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고경조(高敬祖, 1528~?)의 본관은 장흥(長興)이며, 자는 이원(貽遠), 호는 구암(龜巖)이다. 조부는 형조좌랑(刑曹佐郎)을 지낸 고운(高雲), 부친은 고중영(高仲英)이고,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사촌이다. 김지달(金之達)의 딸인 영광김씨(靈光金氏)와의 사이에서 4남을 두었는데, 장남은 고성후(高成厚), 차남은 고근후(高根厚), 삼남은 고응후(高凝厚), 사남은 고극후(高極厚)이다. 광주에서 거주하였다.
1555년(명종 10)에 진사시에 입격하였고, 1561년(명종 16) 식년시에서 을과 2위[전체 5위]로 문과에 급제하였다. 그러나 과거 급제 이후의 기록은 많지 않다. 선조실록(宣祖實錄)에는 1574년(선조 7) 6월 해미현감(海美縣監)으로 재직할 당시 뇌물을 받고 송사를 처결하였다는 이유로 사헌부의 탄핵을 받았다는 기사와, 1593년(선조 26) 윤11월에 고경조를 임천군수(林川郡守)로 삼았다는 기록이 보일 뿐이다.
1590년(선조 23)에는 지금의 경상북도 울진군 일대인 평해(平海)의 군수로서 망양정(望洋亭)을 중수하였다. 서형수(徐瀅修)[1749~1824]가 쓴 《명고전집(明皐全集)》에 따르면, 임천군수가 된 1593년 광주목사(廣州牧使)에 임명되었다.
고경조는 주로 외직을 역임하였는데, 《광주읍지(光州邑誌)》나 《여산부읍지》 등의 지방지에 따르면 고경조는 명종이 척신 윤원형(尹元衡)의 횡포를 막기 위해 중용한 이량(李樑)으로부터 배척을 받아 지방직을 전전하였다.
1645년(인조 23) 광주의 경렬사(景烈祠)에 제향되었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 제목 | 발행처 |
---|---|---|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 광주 향토사 연구 |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 동구의 인물2 | 광주광역시 동구청 |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마을(동)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민속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21) | 양림 인물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동구문화원(2014) |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 광주동구문화원 |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 누리집(2023.2 |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 광주의 다리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재단(2021) | 근현대 광주 사람들 | 광주문화재단 |
광주북구문화원(2004) | 북구의 문화유산 | 광주북구문화원 |
광주서구문화원(2014) | 서구 마을이야기 | 광주서구문화원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옛 지도로 본 광주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 국역 光州邑誌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 영산강의 나루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 경양방죽과 태봉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 1896광주여행기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 광주천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김경수(2005) | 광주의 땅 이야기 | 향지사 |
김대현.정인서(2018) |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정호(2014) | 광주산책(상,하) | 광주문화재단 |
김정호(2017) |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학휘(2013) |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4) |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5) |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6) |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8) |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9) |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 광산문화원 |
남성숙(2017) | 전라도 천년의 얼굴 | 광주매일신문 |
노성태(2016) | 광주의 기억을 걷다 | 도서출판 살림터 |
노성테.신봉수(2014) |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 광주문화원연합회 |
박규상(2009) | 광주연극사 | 문학들 |
박선홍(2015) | 광주 1백년 | 광주문화재단 |
정인서(2016) |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 광주문화원연합회 |
정인서 외(2015) | 광주의 옛길과 새길 | 시민의 소리 |
정인서(2011) |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 대동문화재단 |
정인서(2011) | 광주문화재이야기 | 대동문화재단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
천득염(2006) | 광주건축100년 | 전남대학교출판부 |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 광주향약 1,2,3. | 한국학호남진흥원 |
- 이전글고경명高敬命(1533~1592)
- 이전글고경신
- 다음글고경형
- 다음글고광련(高光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