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김규식 ⾦奎軾 고종 26년(1889) 8월 22일∼고종 27년(1890) 7월 1일
김규식(1838∼1896)의 본관은 청풍(淸⾵)이며, 자는 우약(⾬若)이다. 아버지는 이세호 (李世鎬)이다. 1870년 정시 문과 병과로 급제하여 검교대교(檢校待敎)를 시작으로 1872년 우부승지, 1873년 우승지, 1879년 행부호군·이조참의, 1880년 원임대교,1882년 우승지, 1886년 부호군, 1887년 병조참지, 1888년 병조참의·우부승지, 1889 년 수궁검교대교(守宮檢校待敎)를 지냈다. 1889년 6월 30일 나주목사에 제수되고 8월 22일 부임하였다. 1890년 동부승지, 1892년 좌부승지, 1893년 행우승지·호군, 1895 년 5월 진주부관찰사, 1895년 7월 충주부관찰사를 역임하였다. 『금성읍지』에는 “기축 (1889년) 6월 30일에 제수받아 8월 6일 임금에게 사조하고 8월 22일 부임하였으며 경인(1890)년 2월에 민란(광양)을 다스리고 7월 1일에 진향사(進⾹使)가 되어 경성으로 돌아갔다.”고 기록되어 있다. 기축(1889년) 9월 17일에 광양에서 민란이 일어나자 안핵사가 되어 진압에 나섰고, 10월 30일 “안핵사(按覈使) 김규식(⾦奎軾)이, ‘광양현 백성들의 소란에 수창(⾸倡)한 죄인 정홍기(鄭洪基), 박상룡(朴尙⿓)을 이달 14일에 효경 (梟警)하였습니다.’라고 아뢰었다.”고 기록하고 있어 『금성읍지』의 기록에 착오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1896년 2월에 “충주부관찰사 김규식, 청풍군수 서상기, 단양군수 권숙이, 난민들이 소동을 일으켰을 때 해를 입었습니다.”라는 보고를 통해 사망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1910년 8월 24일 충헌(忠憲)이라는 시호와 은전이 하사되었다.
*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 제목 | 발행처 |
---|---|---|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 광주 향토사 연구 |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 동구의 인물2 | 광주광역시 동구청 |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마을(동)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민속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21) | 양림 인물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동구문화원(2014) |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 광주동구문화원 |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 누리집(2023.2 |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 광주의 다리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재단(2021) | 근현대 광주 사람들 | 광주문화재단 |
광주북구문화원(2004) | 북구의 문화유산 | 광주북구문화원 |
광주서구문화원(2014) | 서구 마을이야기 | 광주서구문화원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옛 지도로 본 광주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 국역 光州邑誌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 영산강의 나루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 경양방죽과 태봉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 1896광주여행기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 광주천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김경수(2005) | 광주의 땅 이야기 | 향지사 |
김대현.정인서(2018) |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정호(2014) | 광주산책(상,하) | 광주문화재단 |
김정호(2017) |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학휘(2013) |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4) |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5) |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6) |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8) |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9) |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 광산문화원 |
남성숙(2017) | 전라도 천년의 얼굴 | 광주매일신문 |
노성태(2016) | 광주의 기억을 걷다 | 도서출판 살림터 |
노성테.신봉수(2014) |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 광주문화원연합회 |
박규상(2009) | 광주연극사 | 문학들 |
박선홍(2015) | 광주 1백년 | 광주문화재단 |
정인서(2016) |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 광주문화원연합회 |
정인서 외(2015) | 광주의 옛길과 새길 | 시민의 소리 |
정인서(2011) |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 대동문화재단 |
정인서(2011) | 광주문화재이야기 | 대동문화재단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
천득염(2006) | 광주건축100년 | 전남대학교출판부 |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 광주향약 1,2,3. | 한국학호남진흥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