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야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소개하는 광주의 역사, 문화, 자연, 인물의 이야기 입니다.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 이야기를 발굴 수집하여 각 분야별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지덕(李志德, 1739~?) - 명고전집 제5권

이지덕(李志德, 1739~?) - 명고전집 제5권 / 서(書) : 명고(明皐) 서형수(徐瀅修)

이지덕(李志德, 1739~?)의 자는 대여(大汝)이고 1777년 진사시에 합격했으며 거주지는 광주(光州)였다. 이 진사(李進士)는 명고가 22세 때인 1777년(정조1) 이후에 쓴 편지 〔答李進士, 志德〕 에서 나온다. 명고보다 10세 연상이다.
이 편지는 이지덕이 자문을 구한 7조항에 답하는 내용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사기(史記)》 〈화식열전(貨殖列傳)〉의 글자 교감 문제:‘戶’가 연자(衍字)임은 옳으나 함부로 글자를 고쳐서는 안 된다. ② 구양수(歐陽脩)의 〈종수론(縱囚論)〉:원칙을 논한 것이므로 혹리의 각박한 글이라 할 수 없다. ③ 구양수의 〈일본도 노래[日本刀歌]〉에 관한 장유(張維)의 논설:장유가 구양수의 본지(本志)를 곡해하였다. ④ 구양수의 《복의(濮議)》에 관한 장유의 논설:구양수가 자신의 과오를 합리화한 것이라는 장유의 평이 옳다. ⑤ 《중용장구》에서 의심스러운 점 세 가지를 든 장유의 논설:장유가 《중용장구》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한 말이다. ⑥ ‘마음의 출입[心之出入]’에 관한 장유의 논설:이지덕의 반박에 더하여 《대학혹문(大學或問)》 정심장(正心章)의 설을 추가로 인용해야 한다. ⑦ 중국과 우리나라의 학술에 대한 장유의 논설:장유의 말대로 우리나라의 학문은 주자학 일변도로 지나치게 경직되어 있으나, 사실 주희와 육구연은 상호 존중하는 관계였다. 아울러 명고는 제7항 말미에서 명나라의 순수한 주자학자는 오직 설선(薛瑄)뿐이라고 한 이지덕의 말을 경솔하다고 나무랐다.

※ 광주광역시 서구문화원 누리집 게시물 참고자료

저자(연도) 제목 발행처
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2003) 광주 향토사 연구 (사)광주·전남향토사연구협의회
광주광역시 동구청(2021) 동구의 인물2 광주광역시 동구청
광주시남구역사문화인물간행위원회(2015) 역사를 배우며 문화에 노닐다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Ⅰ 인물과 문헌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01) 광주남구향토자료 모음집Ⅱ 문화유적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마을(동)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14) 광주 남구 민속지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남구문화원(2021) 양림 인물 광주남구문화원
광주동구문화원(2014) 광주광역시 동구 마을문화총서 Ⅰ 광주동구문화원
광주문화관광탐험대(2011~16) 문화관광탐험대의 광주견문록Ⅰ~Ⅵ 누리집(2023.2
광주문화원연합회(2004) 광주의 다리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원연합회(2020) 광주학 문헌과 현장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광주문화재단(2021) 근현대 광주 사람들 광주문화재단
광주북구문화원(2004) 북구의 문화유산 광주북구문화원
광주서구문화원(2014) 서구 마을이야기 광주서구문화원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옛 지도로 본 광주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04) 국역 光州邑誌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3) 영산강의 나루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2018)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0) 1896광주여행기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역사민속박물관(2021) 광주천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김경수(2005) 광주의 땅 이야기 향지사
김대현.정인서(2018) 광주금석문, 아름다운 이야기 광주문화원연합회
김정호(2014) 광주산책(상,하) 광주문화재단
김정호(2017) 100년 전 광주 향토지명 광주문화원연합회
김학휘(2013) 황룡강, 어등의맥 16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4) 광산의 노거수, 어등의맥 17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5) 광산나들이, 어등의맥 18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6) 설화와 전설, 어등골문화 21호. 광산문화원
김학휘(2018) 광산인물사, 어등의맥 21집. 광산문화원
김학휘(2019) 마을사이야기, 어등골문화. 광산문화원
남성숙(2017) 전라도 천년의 얼굴 광주매일신문
노성태(2016) 광주의 기억을 걷다 도서출판 살림터
노성테.신봉수(2014) 사진과 인물로 보는 광주학생독립운동 광주문화원연합회
박규상(2009) 광주연극사 문학들
박선홍(2015) 광주 1백년 광주문화재단
정인서(2016) 산 좋고 물 맑으니-광주의 정자 광주문화원연합회
정인서 외(2015) 광주의 옛길과 새길 시민의 소리
정인서(2011) 양림동 근대문화유산의 표정 대동문화재단
정인서(2011) 광주문화재이야기 대동문화재단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2016) 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上,下)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천득염(2006) 광주건축100년 전남대학교출판부
한국학호남진흥원(2022) 광주향약 1,2,3. 한국학호남진흥원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