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최환 崔渙 명종 9년(1554) 4월 17일∼명종 10년(1555) 4월 4일

최환 崔渙 명종 9년(1554) 4월 17일∼명종 10년(1555) 4월 4일

최환(?∼1555)의 본관은 흥해(興海)이며, 자는 문원(⽂源)으로 아버지는 행부사맹(⾏副司猛) 최계동(崔繼潼)이다. 1528년(중종 23) 별시문과 병과에 급제하고, 1540년 6월 고성현령으로 있으면서 요역(徭役)과 부세를 가볍게 하여 주었기 때문에 백성들이 모두 편안히 생업에 종사한다고 하여 상을 받았으며, 1542년 윤5월에도 고성현령으로 있을때 기근에 시달리는 백성들을 잘 구제하여 표창을 받았다. 1554년 4월 나주목사가 되었고 1555년 3월 21일 전라도 어사 윤주(尹澍)가 서계(書啓)한 단자에 따라 백성들을잘 구제하여 상으로 향표리(鄕表裏) 1벌을 받았다. 1555년 10월에는 남치근(南致勤)이 전라도방어사로 나주에 갔을 때 나주목사 최환이 마침 병이 나서 나가지 못하자 태(笞) 수십대를 때렸는데 오래지 않아 죽었다. 이 때의 일에 대하여 『명종실록』에 사관이 “최환은 밀양 사람인데 청렴하고 부지런하며 독실한 인물로 평이 나 있었다. 일찍이 서장관으로 중국에 갔을 때에도 가져온 물건이 하나도 없어서 조정에서도 그의 훌륭함을 인정해 준 터였다. 남치근이 일찍이 제주목사로 있을 때에 좋은 말을 구해 명사들 에게 두루 선물을 보냈는데, 최환은 그것을 물리쳤다. 이 일로 남치근은 최환에 대해서 분한 마음을 품게 되었다. …… 남치근이 그를 참형하지 못하고 군관으로 하여금 몽둥이로 치게 했는데, 마침내 죽게 되었다. 나주 백성들은 모두 그것을 슬퍼하였고 남도의 선비로서 분기와 억울한 감정을 갖지 않은 사람이 없었다.”라고 기록하였다. 『나주 군읍지』에는 “갑인년(1554) 4월 17일에 겸춘추편수관(兼春秋編修官)으로서 도임, 을묘 년(1556) 4월 4일에 좌승지의 서장(書狀)에 의해 진휼을 잘한 것으로 표리를 하사받았 는데, 왜변 때 전마(戰⾺)가 준비되지 않았다하여 좌방어사에게 곤장을 맞고 무재(武才) 가 없다는 것으로 체직되어 광주에 도착한 후 별세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자료: 나주문화원(2023), 《국역 금성읍지》.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