광주향약 1,2,3. | 한국학호남진흥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