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소은 박중회공에 대한 제문〔祭素隱朴公 重繪 文〕 -손재집

소은 박공 중회 에 대한 제문〔祭素隱朴公 重繪 文〕 -손재집 제8권 / 제문(祭文) : 박광일(朴光一, 1655~1723)

숭정(崇禎) 세차(歲次) 임신년(1692, 숙종18) 10월 병자삭(丙子朔) 21일족숙(族叔) 광일(光一)이 술과 과일을 올리고 소은(素隱) 박수여(朴受汝)의 영연(靈筵)에 고합니다.

아, 수여가 이 지경에 이른 것인가. 그대의 순수하고 아름다우며 명랑한 자질은 천부적으로 타고난 것이었고, 선(善)을 좋아하고 현자(賢者)를 좋아하는 마음은 지극정성이었지. 젊은 나이부터 바른길 가기 시작해, 힘껏 이치를 궁구하여 밝게 분변하고 독실히 실천하였네. 사물에 접할 때에는 중정(中正)으로 대처하였고 몸가짐은 예법을 따르니, 안으로 효도와 우애가 가정에 나타났고 밖으로 어질고 의로움이 친구들 사이에서 신뢰를 받았지. 이에 사문(斯文)이 의탁하고 오도(吾道)가 전해지게 되었는데, 불행히도 단명하여 지금 세상을 등지고 말았으니, 어찌 내가 하늘을 부르짖으며 통곡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아, 산이 무너진 뒤로 안앙(安仰)의 비통함이 더욱 심해진 데다 날은 저물고 갈 길은 먼데 묵을 곳이 전혀 없는 상황에서 그대마저 나를 버리고 떠나가니, 어찌 내가 하늘을 부르짖으며 통곡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아, 안중화(安仲和)박후로(朴後老)가 연이어 별세하였는데 이 두 친구가 별세한 달에 그대가 죽었구려. 용사(龍蛇)의 해도 아니건만 어찌하여 좋은 사람들의 불행이 이 지경에 이르렀단 말인가. 어리석은 내게 문제가 생기면 앞으로 누가 경계시켜 주며 과실이 있으면 앞으로 누가 살펴 주어, 나로 하여금 낭패를 당하지 않게 하겠는가. 세상에 외로이 남겨진 것이 마치 소경이 상(相 소경을 돕는 사람)을 잃은 격이니, 어찌 내가 하늘을 부르짖으며 통곡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아, 돌아가신 선생님이 지은 ‘솔개 날고 물고기 뛴다’는 시구는 그대의 학문이 이것을 말해 줄 만한 수준이었던 것이요, 파산(坡山) 사람과의 ‘공(公)’ 자에 대한 논변은 그대의 논의가 세도(世道)에 유익한 것이었네. 세속의 견문 밖으로 초연히 빠져나왔고, 많은 사람들이 시끄럽게 떠들어 대던 날에 확고부동하였으니, 옛날의 이른바 ‘밤하늘에 장경성(長庚星)이 홀로 빛나고, 봄에 불어난 흙탕물로 인해 지주(砥柱)가 기울지 않는다’는 것이 그대를 두고 한 말이 아니겠는가. 남쪽 고을에 오늘날 다시 그대 같은 사람이 있겠는가.


아, 수여가 갑자기 이 지경에 이른 것인가. 오도(吾道)의 쇠퇴함이 마침내 이 지경에 이른 것인가. 어찌 내가 하늘을 부르짖으며 통곡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영신(靈辰)은 머물지 않아 내일 장례를 치르게 되었으니, 술잔을 들고 길게 통곡하며 영원히 이별을 고한다네. 밝은 영령(英靈)은 나의 슬픔을 알아줄 것이오. 아, 슬프다. 흠향하시게.


[주-D001] 소은 박공(素隱朴公) : 
소은은 박중회(朴重繪, 1664~1691)의 호이다.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수여(受汝)이다.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689년(숙종15) 송시열이 제주(濟州)로 귀양 갈 때에 안여해(安汝諧) 등과 함께 배송(陪送)하였다. 한편 농암(農巖) 김창협(金昌協)도 임영(林泳)에게 보낸 글에서 “광주의 박중회가 힘써 배워 얻음이 있었고 문예가 함께 나아가 남쪽에서 온 사람들이 모두들 칭찬하였는데 불행히 일찍 죽었다.”라고 하였다. 저서로 《소은집(素隱集)》이 전한다.
[주-D002] 숭정(崇禎) …… 21일 : 
박중회를 장사 지내기 전날이다. 박중회는 1691년 겨울에 마마[痘疹]에 걸려 같은 해 12월 18일에 별세하였고, 이듬해 10월 22일에 광주(光州) 정광산(淨光山)에 장례를 치렀다. 《素隱集 卷2 續編附錄 行狀》
[주-D003] 족숙(族叔) 광일(光一) : 
박중회의 아버지인 박광후(朴光後)는 박광일의 재종형이다. 《遜齋集 卷8 先考寓軒府君壙誌》 《性潭集 卷30 素隱朴公墓表》
[주-D004] 산이 …… 비통함 : 
위인의 죽음을 슬퍼하는 심정을 표현한 말로, 여기서는 스승인 송시열의 죽음에 대한 슬픔을 이른 것이다. 공자가 세상을 떠나기 1주일 전에 “태산이 무너지는구나. 들보가 쓰러지는구나. 철인이 시드는구나.[泰山其頹乎! 梁木其壞乎! 哲人其萎乎!]”라고 노래하였는데, 자공(子貢)이 이 노래를 듣고는 “태산이 무너지면 내가 장차 어디를 우러러보며, 들보가 쓰러지고 철인이 시들면 내가 장차 어디에 의지하겠는가.[泰山其頹, 則吾將安仰? 梁木其壞, 哲人其萎, 則吾將安放?]”라고 말한 고사가 전한다. 《禮記 檀弓上》
[주-D005] 안중화(安仲和) : 
안여해(安汝諧, 1657~1691)로, 본관은 죽산(竹山), 자는 중화, 호는 이병재(理病齋)이다. 어려서부터 경학과 성리학에 힘써 조예가 깊었다. 26세에 성균관에 들어갔으며, 1689년(숙종15)에 기사환국(己巳換局)이 일어나 스승인 송시열이 제주(濟州)로 귀양하게 되자, 찾아가 만덕사(萬德寺)에 머물면서 강학을 하고 돌아오기도 하였다. 《遜齋集 卷8 理病齋安公墓誌銘》
[주-D006] 박후로(朴後老) : 
박송령(朴松齡)의 자로, 생몰연대는 미상이다. 다만 안여해가 1691년 12월 15일에 별세하였고 박중회는 3일 뒤인 18일에 별세했으므로, 이 사이에 별세한 것으로 보인다. 박중회의 행장을 보면, 박중회와 박송령은 도의지교(道義之交)를 맺은 사이였다. 박중회가 죽으면 사용하려고 준비해 두었던 심의(深衣)가 있었는데 박송령이 먼저 죽자, 친구를 위해서 자신의 심의를 사용했다는 기록이 보인다. 《素隱集 卷2 續編附錄 行狀》
[주-D007] 용사(龍蛇)의 해 : 
현인군자가 죽는다는 진년(辰年)이나 사년(巳年)을 말한다. 후한의 대유(大儒) 정현(鄭玄)이 죽을 때의 고사를 원용한 것인데, 정현의 꿈에 공자(孔子)가 나타나 이르기를 “빨리 일어나라. 금년은 용의 해이고 내년은 뱀의 해이니라.” 하였는데, 잠을 깨어 그 말을 비결로 맞춰 보고 자신이 죽을 것을 알았으며 그해 6월에 죽었다고 한다. 《後漢書 卷35 鄭玄列傳》
[주-D008] 돌아가신 …… 것이요 : 
송시열이 지은 〈요부(堯夫) 선생의 뜻으로 박수여(朴受汝)의 운에 차하다〉라는 시를 가리킨다. 그 내용은 “분분한 말로에 도가 참되지 못했는데, 오직 주자께서 성신을 이으셨네. 물고기 뛰고 솔개 날음 발명한 후엔, 천 년 동안 사람 없다 말하지 마오.[紛紛末路道非眞, 惟有閩翁繼聖神. 魚躍鳶飛揮發後, 莫言千載更無人.]”라고 하였다. 《국역 송자대전 권2 요부(堯夫) 선생의 뜻으로 박수여의 운에 차하다》
[주-D009] 파산(坡山) …… 것이었네 : 
송시열과 그의 제자인 윤증(尹拯)이 반목하는 이른바 ‘회니시비(懷尼是非)’가 일어나자 박세채(朴世采)는 어느 편을 들지 않고 중립적인 노선을 견지하였다. 이런 즈음, 파산에서 박중회를 찾아온 사람이 있었는데 박세채의 처신이 공정[公]한 행위라고 추키자 박중회는 〈공자설(公字說)〉을 지어 옳은 쪽으로 편들지 않는 행위를 비판하였던 것이다. 《素隱集 卷2 續編附錄 行狀》 《性潭集 卷25 素隱朴公墓表》
[주-D010] 밤하늘에 …… 않는다 : 
이와 비슷한 말이 《오백가파방대전문수(五百家播芳大全文粹)》 권8 〈하왕추사계(賀王樞使啓)〉에 보인다.
[주-D011] 영신(靈辰)은 머물지 않아 : 
‘영신’은 영구가 머무를 수 있는 시간이다. 원문의 ‘영신불류(靈辰不留)’는 발인하기 하루 전날 저녁에 지내는 조전(祖奠) 때 읽는 고사(告辭) 중에 있는 구이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