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박눌재와 고양이

눌재 박상 하면 고양이 설화가 유명하죠. 이 고양이가 아니었더라면 눌재는 비참한 최후를 맞았을지도 모릅니다. 다행히도 고양이를 만나 사약을 모면했다고 하니 눌재에게 고양이는 생명의 은인이나 마찬가지가 아닐까요.

사연인즉 눌재 박상은 불의를 보면 참지 못하는, 강직한 성품의 소유자였지요.

당시 희대의 폭군이자 패륜아로 낙인찍힌 연산군이 전국 각지에 채홍사採紅使를 내려 보내 궁비를 뽑아 궁 안의 일을 돕도록 하던 중 나주에 사는 우부리牛夫里라는 자의 딸이 뽑혀 왔습니다.

우부리의 딸은 대단한 미색이어서 연산군의 눈에 금방 들어 총애를 받는 후궁後宮이 됐는데 이때부터 비극은 시작됐습니다. 후궁이 되자마자 그 아비 우부리는 마치 연산군의 장인이라도 된 것처럼 기세등등해졌지요. 우부리는 나주목사를 함부로 대하고, 토지를 강탈하는가 하면, 세도를 부려 남의 처자를 빼앗아 첩으로 삼는 등 우부리에 대해 일대의 원성이 자자했습니다. 이처럼 우부리의 행패가 극심했지만 나주목사는 그 어떤 손도 쓰지 못했습니다. 나주목사가 우부리 자신의 행패를 막으려 들면 서울 궁성의 딸에게 일러바쳐 목사의 목을 잘랐기 때문이에요. 이로 인해 나주 고을의 민심은 날로 흉흉해졌지요.

이렇듯 목사로 부임하면 직책은 고사하고 목숨부지까지 위태로워지자 그 누구도 나주목사로 가려하지 않았어요. 그러던 중 우부리의 만행을 들어 익히 알고 있던 눌재가 자청해 부임해 왔습니다. 눌재가 부임해 왔을 당시 동료나 예하 이속들이 이구동성으로 우부리에게 부임 인사를 해야 한다고 했으나 눌재는 그 권유를 듣지 않고 오히려 우부리의 죄상을 밝히기 위해 그를 동헌으로 잡아들였습니다.

그는 엄명을 내려 우부리를 잡아들인 뒤 그에게 죄를 묻고 취조한 결과를 조정에 보고할 예정이었습니다. 그러나 우부리도 기세등등해져 "목사, 네 놈의 목을 자르겠다"고 큰소리를 치자 곤장을 쳐 장살杖殺의 형벌로 그를 죽게 하고 말았습니다.

이 일이 있은 후 우부리의 집에서는 그의 시체를 치울 생각도 하지 않고, 우선 사람을 서울로 보내 연산군에게 고하자 연산군이 대노大怒한 뒤 금부도사를 보내 놀재에게 사약을 내리도록 명했어요.

눌재는 이런 상황을 모른 채 우부리의 죄상을 글로 조정에 낱낱이 밝히는 한편, 당당히 임금에게 대죄待罪를 청하려고 나주목사 사표를 들고 전남 장성 갈재를 넘어 입암산笠岩山 아래 갈림길에 이르렀는데, 난데없이 들고양이 한 마리가 나타났습니다. 그 들고양이는 "야옹 야옹" 하며 눌재의 바지가랑이를 물어 채면서 끌기에 이상히 여겨 그 고양이가 끄는 대로 따라갔지요. 도착한 곳이 진천사라는 절이었는데 나중에 이곳은 백양사가 되었다는군요. 그동일한 시각에 금부도사가 반대쪽 큰길로 오고 있었기 때문에 고양이가 아니었더라면 눌재의 일행은 금부도사와 마주쳐 사약을 받고 황천에 갈 뻔했지요. 고양이 때문에 서로 길이 엇갈려 절체절명의 위기를 모면한 셈이죠. 얼마 뒤 조선 제10대왕 연산군을 몰아내고 진성대군晉城大君(이역)을 왕으로 추대한 중종반정中宗反正.(1506)이 벌어지고 그로 인해 우부리 사건은 불문에 붙여지게 됐지요.

그 일을 겪고 난 눌재는 벼슬을 그만둔 뒤 낙향하여 고양이에게 제사를 지낼 목적으로 논(묘답苗畓 고양이의 은혜를 갚는 전답)을 만들 정도로 고양이의 고마움을 잊지 않았다고 합니다.


눌재訥齋 박상朴祥(1474~1530)은 조선 중기 중종 때의 문신으로 성종 5년인 1474년 광주시 서구 서창동 절골마을 출생으로 훈구파와 사림파가 대립하던 조선 중종 때의 관료로 사림 운동에 전력한 학자이자 정치가였다. 전라도사, 담양군수, 순천부사 등을 역임했으며 그의 학식과 인품에 대해 후배였던 퇴계 이황이 원우元祐의 완인完人(명예와 신분에 전혀 흠이 없는 완전한 인간)’이라고 극찬하기도 했다. 눌재집訥齋集을 남겼으며 이조판서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추증되어 광주 월봉서원에 제향祭享됐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