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형곤 李衡坤 영조 3년(1727) 9월 15일∼영조 9년(1733) 4월

이형곤 李衡坤 영조 3년(1727) 9월 15일∼영조 9년(1733) 4월

이형곤(?∼?) 4) 의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1710년 영소전 참봉, 1712년 경기전 참봉·예 빈봉사, 1714년 사옹직장, 1716년 장악주부·의금부도사, 1717년 홍산현감, 1722년 의금부도사·한성판관·대구판관·안성군수, 1723년 공산현감, 1724년 첨지, 1727년 9월 15일 나주목사로 제수되어 10월 3일 하직하고 10월 13일 부임하였다. 1728년에는 이인좌의 난에 연루되어 나주목이 금성현으로 강등되었다. 『승정원일기』에 1729년 8월 23일 금성현 강등 윤허 기록이 있다. 이현곤은 파직되지 않고 종6품 현감으로 재임하게 된다. 1729년(영조 5) 2월 25일 『승정원일기』에는 나주의 해도(海島)에 관한 일에 대한 병조판서 조문명의 상소가 있는데, “나주목이 관할하는 서해와 남해에 있는 여러 섬은 57개나 됩니다. 그 넓이를 모두 합하면 길이는 모두 640여 리이고 너비도 300여 리이며, 민호의 숫자는 모두 4380여 호이고 전결(⽥結)의 총수는 모두 4010여 결입니다. 그 밖에도 누락된 섬이 23개인데 비록 작은 섬들이지만 각각 섬의 이름이 있고 또 주민도 많이 있다고 합니다. 이는 바로 전 전라 병사 조경(趙儆)이 체차되어 돌아올 때 나주 목사 이형곤과 함께 각 섬의 형지(形⽌)를 자세하게 논하고 온 것입니 다. 이곳의 여러 섬은 바로 양남(兩南)의 조운이 거치는 길이니 조정으로서는 등한한 곳으로 여길 수 없습니다.”라 하였다. 1730년(영조 6) 12월 29일 기록에는 사간원에서 전라도 금성현의 하의(荷⾐)·태금(苔錦) 등 위아래 세 섬의 절수 문제로 인한 송사를 거론하는 내용이 있다. 1731년 선정하였다 하여 통정대부로 가자되고, 1732년 의금부 에서 체포되었는데, 그 사유는 “사사로이 1천 석에 가까운 쌀을 보내어 경강(京江)에서 발매하다가 마침내 양천현(陽川縣)에서 붙잡혀 진휼청에 보고되었기 때문”이라는 것이 다. 『금성읍지』에는 “정미(1727년) 10월 13일 도임하였고 계축(1733년) 4월에 정배온 죄인을 체포하지 못한 일로 나포되어 체직 되었다.”고 기록되었다.

*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