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조안국(1501~1573) 광주목사

포저집 제33권 / 묘표(墓表) 3수(三首)

증조 함경남도 병마절도사(咸鏡南道兵馬節度使) 증 좌찬성 부군(贈左贊成府君)의 묘표- 조안국(1501~1573)


우리 증조고(曾祖考)인 함경남도 병마절도사 증 의정부 좌찬성 부군은 휘(諱)가 안국(安國)이요 자(字)는 국경(國卿)이니, 동지중추부사 증 병조 참판 휘 현범(賢範)의 차자(次子)이다. 그 묘소는 참판의 묘소와 같은 동(洞)이면서 언덕을 달리하고 있으니, 그곳은 바로 동쪽 언덕이다.

조씨(趙氏)가 처음 나오게 된 유래와 그 뒤의 세차(世次)는 이미 참판의 묘문(墓文)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자세히 기록하지 않는다. 부군(府君)의 증조는 통정대부(通政大夫) 남원 부사(南原府使) 휘 계팽(季砰)이요, 조부는 장사랑(將仕郞) 증 공조 참판 휘 지진(之縝)이다.

부군은 나이 24세에 가정(嘉靖) 갑신년(1524, 중종 19)의 무과에 급제하여 바로 선전관(宣傳官)을 제수받았다. 외방에 나가 강동 현감(江東縣監)이 되었으며 임기가 만료된 뒤에 사복시 판관(司僕寺判官), 공조 좌랑(工曹佐郞), 겸내승(兼內乘), 공조 정랑(工曹正郞)을 역임하였다. 상이 친림(親臨)하여 기예를 시험할 적에 격모구(擊毛毬)에서 1등을 차지하자 통정대부로 올리도록 명하였으니, 그때의 나이가 28세였다.

희천 현감(熙川縣監)으로 나가 임기가 만료된 뒤에 종성 부사(鍾城府使)에 임명되었는데, 그때 선부군(先府君)도 회령 부사(會寧府使)였다. 이처럼 부자가 나란히 육진(六鎭)의 부사가 되었으므로 세상에서 성대한 일이라고 일컬었다. 임기가 만료되기 전에 승정원 동부승지에 임명되었다. 이 승선(承宣)은 문신에게도 청선(淸選)에 해당되었으니, 무신의 경우는 극선(極選)이라고 할 것이요 또 매우 보기 드문 일이었다.

전라좌수사(全羅左水使)에 임명되고 또 광주목사(光州牧使)에 임명되었는데, 모두 임기를 끝내고 체차(遞差)되었다. 경상 좌병사(慶尙左兵使)에 임명되어서는, 이때에 대도(大盜) 팔룡(八龍)이 난리를 일으켰으나 관군이 감히 체포하지 못하였는데, 부군이 방략(方略)을 세워서 그를 체포하였다. 이에 상이 가자(加資)를 명하였으나 대론(臺論)으로 개정되어 임소에서 임기가 만료될 때까지 근무하였다.

그 뒤에 장단 부사(長湍府使)에 임명되었다. 그때에도 대도 미이(米伊) 형제가 난리를 일으켰는데, 부군이 또 모두 체포하였다. 팔룡과 미이는 모두 날래고 용맹하기로 유명하였고 그들을 따르는 무리도 많아서 대적하기 어렵다고 소문이 났는데, 급기야 부군이 부임하자마자 모두 체포하였으므로 사람들이 오래도록 칭찬하여 마지않았다. 이에 상의 명으로 가자되었으니, 이것이 가정(嘉靖) 임자년(1552, 명종 7)의 일이었다.

또 경상 우병사(慶尙右兵使)에 임명되어 임기를 채우고 돌아왔다. 을묘년(1555)에 왜적이 남해안에 침입하자 국내가 온통 경악하며 장수를 뽑아서 왜적을 막기에 이르렀다. 이에 부군이 전라병사 겸 방어사(全羅兵使兼防禦使)가 되었는데, 순변사(巡邊使)인 남치근(南致勤)과 뜻이 맞지 않아서 결국에는 그의 무함을 받은 나머지 녹도(鹿島)에 2년 동안 유배되었다. 이때 남치근은 살육을 많이 하여 포악하고 위세를 부리는 것으로 소문이 난 반면에, 부군은 죽이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다. 그래서 논하는 자들이 이것을 가지고 양가(兩家) 자손의 성쇠를 점쳤는데, 결국 남치근의 집안은 후사(後嗣)가 없었고 부군의 자손은 아직도 면면이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그 뒤에 함경남도 병사에 임명되고 또 영흥 부사(永興府使)에 임명되었으나 병으로 돌아왔다. 경성에서는 관례에 따라 군직(軍職)에 거하였는데, 영흥에서 돌아온 뒤로는 항상 포도대장(捕盜大將)과 오위장(五衛將)과 부총관(副摠管)을 겸임하였다. 계유년(1573, 선조 6) 7월 14일에 병으로 작고하니 향년 73세였다.

전부인(前夫人) 여산 송씨(礪山宋氏)는 일찍 죽어서 자식을 두지 못하였다. 후부인(後夫人) 안동 권씨(安東權氏)는 생원 휘 세임(世任)의 딸인데, 임진년에 왜적을 피하던 중 양주(楊州) 산골에서 세상을 떠났으니, 그때의 나이가 82세였다. 아들 3인과 딸 1인을 두었다. 장남 휘 엄(儼)은 일찍 죽어서 자식이 없다. 다음 휘 간(侃)은 의빈부 도사(儀賓府都事)로 좌찬성을 추증받았다. 딸은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 윤 문정공(尹文貞公) 휘 근수(根壽)에게 출가하였다. 막내아들 휘 경(儆)은 임진왜란 때 왜적을 격파한 공으로 선무 공신(宣武功臣)에 녹훈(錄勳)되고 풍양군(豐壤君)에 봉해졌으며 품계는 자헌대부(資憲大夫)이다. 부군과 선부군(先府君) 양세(兩世)가 증직을 받은 것은 풍양군의 훈작(勳爵) 덕분이다.

찬성(贊成)은 아들 3인을 두었다. 장남 휘 영중(瑩中)은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로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그 아들 익(翼)은 선세(先世)의 유덕(遺德)으로 외람되게 재상의 지위에 올랐다. 찬성의 자손에 대해서는 원래 그 묘문(墓文)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자세히 기록하지 않는다. 문정공은 아들 6인을 두었다. 장남 환(晥)과 다음 질(晊)은 모두 첨지중추부사이고 나머지는 모두 일찍 죽었으며, 내외의 손자와 증손이 수십 인에 이른다. 풍양군은 아들 5인을 두었다. 장남 한중(閑中)은 통정대부로 군수이고, 막내 시중(時中)은 현감이며, 그 사이의 세 아들은 모두 일찍 죽었다. 내외의 손자와 증손이 역시 수십 인에 이른다.

모년 모월 모일에 증손 대광보국숭록대부 행 판중추부사 익(翼)은 짓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