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早春雲物古光州 이른 봄날 옛 빛고을의 풍광 물씬한데
尙憶詞臣此共遊 아직도 사신과 함께 놀던 일 추억하네
萬事長沙餘舊宅 수많은 일 중 장사의 옛집만 남았고
十年王粲再高樓 10년 만에 왕찬의 고루에 다시 오르네.
黃溪樹入斜陽盡 황계의 나무는 석양빛에 들어 사라지고
瑞石天兼霽雪浮 서석의 하늘은 맑은 눈과 함께 떠있다
城下往來無古老 성 아래엔 왕래하는 옛 늙은이 없으니
行人怊悵不堪留 나그네는 추창하여 머물 수가 없구나
靑橙石堞帶寒流 푸른 등자나무 석첩엔 한류가 흐르니
滿目依俙物色稠 눈에 가득 어렴풋이 물색이 빽빽하다
存沒古今惟有淚 고금의 흥망에 눈물만 흘릴 뿐이요
朅來南北自然愁 남북으로 오고가니 자연히 시름겹네.
春潭送客王孫草 객을 보낸 봄 못엔 왕손의 풀 무성하고
明月無人燕子樓 사람없는 연자루엔 밝은 달만 비치네
向晩長城騎馬去 저물 무렵 말을 타고 장성으로 향하며
兩行官樹一回頭 두 줄로 늘어선 관수를 한번 돌아보네
又
南遊迢遞廾年間 남녘으로 아득히 노닌지 20년
學士風流不可攀 학사의 풍류 잡을 길이 없어라
下榻少年今白髮 걸상 내리던 소년도 이젠 백발
登樓落日舊靑山 누각 오르니 낙일은 옛 청산에
錦城春早花無意 금성의 이른 봄에 꽃은 뜻 없고
蘆嶺天長鳥自還 노령의 먼 하늘 새만 돌아오네
更憶柳生詩寂寞 유생의 시 추억하니 적막하기만
畫欄西望淚雙潸 화란 서쪽을 보며 눈물 흘리네
-석북집(石北集) :권1
신광수(申光洙, 1712-1775)의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성연(聖淵)이며 호는 석북(石北), 오악산인(五嶽山人)이다. 윤두서(尹斗緖)의 딸과 혼인하여 실학파와 유대를 맺었다. 영릉참봉(寧陵參奉 능을 맡아 일보던 종9품 벼슬)이 되고, 53세에 금오랑(金吾郎 금부도사)으로 제주도에 갔다가 표류하여, 제주에 40여일 머무르는 동안 탐라록(耽羅錄)을 지었으며, 우승지. 영월부사를 역임하였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 제목 | 발행처 |
---|---|---|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 광주 향토사 연구 |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 동구의 인물2 | 광주광역시 동구청 |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마을(동)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민속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21) | 양림 인물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동구문화원(2014) |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 광주동구문화원 |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 누리집(2023.2 |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 광주의 다리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재단(2021) | 근현대 광주 사람들 | 광주문화재단 |
광주북구문화원(2004) | 북구의 문화유산 | 광주북구문화원 |
광주서구문화원(2014) | 서구 마을이야기 | 광주서구문화원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옛 지도로 본 광주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 국역 光州邑誌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 영산강의 나루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 경양방죽과 태봉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 1896광주여행기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 광주천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김경수(2005) | 광주의 땅 이야기 | 향지사 |
김대현.정인서(2018) |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정호(2014) | 광주산책(상,하) | 광주문화재단 |
김정호(2017) |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학휘(2013) |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4) |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5) |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6) |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8) |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9) |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 광산문화원 |
남성숙(2017) | 전라도 천년의 얼굴 | 광주매일신문 |
노성태(2016) | 광주의 기억을 걷다 | 도서출판 살림터 |
노성테.신봉수(2014) |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 광주문화원연합회 |
박규상(2009) | 광주연극사 | 문학들 |
박선홍(2015) | 광주 1백년 | 광주문화재단 |
정인서(2016) |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 광주문화원연합회 |
정인서 외(2015) | 광주의 옛길과 새길 | 시민의 소리 |
정인서(2011) |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 대동문화재단 |
정인서(2011) | 광주문화재이야기 | 대동문화재단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
천득염(2006) | 광주건축100년 | 전남대학교출판부 |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 광주향약 1,2,3. | 한국학호남진흥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