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김병우 ⾦炳愚 고종 5년(1868) 10월 24일∼고종 8년(1871) 6월 20일
김병우(?∼?)의 본관은 안동, 자는 성여(聖汝), 호는 우전(⾬⽥)이다. 문정공(⽂正公) 청음(淸陰) 김상헌(⾦尙憲)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사헌부집의 김직순(⾦直淳), 아버지는 사헌부장령 정헌(靜軒) 김인근(⾦仁根)이다. 어머니는 해평윤씨이다. 1850년 음보로 공릉 참봉으로 출사하여 1852년 내자시 참봉이 되었고, 1854년 장악원 주부·사복시 주부·한 성부 주부를 지냈다. 1855년 의령현감, 1859년 괴산군수, 1864년 선산부사를 지냈다. 1868년 9월 17일 나주목사에 제수되어 10월 24일 부임하였다. 1870년 10월 7일 세곡(稅穀)을 더 싣는 일에 대해 선혜청의 복계(覆啓)로 인하여 잡아오기를 청한다하였으나 성역(城役)이 한창 바쁜데 아직 준공을 보지 못하여 직무를 비워두는 것은 염려스러 우니 의금부로 잡아다 처리하는 일은 그만두고 죄를 진 로거행하게 한다. 1870년 8월 1일에는 전라감사 (李鎬俊)장계에 따라 성첩(城堞), 문루(⾨樓)를 새로 건축할 때 녹봉을 털어 재물을 모은 것을 차례로 시작하였으니, 포상을 감독한 사람이 정성과 힘을 다하여 보답을 베풀어야 마땅하다 해 8) 표리(表裏) 1습(襲)을 특별히 사급받는다. 12월 27일 에는 전라감사의 장계에 따라 3년 동안 다스리면서 패국(敗局)이 거의 회복되었다 하여 특별히 한 임기를 잉임시키도록 한다. 1871년 1월 3일 잉임 전지를 받는다. 1873년 동부승지·우부승지, 1880년 공조참의를 역임하였다. 『금성읍지』에는 “무진(1868년) 9월 17일에 통정대부 선산부사에서 옮겨와 제수되어 임금을 사조한 후, 10월 24일에 부임 하여 재직하다 신미(1871년) 1월 3일 만기를 넘겨 근무하다 6월 20일에 양주목사로 발령이 나 이임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1869년 나주향교 대성전을 중수하였다
*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 제목 | 발행처 |
---|---|---|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 광주 향토사 연구 |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 동구의 인물2 | 광주광역시 동구청 |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마을(동)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민속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21) | 양림 인물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동구문화원(2014) |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 광주동구문화원 |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 누리집(2023.2 |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 광주의 다리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재단(2021) | 근현대 광주 사람들 | 광주문화재단 |
광주북구문화원(2004) | 북구의 문화유산 | 광주북구문화원 |
광주서구문화원(2014) | 서구 마을이야기 | 광주서구문화원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옛 지도로 본 광주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 국역 光州邑誌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 영산강의 나루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 경양방죽과 태봉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 1896광주여행기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 광주천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김경수(2005) | 광주의 땅 이야기 | 향지사 |
김대현.정인서(2018) |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정호(2014) | 광주산책(상,하) | 광주문화재단 |
김정호(2017) |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학휘(2013) |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4) |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5) |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6) |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8) |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9) |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 광산문화원 |
남성숙(2017) | 전라도 천년의 얼굴 | 광주매일신문 |
노성태(2016) | 광주의 기억을 걷다 | 도서출판 살림터 |
노성테.신봉수(2014) |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 광주문화원연합회 |
박규상(2009) | 광주연극사 | 문학들 |
박선홍(2015) | 광주 1백년 | 광주문화재단 |
정인서(2016) |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 광주문화원연합회 |
정인서 외(2015) | 광주의 옛길과 새길 | 시민의 소리 |
정인서(2011) |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 대동문화재단 |
정인서(2011) | 광주문화재이야기 | 대동문화재단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
천득염(2006) | 광주건축100년 | 전남대학교출판부 |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 광주향약 1,2,3. | 한국학호남진흥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