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話久庭看跋 이야기 오래 하니 들의 끝이 보이고
簾疏月出東 발 성기니 달 동쪽에 떠오르네.
行愁趙盾日 조순(趙盾)의 날을 근심하다가
來喜故人風 고인의 기풍을 기뻐했네
此夜暫成會 오늘밤 잠시 이룬 모임
明朝還墮空 내일 아침이면 다시 헤어지게 되리
相思千里意 서로 생각하는 천리 밖의 뜻
不隔山海重 바다와 산도 막지 못하리
<<광주읍지>>
광주 객사는 ‘광산관(光山館)’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일반적인 객사의 모습과 마찬가지로 가운데 정청을 중심으로 양쪽에 익사가 위치했다. 정청에는 왕을 상징하는 전패(殿牌)를 모셨고,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망궐례가 행해졌다.
1879년 간행된 광주읍지 공해조(公廨條)는 성현의 중수기, 서정연, 이명한, 고태필, 황박, 고부천의 시를 객사 광산관 항목에 소개하고 있다. 광산관에서 짓거나 광산관을 노래한 시(詩)지만, 작가 자신의 소회를 묘사한 것이 많고, 광산관의 형태나 규모, 위치 등을 추정할 수 있는 내용은 거의 없다.
황박(黃璞, ?~1592)의 본관은 우주(紆州), 호는 죽봉(竹峰)으로 문숙공 황거중(黃居中)의 후손이다. 황거중은 우주황씨(紆州黃氏)를 중흥시킨 인물로, 고려 말 우왕 때 이성계(李成桂, 1335~1408)와 남원 운봉 전투에서 아지발도(阿只拔都)를 무찌를 때 종사관으로 참전하여 개국 공신이 되었으며 정당문학에 발탁되었다.
충신 황박은 임진왜란 때 창의하여 조헌(趙憲)·고경명(高敬命) 등과 함께 웅치에서 적을 대파한 후, 권율(權慄, 1537~1599)과 함께 이현(梨峴)(지금은 이치로, 완주군 대둔산에서 금산으로 넘어가는 고개) 전투에서 싸우다 전사하였다. 이에 김제시 용지면에 충신 황박 정려가 세워지고, 황박이 죽은 이치에는 충절비가 세워졌다고 전한다.
<<김제향교지>> 충훈 편을 보면 ‘문숙공거중후임난순절이치증병사명정충(文肅公居中后壬亂殉節梨峙贈兵使命旌忠)’이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그 뜻은 “황박은 문숙공 거중의 후예로 임진왜란 시 이치전투에서 순절했고 증직으로 병사를 받았으며 충신으로 정려를 받았다”이다.
*2020.3.6. 수정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 제목 | 발행처 |
---|---|---|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 광주 향토사 연구 |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 동구의 인물2 | 광주광역시 동구청 |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마을(동)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민속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21) | 양림 인물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동구문화원(2014) |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 광주동구문화원 |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 누리집(2023.2 |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 광주의 다리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재단(2021) | 근현대 광주 사람들 | 광주문화재단 |
광주북구문화원(2004) | 북구의 문화유산 | 광주북구문화원 |
광주서구문화원(2014) | 서구 마을이야기 | 광주서구문화원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옛 지도로 본 광주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 국역 光州邑誌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 영산강의 나루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 경양방죽과 태봉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 1896광주여행기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 광주천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김경수(2005) | 광주의 땅 이야기 | 향지사 |
김대현.정인서(2018) |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정호(2014) | 광주산책(상,하) | 광주문화재단 |
김정호(2017) |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학휘(2013) |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4) |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5) |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6) |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8) |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9) |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 광산문화원 |
남성숙(2017) | 전라도 천년의 얼굴 | 광주매일신문 |
노성태(2016) | 광주의 기억을 걷다 | 도서출판 살림터 |
노성테.신봉수(2014) |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 광주문화원연합회 |
박규상(2009) | 광주연극사 | 문학들 |
박선홍(2015) | 광주 1백년 | 광주문화재단 |
정인서(2016) |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 광주문화원연합회 |
정인서 외(2015) | 광주의 옛길과 새길 | 시민의 소리 |
정인서(2011) |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 대동문화재단 |
정인서(2011) | 광주문화재이야기 | 대동문화재단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
천득염(2006) | 광주건축100년 | 전남대학교출판부 |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 광주향약 1,2,3. | 한국학호남진흥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