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약천 남운로에게 보내는 편지〔與藥泉南雲路書〕 - 서하집

약천 남운로에게 보내는 편지〔與藥泉南雲路書〕 - 서하집 제17권 / 서독(書牘) : 이민서(李敏敍, 1633~1688)


천 리 거리에 떨어져 편지로 왕복하자니 매번 한 달 이상 걸리는 데다 제가 동주(東州)에 있어 또 자주 편지를 받지 못하니 그저 간절히 그리움만 내달릴 뿐입니다. 지난번 우편을 통해 영형(令兄)이 북관(北關)에 있으면서 보낸 편지를 받았습니다. 영형이 장거리를 순선(巡宣 관찰사의 순시)한 뒤 기거가 편안하다는 것을 알고서 편지를 읽으며 지극히 안타깝고도 위로되었습니다.


저는 지난번 딸을 묻은 뒤 동쪽으로 돌아왔는데, 지금 또 지평현(砥平縣) 동쪽에 죽은 형의 장례를 지내니, 빈산에서 통곡을 해도 더욱 어쩔 수 없습니다. 더구나 노친(老親)의 기력이 날로 점점 쇠약하시어 지금 모시고 서울 집으로 돌아가려고 얼음이 녹기를 고대하고 있으나 여러 가지 고통스러운 마음이 하루가 다르게 더욱 심해지니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영윤(令胤 상대방의 아들)이 오래 서울에 머물고 있었는데도 같이 거처하지 못하였고, 한식(寒食)이 지난 뒤 함경도로 간다고 들었으나 아마 서로 만나지는 못할 듯합니다. 휘령(輝令)은 근래 편지를 받았는데 자못 옛 모습을 회복한 듯하니 진실로 위로가 되고 다행입니다. 듣자니 영형께서 제가 술 마시는 것을 염려하신다고 하는데, 이는 비록 서로 지극히 사랑하는 뜻에서 나왔더라도, 지금은 저에게 그럴 우려는 없습니다.


다만 저의 병증은 단지 인삼(人蔘)을 많이 섭취하면 저절로 근심이 없어질 수 있는데, 전후로 보내 주신 인삼 때문에 지금까지 생명을 연장하고 있습니다. 또다시 살고 싶은 마음이 끝이 없어 더 많이 보내 주시기를 바라니, 그 만족을 모르는 것이 가소롭습니다. 편지를 우편에 부칩니다만, 잘 들어갈지 알 수 없습니다. 많은 이야기를 다 적지 못합니다.


[주-D001] 약천 남운로 : 
약천은 남구만(南九萬, 1629~1711)의 호로, 운로는 자이다. 본관은 의령(宜寧), 호는 약천ㆍ미재(美齋),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아들 남학명(南鶴鳴)이 이민서의 사위로, 남구만과 이민서는 사돈 간이다. 송준길(宋浚吉)에게 수학하였다. 1656(효종7)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영의정에 이르렀다. 저술로 《약천집》이 있다.
[주-D002] 영형(令兄)이 …… 받았습니다 : 
남구만은 1671년(현종12) 10월부터 만 3년 넘도록 함경 감사를 지냈다. 현종이 죽은 뒤 애책(哀冊)의 지을 관원으로 선발되어 상경하였다. 《국역 현종개수실록 12년 10월 24일》
[주-D003] 딸을 묻은 뒤 : 
남구만의 아들 남학명과 혼인했던 딸을 말한다. 완산 이씨(1652~ 1673)는 1673년에 21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떴고, 용인현(龍仁縣) 남씨(南氏) 선산에 묻혔다. 《西河集 卷14 亡女墓誌銘》 남학명은 이민서의 딸인 전주 이씨와 사별한 뒤, 공주 목사(公州牧使)를 지낸 이시현(李時顯)의 셋째 딸을 맞아들였다. 《국역 명재유고 제36권 숙인(淑人) 신씨(申氏) 묘지명》
[주-D004] 죽은 형의 장례 : 
형은 이민적(李敏迪, 1625~1673)을 말한다. 자는 혜중(惠仲), 호는 죽서(竹西)이다. 문집에 《죽서집(竹西集)》이 있다.
[주-D005] 노친(老親) : 
아버지 이경여(李敬輿, 1585~1657)는 1657년(효종8) 가을에 세상을 떴으므로, 여기서의 노친은 어머니 임씨(任氏)를 가리킨다.
[주-D006] 휘령(輝令) : 
남구만의 작은아버지 남이성(南二星, 1625~1683)을 가리킨다. 자는 중휘(仲輝), 호는 의졸(宜拙)이다. 1674년(현종15) 예조 참의를 거쳐 대사간이 되었다. 1675년(숙종1) 인조의 계비이던 자의대비(慈懿大妃)의 복상 문제(服喪問題)로 갑인예송(甲寅禮訟) 일어나 김수항(金壽恒)이 중도부처(中途付處)되자 남인 권대운(權大運)을 규탄하고 김수항을 변호하는 상소문을 올렸다가 진도에 유배되었다. 그 후 배천(白川)으로 이배되었다가, 1678년 풀려나 1680년 좌부승지에 이어 대사성, 홍문관 부제학을 지냈다.
[주-D007] 듣자니 …… 없습니다 : 
이민서에게 지병이 있었다. 홍문관에 있을 때에 여러 날 동안 술을 마시고 숙직을 하다가 갑자기 미치광이 병이 발작하여 당시 사람들로부터 해괴하다는 말을 듣기도 했고 이 때문에 조정에 있기가 불안하여 고양 군수(高陽郡守)를 맡기도 했다. 또한 광주 목사(光州牧使)로 재직 중일 때 또 이 증세가 발동하여 스스로 배를 찔렀던 일이 있었다. 《국역 현종개수실록 11년 10월 23일》 《국역 숙종실록 4년 9월 13일》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