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김광욱 ⾦光煜 인조 16년(1638) 8월 24일∼인조 17년(1639) 8월

김광욱 ⾦光煜 인조 16년(1638) 8월 24일∼인조 17년(1639) 8월

김광욱(1580∼1656)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회이(晦⽽), 호는 죽소(⽵所)이다. 아버지는 형조참판 김상준(⾦尙寯)이며, 어머니는 이천우(李天祐)의 딸이다. 1606년 증광시에 진사시와 문과에 병과로 동시에 급제하여 승문원에 배속되었다가 1608년 검열, 1609년 대교·설서, 1610년 사서·사간원 정언, 1611년 부수찬, 1612년 병조좌랑, 1613 년 계축옥사 때 아버지와 함께 연루되었으나 풀려났다. 1633년 양서 관향사, 1637년 동부승지, 1638년 좌부승지를 역임하다가 7월 25일 나주목사를 제수받았다. 8월 24일 하직하고 9월 12일 부임하여 1639년 8월에 이임하였다. 『승정원일기』에 전라감사가 올린, 나주의 양전 감관(量⽥監官)을 조사한 계문에 대하여 아뢰는 이후원(李厚源)의 계가 있다. 쌀을 징수하여 폐단을 야기한 무리에 대한 형률에 대해 나주목사 김광욱이 사핵한 것과 해조의 회계가 모두 적절하지 않다는 내용이다. 1641년 황해도관찰사, 1643년 좌승지, 1644년 우승지·우부빈객, 1646년 도승지·예문각 제학, 1648년 도승지, 1650년 동지중추부사·경기감사, 1652년 개성유수, 1654년 동지정사, 1655년 좌참찬을 역임하다 1656년 사망하였다. 문집으로 『죽소집(⽵所集)』이 있다. 『금성읍지』에는 “무인(1638 년) 9월 12일 도임하였고 체직 일자는 기록되지 않았다.”고 되어 있으나 다음 목사의 부임일 등을 보아 1639년 8월까지 재임한 것으로 보인다. 시호는 문정(⽂貞)이다.

*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