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홍역 洪櫟 영조 34년(1758) 10월 18일∼영조 38년(1762) 9월 7일 =
홍역(1708∼1767)의 본관은 남양(南陽)이며, 자는 수옹(壽翁), 호는 의재(毅齋)이다. 아버지는 대사간을 지낸 홍용조(洪⿓祚)이다. 형이 광주부유수를 지낸 지중추부사 홍억(洪 檍)이고, 아들이 실학자 홍대용(洪⼤容)이다. 1744년 식년시 진사에 합격하여 처음으로 장릉참봉에 보임되었고, 1746년 군자감 봉사, 1748년 금부도사가 되었다. 1749년 상의원 별제, 1750년 문경현감, 1754년 호조정랑, 영천군수, 1755년 봉산군수, 해주목 사, 1758년 9월 17일 나주목사로 제수되어 10월 4일 하직하고 1758년 10월 18일 부임하였다. 1759년(영조 35) 5월 30일 기록에 전문(箋⽂)을 봉과(封裹)한 여러 도구 들이 매우 정교하지 못하다 하여 추고하여 경책하라는 데 대하여 윤허 전교가 내렸다. 『영조실록』에 “전 나주목사 홍역을 멀리 유배할 것을 명하였다. 이때 호남에 큰 기근이 들었는데, 나주는 환곡 4만 곡(斛)을 하나도 저축하여 둔 것이 없어 백성들이 호구 (糊⼝)할 길이 없으므로 온 고을이 어찌할 바를 모르고 사람들이 모두 분통하게 여겼 다. …… 좌의정 홍봉한(洪鳳漢)이 엄중히 징계할 것을 다시 청하여 드디어 예천(醴泉) 에 정배하고 금고 5년에 처하였다.”라는 기록을 통해 원망을 사기도 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지역에서는 “아전을 다스렸고, 간편함으로써 백성들을 대하였다.”고 전한다. 아들 홍대용은 동복 실학자 석당(⽯堂) 나경적(羅景績)을 나주로 초빙하여 아버 지의 후원 하에 철제(鐵製) 혼천의를 제작하여 자신의 사설 천문대인 농수각(籠⽔閣)에 설치하고 천문을 깊이 있게 연구하였다. 『금성읍지』에는 “무인(1758년) 10월 18일 도임하였고 임오(1762년) 9월 7일에 모친상을 당하여 같은 달 26일에 발인하였다.”고 기록되었다.
*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 제목 | 발행처 |
---|---|---|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 광주 향토사 연구 |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 동구의 인물2 | 광주광역시 동구청 |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01) |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마을(동)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14) | 광주 남구 민속지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남구문화원(2021) | 양림 인물 | 광주남구문화원 |
광주동구문화원(2014) |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 광주동구문화원 |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 누리집(2023.2 |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 광주의 다리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광주문화재단(2021) | 근현대 광주 사람들 | 광주문화재단 |
광주북구문화원(2004) | 북구의 문화유산 | 광주북구문화원 |
광주서구문화원(2014) | 서구 마을이야기 | 광주서구문화원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옛 지도로 본 광주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 국역 光州邑誌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 영산강의 나루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 경양방죽과 태봉산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 1896광주여행기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 광주천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김경수(2005) | 광주의 땅 이야기 | 향지사 |
김대현.정인서(2018) |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정호(2014) | 광주산책(상,하) | 광주문화재단 |
김정호(2017) |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 광주문화원연합회 |
김학휘(2013) |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4) |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5) |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6) |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8) |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 광산문화원 |
김학휘(2019) |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 광산문화원 |
남성숙(2017) | 전라도 천년의 얼굴 | 광주매일신문 |
노성태(2016) | 광주의 기억을 걷다 | 도서출판 살림터 |
노성테.신봉수(2014) |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 광주문화원연합회 |
박규상(2009) | 광주연극사 | 문학들 |
박선홍(2015) | 광주 1백년 | 광주문화재단 |
정인서(2016) |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 광주문화원연합회 |
정인서 외(2015) | 광주의 옛길과 새길 | 시민의 소리 |
정인서(2011) |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 대동문화재단 |
정인서(2011) | 광주문화재이야기 | 대동문화재단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
천득염(2006) | 광주건축100년 | 전남대학교출판부 |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 광주향약 1,2,3. | 한국학호남진흥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