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약사암 중건기〔藥師庵重建記〕 - 운양속집

약사암 중건기〔藥師庵重建記〕 - 운양속집 제3권 / 기(記) : 김윤식(金允植, 1835~1922)


옛날에 서석산(瑞石山)에 작은 암자가 하나 있었는데, 이름이 약사암(藥師庵)이다. 언제 창건되었는지 알 수 없으나, 지금은 부서진 집 몇 칸만이 남았고 찾아오는 이도 없다. 학산 선사(鶴傘禪師)는 젊어서 사방 유람하기를 좋아하여 명산 고찰(古刹)에 발자취가 두루 미쳤다. 이윽고 중생 제도에 지쳐서 조용히 쉴 만한 궁벽한 장소를 얻어 편히 앉아서 도를 닦으려고 생각했다.
이러하던 차에, 약사암 옛터를 보고는 흔연히 마음에 들어 “여기라면 노년을 마칠 만하다.”라고 말하고는 마침내 그곳에 머물렀다. 군(郡)의 신사(紳士)와 원근의 시주들 중 선사의 풍모를 사모하는 자들이 다투어 재물을 바쳐 약사암 건축 비용을 도왔다. 이에 기와 조각과 자갈을 쓸어 제거하고 다시 기초를 다지니, 새 날개처럼 날아갈 듯한 용마루며 길게 울려 퍼지는 종소리 풍경소리며, 의젓한 한 구역의 사찰이 되었다. 마침내 암자의 공사가 끝나자 선사께서 내게 청하여 글을 써 기록하게 하고 이를 산중의 고실(故實)로 전하려고 했다.
내가 말하기를 “지난날 경신년(1860, 철종11) 가을에 서석산을 유람한 적이 있는데, 그 꼭대기에 올라가서 이백(李白)의 시 〈낙안봉(落鴈峯)〉을 큰 소리로 읊고는 산중의 장관이 여기에 다 있다고 여겼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약사암이 어디 있는지 몰랐는데, 지금 60년 후에야 비로소 그 이름을 들었고 또 우리 선사께서 차지하셨습니다. 사물이 드러나고 감춰지는 것과 땅이 참 주인을 만나고 만나지 못하는 것은 각각 그 때가 있습니다. 이로부터 암자의 이름이 이 나라에 알려질 것이니, 이 어찌 땅이 사람으로 인해 드러나는 것 아니겠습니까?”라고 하였다.


암자에서 바라본 경치에 대해서는 내가 상세하게 말할 길 없지만, 삼황봉(三皇峯)의 소탈하고 깨끗하고 맑고 탁 트인 모습과 입석대(立石臺)와 광석대(廣石臺)의 빼어나고 우뚝한 모습은 지금도 눈앞에 삼삼한 게 잊혀지지 않는다. 암자가 그 사이에 있다니, 분명 온갖 아름다움을 다 끌어 모아 온 산의 승경을 독차지하고 있을 것이다. 내가 지금 기를 지으니, 초당(草堂)의 신령들이여, 부디 낯선 사람이라고 내치지 말기를!


[주-D001] 서석산(瑞石山) : 
광주(光州) 무등산(無等山)의 옛 이름이다.
[주-D002] 약사암(藥師庵) : 
광주광역시 동구 운림동 무등산에 있는 절로, 통일신라 시대의 석조여래좌상이 보물 제600호로 지정되어 있다.
[주-D003] 학산 선사(鶴傘禪師) : 
함명 태선(涵溟 太先, 1824~1902)이 지은 〈무진주 무등산원효암중수상량문(武珍州無等山元曉庵重修上樑文)〉에 의하면 1894년 학산 대사(鶴傘大師)가 관청에 호소하여 100금의 재력을 시주받고 고을의 유지들의 도움으로 원효사(元曉寺)를 중건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주-D004] 중생 제도에 지쳐서 : 
원문의 ‘진량(津梁)’은 중생을 제도(濟渡)함을 비유한다. 《세설신어(世說新語)》 〈언어(言語)〉에 “유공(庾公)이 일찍이 불도(佛圖)를 들여왔는데 와불(臥佛)을 보고 말하기를 ‘이 부처는 진량에 피곤했구나’라고 했다”고 했다.
[주-D005] 머물렀다 : 
원문의 ‘탁석(卓錫)’은 석장(錫杖)을 꽂는 것으로, 승려가 머무는 것을 말한다.
[주-D006] 낙안봉(落鴈峯) : 
섬서성 화산(華山)의 남봉(南峰)이다. 《화산지(華山志)》에 “이백(李白)이 낙안봉에 올라 말하기를 ‘이 봉우리가 가장 높은데 호흡하는 기가 상제(上帝)의 좌석에 닿을 것 같다. 사조(謝朓)의 경인시(驚人詩)를 가져오지 못한 것이 한스러운데, 머리 긁적이며 푸른 하늘에 물어볼 뿐이다’라고 했다”고 했다.
[주-D007] 삼황봉(三皇峯) : 
무등산의 천황봉(天皇峰), 지황봉(地皇峰), 인황봉(人皇峰)이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