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몰래 장사지내자 사굴(私掘)하여 옮긴 죄 - 각사등록(各司謄錄)

경상감영계록(慶尙監營啓錄) ○철종(哲宗) / 철종(哲宗) 14년(1863) 11월 15일 - 각사등록(各司謄錄)


상고(相考)한 일을 아룁니다. 도내 각 읍의 지난 10월 달 정배 죄인(定配罪人)들의 도배(到配)한 연월일 및 보수(保授)하는 사람의 역(役)과 성명을 모두 아래에 개좌(開坐)합니다. 이러한 일이니만큼 삼가 갖추어 계문합니다.

계해년 11월 15일

<중략>
곤양(昆陽)

전라도 광주(光州)에서 온 유3천리 죄인 박기환(朴奇煥)은 전라 감사의 이문에, “담양부(潭陽府)에서 수추한 죄인 박기환임. ‘저는 선산(先山)과 지극히 가까운 땅에 홍시남(洪時南)이 그의 아비를 몰래 장사지냈기에, 선조를 위하는 마음에 분완(憤惋)을 견디지 못하고 법을 어기고 사굴(私掘)하여 다른 곳에 옮겨 두는 지경에 이르렀으니, 스스로 저지른 죄를 돌아보건대 어찌 해당 형률을 피할 수 있겠습니까?

변명 없이 지만(遲晩)합니다.’라고 한 죄를 검률로 하여금 조율하게 하였더니, 검률 최석운(崔錫運)의 수본에, ‘《대명률》 발총(發塚)조에 이르기를, 「분총을 발굴하여 관곽을 드러낸 경우에는 장1백, 유3천리에 처한다.〔發掘墳塚 見棺槨者 杖一百流三千里〕」고 하였으니, 박기환은 장1백, 유3천리 사죄입니다.’라고 한 것에 의거하여 위 죄인 박기환을 위 율문에 따라 장1백을 친 뒤 유3천리로 귀도 곤양군에 정배하는 일.”이라고 한 것에 의거하여, 계해년 10월 초10일 도배함. 보수하는 사람은 양인 김석홍(金錫弘).


경상감영계록(慶尙監營啓錄) ○고종(高宗) / 고종(高宗) 원년(1864)  정월 14일


상고(相考)한 일을 아룁니다. 도내(道內) 각 읍에 작년 11월과 12월의 정배 죄인(定配罪人)들이 도배(到配 죄인이 유배지에 도착함)한 연월일(年月日) 및 보수(保授 유배 죄인의 숙식을 책임짐)하는 사람의 직역(職域)과 성명을 아울러 아래에 죽 기록하는 일이니만큼 삼가 갖추어 계문합니다.

갑자년 정월 14일

<중략>

사천(泗川)

전라도(全羅道) 광주(光州)에서 온 유3천리 죄인 김성숙(金成叔)은, 전라 감사의 이문에, “광주목(光州牧)의 수추 죄인 김성숙의, ‘저의 선산(先山)의 압맥(壓脈)인 곳에 이민형(李敏炯)이 그 어미를 억지로 장례를 치렀으므로 선조(先祖)를 위하는 마음에 분노를 견딜 수 없어서 법을 어기고 사사로이 파서 관(棺)을 드러나게 하는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스스로 저지른 짓을 돌아보니 어찌 당률을 면하겠습니까?

변명 없이 지만합니다.’라고 한 죄를 검률(檢律)에게 조율하게 하니, 검률 최석운(崔錫運)의 수본에, ‘《대명률》의 발총(發塚)조에, 「무덤을 파서 관곽(棺槨)을 드러나게 한 경우에는 장1백에 유3천리이다.」라고 했으며, 사죄(私罪)입니다.’라고 하였다. 위의 죄인 김성숙은 위에서 말한 율문(律文)을 적용하여 장1백에 귀도 사천현에 유3천리로 정배한다.”라고 한 데 근거하여 계해년 11월 초6일 도배(到配)함. 보수하는 사람은 양인 김택인(金宅仁).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