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참봉 박광오공 묘표〔參奉朴公墓表〕 -손재집

참봉 박공 묘표〔參奉朴公墓表〕 -손재집 제8권 / 묘표(墓表) : 박광일(朴光一, 1655~1723)


공은 휘가 광오(光五)이며, 자는 사정(士正)이고, 성은 박씨(朴氏)로, 평양(平陽) 사람이다. 우리나라 문숙공(文肅公 박석명(朴錫命))의 후손이다. 증조는 휘 운정(雲挺)이다. 조부는 휘 창문(昌文)이다. 아버지는 휘 상고(尙古)이다. 어머니는 광산 이씨(光山李氏)로, 성균관 진사 이지원(李之遠)의 딸이다.


공은 숭정(崇禎) 후 신묘년(1651, 효종2) 3월 1일에 태어났다. 운명이 기구하여 일찍이 아버지를 여의었고, 공의 재종형인 안촌(安村 박광후(朴光後)) 문하에서 학문을 배웠는데, 문예(文藝)가 일찍 완성되어 문장으로 사람들의 입에 회자되었다. 무오년(1678, 숙종4) 안촌의 초상에 상복으로 기년복을 입었다.


을묘년(1675)부터 기미년(1679)까지 5년 동안, 시배(時輩)들에게 무함을 당하여 과거를 폐하였다. 신유년(1681) 진사 시험에 입격하였다. 병인년(1686) 효릉(孝陵) 참봉에 임명되었다. 이해에 어머니가 돌아가셨는데, 병환이 위독해지자 손가락 피를 올렸다. 복을 마쳤을 무렵, 시사(時事)가 또 크게 변하여 관직에 나갈 마음이 다시는 나지 않았다. 임신년(1692, 숙종18) 1월 1일 병으로 세상을 떴는데, 향년 42세였다. 광주(光州) 북쪽 석제리(石堤里)에 장례 지냈다가, 뒤에 광주 거점리(巨岾里) 오좌자향(午坐子向 북향) 언덕에 다시 무덤을 썼다.


공은 천품이 자애롭고 어질었으므로 종친을 사랑하여 은혜와 의리가 있었고, 후배가 장족의 발전을 하는 것을 보면 성심으로 기뻐하며 개발하였다. 위난을 당했을 때 의리로 보아 해야 할 일은 회피하지 않았다. 을묘년(1675)에 사화가 일어났던 날에도 크게 참소의 예봉을 건드려 안촌(安村) 같은 분들과 꼼짝없이 엄히 옥에 갇혀 결국 형틀에서 매일 화를 당하면서도 의지와 기개가 쇠하지 않았다. 우암(尤菴) 선생이 봉해(蓬海)에 위리안치되었을 때, 시배들이 종묘에 고하자는 청이 더욱 급박해지자 호남의 유생들이 상소를 올려 신원하였는데 공은 기꺼이 그 소에 참여하니, 고(故) 판서 서하(西河) 이공(李公)이 무척 중히 아꼈다.


아내는 함양 박씨(咸陽朴氏)로, 박성(朴惺)의 딸이다. 아들 넷을 낳았으니, 중현(重鉉)ㆍ중대(重大)ㆍ중집(重集)ㆍ중서(重瑞)이다. 중집은 안촌에게 후사로 갔다. 딸은 두 명으로, 장녀는 생원 윤도함(尹道涵)에게 시집갔고, 차녀는 임진효(任鎭孝)에게 시집갔다. 손녀, 손자는 모두 어리다.


임진년(1712, 숙종38) 봄, 내가 방장산(方丈山) 아래 있을 때, 중대가 수백 리 길을 멀다 않고 찾아와, 나에게 명(銘)을 써 달라고 매우 간곡히 말하였다. 예전에 서로 돈독히 사랑했던 것을 생각하면 차마 사양하지 못할 점이 있었고, 더구나 중대가 묘소를 다시 정하고 묘도(墓道)에 표시하고자 하는 정성이 매우 가상하니 또 어찌 사양할 수 있겠는가. 마침내 다음과 같이 명을 썼다.



갈라지는 길 어찌 겁내리오 / 岐路奚㥘
바른길이면 가고 굽은 길이면 버렸으니 / 趨正舍曲
도중에 횡액을 만났으나 / 中罹屯厄
의지와 기개 더욱 확고했네 / 志氣愈確
이제 비석에 새기어 / 載鑱于石
숨은 덕을 천명하노라 / 用闡潛德


[주-D001] 운명이 …… 여의었고 : 
박광오 행장에 의하면 10세에 고아가 되었다. 《性潭集 卷30 參奉朴公行狀, 韓國文集叢刊 244輯》
[주-D002] 을묘년부터 …… 폐하였다 : 
갑인예송으로 송시열이 귀양을 간 뒤, 송시열을 역적죄로 종묘에 고해야 한다는 고묘론(告廟論)이 제기되었고, 이를 반대하던 박광호는 관찰사 권대재(權大載), 목사 박흥문(朴興文)에게 거슬러 옥을 살았다. 《性潭集 卷30 參奉朴公行狀, 韓國文集叢刊 244輯》
[주-D003] 시사(時事)가 …… 않았다 : 
1689년(숙종15) 장희빈 소생 아들(훗날 경종)의 원자 책봉을 계기로 정국이 바뀐 기사환국(己巳換局)을 말한다. 이로 인해 송시열(宋時烈), 김수항(金壽恒) 등이 귀양 갔다가 사사되었고, 많은 노론과 소론의 인물들이 귀양 갔다.
[주-D004] 시배들이 …… 신원하였는데 : 
갑인예송으로 오례(誤禮)의 죄를 입어 송시열이 귀양 간 뒤, 조사기(趙嗣基)와 허목(許穆) 등은 송시열을 종묘에 반역으로 고하고 극형에 처해야 한다는 고묘론(告廟論)을 폈다. 호남 유생의 상소란 생원(生員) 윤헌(尹攇) 등 5백 42인의 상소를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국역 숙종실록 1년 윤5월 12일, 3년 6월 7일ㆍ19일》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