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동문선 제116권 / 뇌(誄); 채순희

동문선 제116권 / 뇌(誄)

중서시랑 평장사 태자 소사 채공 뇌사(中書侍郞平章事太子少師蔡公誄詞)


이규보(李奎報)


대장부로 세상에 태어나서 벼슬이 재상에 이르고, 70이 되어서는 벼슬을 내놓고, 정신을 깨끗이하며, 천성을 수양하여 능히 타고난 수명을 다 누리며 일생을 착하게 살아간 이는 고금에서 구한다 하더라도, 많이 얻을 수 없는 것이온데, 우리 소사(少師) 채공은 이것을 향유하였다. 공의 휘는 순희(順禧)이고, 가계는 광주(光州) 출신이다. 아버지의 휘는 아무인데, 벼슬이 아무 관직에까지 이르렀다. 공이 의종(毅宗) 때 내정(內廷)에 적을 두고, 명종(明宗)이 선위할 때까지도 오히려 임금의 측근에서 떠나지 아니하였다. 상감께서 일찍이 수창궁(壽昌宮)에 계실 때 적신(賊臣) 조원정(曹元正)과 석린(石麟)들이 불궤(不軌)를 도모할 때 밤에 담을 넘어 금중(禁中)에 들어와 난을 일으켰다. 이날 밤에 대궐 안에 들어와 숙직하던 가까운 신하들이 난리를 듣고 놀라고 무서워서 모두 담을 넘어 피해 달아났는데, 공만이 홀로 자신(紫宸 임금 있는 내정)에 입시하여, 잠깐 동안이라도 임금님의 곁에서 떠난 일이 없었다. 상감께서 감탄하여 말씀하시기를, “옛사람이 말하기를, ‘빠른 바람에 굳센 풀이 있음을 안다’ 하더니, 바로 그대를 이름이로다.” 하였다. 벼슬이 오조(五朝)에 이르러 두루 높은 자리를 거쳤고, 금상폐하 아무 해에 이르러 지위가 중서시랑 평장사 태자 소사(中書侍郞平章事太子少師)에 나아갔다. 사직을 원하여 물러와 평안히 있을 때, 거문고와 술로 소요하였다. 대체로 몇 해를 지나 운명할 시기가 문득 이르러 이 세상을 떠나셨으니, 슬프고 영화스러운 시종(始終)이 다 갖추어져 하나도 부족함이 없었으니, 이것은 대장부가 일컬을 만한 것이다. 천성이 너그럽고 온화하여 대중을 용납하니, 일찍이 노한 얼굴을 보지 못하였다. 비록 헌 자리에 토한 아전을 용서하고, 국을 쏟는 종을 용서하는 자라도 그 어찌 이에서 더하겠는가. 그러나 조석(曹石)의 난리에 임하여 두려워하지 아니하고, 굳센 기개가 독특한 절개를 볼 수 있었으니, 이 어찌 “인자(仁者)는 반드시 용기가 있다.”는 것이 아니겠는가. 부음이 들려오자, 상감께서 애도하여 정사 들으심을 폐하시고, 유사에게 칙명하여 명기(明器)와 노부(鹵簿 필요한 의장)를 갖추도록 하였다. 아무 산에 장사 지내시고, 시호를 아무공이라 내리며, 거듭 소신에게 명하여 사실을 엮어서 뇌사를 짓게 하니, 그 글에 이르기를, “왕좌(王佐)의 재주를 먼저 기량을 점치게 하였네. 과감한 우리 공이여, 기량을 지님이 본래부터 달랐다. 조석이 난을 일으켜 밤에 금문(禁門)을 두들기자, 내신들이 쥐구멍을 찾아 담을 넘어 달아났는데, 공이 홀로 들어가 지킴이 신색(神色)이 변하지 아니하니, 나중에 시드는 절개를 날이 추어진 뒤에야 바로 알겠도다. 절개를 지킴이 이와 같으니 귀하고 영달함이 옳겠도다. 과연 다섯 임금님의 재상이 되어, 덕망이 태형(台衡)에 높았다. 급히 서둘러 벼슬에서 용감하게 물러나니 이름이 온전하고 덕이 높았다. 하늘이 어찌 조상하지 아니하리요. 나라의 들보가 부러졌는데, 임금님이 마음으로 슬퍼하여 임종에 물건과 시호를 보내어 예를 갖추게 하였다. 누가 그 아름다움을 찬양하리요. 소신(小臣)이 뇌문(誄文)을 지었나이다.” 하였다.

[주-D001] 헌잘에 …… 용서하고 : 

한 나라 선제(宣帝) 때에, 병길(丙吉)이라는 정치가가 정승으로 있을 때에, 그의 마차를 속관이 타고 가다가 술이 취하여 모두 토(吐)해서, 그 있는 자리를 더렵혔다. 그것으로 하여 그 속관을 면직시키려 하니, 병길이, “그것은 겨우 정승의 방석 하나 더럽힌 일인데, 면직시킬 이유가 되지 못한다.” 하여 허락하지 않았다.

[주-D002] 국을 …… 자 : 

후한(後漢) 장제(章帝) 때에 유관(劉寬)이란 사람이 성질이 매우 너그러워서, 좀처럼 화를 내지 아니하였다. 그래서 그 부인이 그가 얼마나 너그러운가를 시험하는라고, 그가 조회에 들어가려고 관복(官服)을 입은 위에다가 종을 시켜서 잘못한 체하고 국을 엎질렀으나, 단지 “네 손은 데지 않았느냐.” 하고, 아무말도 더하지 않았다.

[주-D003] 나중에 …… 알겠도다 : 

《논어》에 “歲寒然後 知松柏之後凋也”라는 말이 있는데, 일기가 더운 여름에는 어느 나무나 다 푸르지만, 가을이 되어 날이 차면 모두 낙엽이 지고 오직 소나무ㆍ잣나무만이 푸른 것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는 말이다. 그것을 인간사회에 비유하면, 보통 때에는 모두 애국지사이지만 나라가 망하게 되면 참으로 애국 애족하는 사람은 따로 있다는 말이다.

[주-D004] 태형(台衡) : 

하늘의 삼태성(三台星)은 인간의 정승을 맡은 별이라 하여, 또 정승은 이 세상을 저울질하는 권한이 있으므로, 태형은 정승을 말하는 것이 된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