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선고 우헌 부군(박상현) 광지〔先考寓軒府君壙誌〕 -손재집

선고 우헌 부군 광지〔先考寓軒府君壙誌〕 -손재집 제8권 / 묘지(墓誌) : 박광일(朴光一, 1655~1723)


선부군의 휘는 상현(尙玄)이고, 자는 경초(景初)이며, 성은 박씨(朴氏)이고, 본관은 평양(平陽)이다. 본래 고려 시대 순천부원군(順天府院君) 휘 난봉(蘭鳳)의 후손이며, 우리 왕조 평양부원군(平陽府院君) 시호 문숙공(文肅公) 석명(錫命)의 9대손이다.


7대조는 참판 휘 숙선(叔善)인데, 집안 조카인 평성부원군(平城府院君) 영의정 원종(元宗)의 위세가 지나치게 성대한 것을 보고는 걱정스럽고 불안하여 한양에서 나주(羅州)로 이사 와서 거주하였다. 이분의 셋째 아들 휘 이공(而恭)이 또 광주(光州)로 옮겨 와 그대로 세거하였다.


6대조의 형제는 5명인데, 장형 이온(而溫)은 승평군(昇平君)이고, 동생 이검(而儉)은 순성군(順城君)이다. 6대조는 세상을 잊고 시골집에서 살면서 뜻을 고상하게 가졌다. 선군의 5대조 휘 의손(義孫)이 아직 과거에 급제하지 않았을 때 평성(平城 박원종(朴元宗))이 적사(嫡嗣)가 없어 계자(繼子)로 삼기를 요구하였는데, 6대조가 답장하기를, “우리 집안 자제는 벼슬하는 집안에 어울리지 않는다.”라고 하고 끝내 허락하지 않았다. 과거에 급제한 뒤에도 관직은 현감 하나에 그쳤다.


고조는 휘 원수(元壽)이며, 성균관 진사이다. 고조모는 완산 이씨(完山李氏)로, 찰방 이세형(李世亨)의 딸이다. 증조는 휘 언심(彦琛)으로, 타고난 자질이 순수하고 아름다웠으며, 고제봉(高霽峯 고경명(高敬命))의 문하에서 배웠는데 불행하게도 일찍 세상을 떴다. 증조모는 광산 이씨(光山李氏)로, 경력 이명우(李明佑)의 딸이다. 조부는 휘 진정(震挺)이다. 조모는 청송 심씨(靑松沈氏)로, 심주(沈洲)의 딸이다. 생조(生祖)는 휘 세정(世挺)으로, 정유왜란 이후 세상에 뜻이 없어 진곡(眞谷)에 띳집을 짓고 호를 오산(鰲山)이라고 했다. 생조모는 완산 이씨(完山李氏)로, 별제(別提) 이광종(李光鍾)의 딸이다. 아버지는 휘가 수림(遂林)으로, 백부에게 후사로 들어갔는데 30세 전에 일찍 세상을 떴다. 어머니는 봉산 이씨(鳳山李氏)로, 이사숙(李思淑)의 딸이다. 계비(繼妣)는 홍주 송씨(洪州宋氏)로, 호가 해광(海狂)인 송제민(宋濟民)의 손녀이다.


부군은 숭정(崇禎) 2년 기사년(1629, 인조7) 5월 계사일에 태어났다. 인품이 매우 고상하고 지행(志行)이 맑고 깨끗하였으며, 경전(經傳)에 침잠하여 즐거움에 근심을 잊었다. 정미년(1667, 현종8)부터 조정에서 중국 사람 90명을 다그쳐 노정(虜庭 청나라 조정)으로 보내자, 진곡(眞谷)에 두문불출하면서 세상을 잊고 우헌(寓軒)이라고 자호하면서, 한결같이 잠심하여 이치를 탐구하는 것을 종신의 사업으로 삼았다.


경서(經書)의 뜻 중에서 재량해야 할 것은 모두 우암(尤菴) 선생에게 가서 바로잡았으니, 편지로 왕복하며 논변한 것이 거의 30년이었다. 선생은 부군이 늙어서도 배우기 좋아한다는 것을 깊이 알고 만년의 지기(知己)로 인정하였다. 승지 어은공(漁隱公)이 일찍이 그 고상함에 심복하여 “평생의 족적이 우헌 문밖으로 한 발자욱도 나가지 않았다.”라고 하였다. 을축년(1685, 숙종11) 겨울에 교리 김만길(金萬吉)이 남주(南州)로 명을 받고 와서 부군의 품행과 도의를 들어 조정에 계달하였다. 공은 계유년(1693) 1월 병진일에 집에서 세상을 떴으니, 향년 65세였다. 남긴 유고 약간 권이 집에 보관되어 있다.


같은 군(郡)의 고씨(高氏)를 아내로 맞았는데, 통훈대부, 행 익산 군수, 증 통정대부 예조 참의의 아들인 처사 고부민(高傅敏)의 딸이다. 부인다운 덕이 있었고 규문(閨門)이 엄숙하고 화목하여 남들이 흠잡을 말이 없었으며, 집안에서 모두 여자 중의 군자라고 칭찬하였다. 아들 셋을 두었으니, 광일(光一), 광원(光元), 광선(光善)이다. 딸 넷을 두었으니, 장녀는 기진성(奇震省)에게 시집갔고, 차녀는 이석필(李碩弼)에게 시집갔으며, 다음은 홍운(洪橒)에게 시집갔고, 다음은 기정륜(奇挺倫)에게 시집갔는데, 기씨는 모두 덕양(德陽)이 본적이다. 손자 다섯 명과 손녀 4명이 있는데 모두 어리다.


석 달 지난 경신일에 광주(光州) 거점리(巨岾里) 태산(台山) 묘향(卯向) 자리에 장례 지냈는데, 고비(考妣)의 무덤과 백여 보 떨어져 있다. 불초자 광일이 통곡하며 기진맥진한 채 감히 이렇게 광지(壙誌)를 쓴다. 슬픈 마음 하늘처럼 한량이 없나니, 아, 애통하도다!


[주-D001] 정미년부터 …… 보내자 : 
1667년(현종8) 중국 배 한 척이 제주로 표류해 왔다. 배는 부서지고 물건은 모두 물에 잠겨 있었는데, 모두 95명의 중국 사람이 타고 있었다. 이들은 일본으로 가거나 자신들이 직접 배를 몰아 중국으로 가고자 하였으나 조정에서 청나라로 압송하였다. 《국역 현종실록 8년 6월 21일, 10월 3일》
[주-D002] 교리 …… 와서 : 
김만길(1645~?)은 본관이 광산(光山)이며, 자는 자적(子迪)이다. 김장생(金長生)의 증손이다. 1685년(숙종11) 김만길은 전라도(全羅道)로, 민진주(閔鎭周)는 평안도(平安道)로, 이징명(李徵明)은 함경도(咸鏡道)로 암행 어사의 임무를 띠어 파견되었다. 당시 김만길은 부수찬이었다. 《국역 숙종실록 11년 9월 1일》
[주-D003] 같은 …… 딸이다 : 
고부민의 아버지는 고성후(高成厚, 1549~1602)이다. 고성후는 1583년(선조16)에 문과에 급제하여, 1593년에 익산 군수가 되었다. 당시 전라도 관찰사였던 권율(權慄)을 따라 왜적을 물리쳤다. 후에 예조 참의 지제교에 증직되었다. 《明皐全集 卷16 安城郡守竹村高公墓表》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