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김성일 ⾦誠⼀ 선조 16년(1583) 8월 1일∼선조 19년(1586) 10월

김성일 ⾦誠⼀ 선조 16년(1583) 8월 1일∼선조 19년(1586) 10월

김성일(1538∼1893)의 본관은 의성(義城)이며, 자는 사순(⼠純), 호는 학봉(鶴峰)이다. 아버지는 생원 김진(⾦璡)이다. 1564년 진사시에 함격하고 1568년 증광시 문과에 급제하였다. 형 김극일(⾦克⼀)과 동생 김복일(⾦復⼀)도 문과에 급제하였다. 1573년 홍문 록에 들어갈 인물로 뽑히고 사헌부 정언, 예조좌랑, 수찬, 정언, 1574년 수찬, 1579년 장령, 1583년 황해도 순무어사를 역임하였다. 1583년 7월 1일 나주목사에 제수되었 다. 1586년 11월 12일 나주 사직단의 위판이 밤중에 불이 나 모두 타버려 파직되었 다. 그러나 사직 위판이 불탄 후 김성일은 하루라도 신주(神主)가 없어서는 안 된다고 하여 곧바로 위판을 만들어 위안제(慰安祭)를 지냈는데, 조정에 아뢰지는 않고 수토(守 ⼟)하는 신하가 지레 신주를 만들어 제사를 지냈으니, 이는 신을 섬기는 예를 소홀히 하였다 하여 추고를 당하고 물러난다. 1590년(선조 23) 통신부사로 일본에 갔다 온뒤 황윤길이 병화가 일어날 것이라고 주장한 데 반해 김성일은 그렇지 않다는 주장을 했다. 보고한 것과 달리 이듬해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선조는 김성일을 잡아들이라는 명을 내렸다. 김성일은 “한 번 죽어 나라의 은혜에 보답하겠다.”라는 장계를 올리자 선조가 감동하여 경상우도초유사로 임명하였다. 1593년 경상우도순찰사 재임 중 진주 공관에서 병사하였다. 문집으로 『학봉집』이 있다. 『금성읍지』에는 “춘추관 편수관을 겸임하여 계미(1583년) 8월 26일 도임하였다. 인덕지를 개착하고, 서원(대곡서원)을 창설하고, 사직단을 옮겼으나 병술(1586년) 10월에 화재로 위패가 소실되어 파직되었 다.”라고 되어 있다. 시호는 문충(⽂忠)이다.

*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